問題一覧
1
임술농민봉기(1862)는 어디서 시작?
경상도 진주
2
임술농민봉기 뭐때문에 일어남?
수령의 부정부패에 농민들이 항의 하기 위해서
3
임술농민봉기에서 당황한 정부는 ‘누구’를 ‘이것’으로 파견함. 안에 들어갈 말
박규수, 안핵사
4
농민 대규모 봉기 시작이 일어났는데, 이것이 일어난 위치 및 이름
평안도, 홍경래의 난
5
홍경래의 난 배경
몰락 양반 홍경래가 차별 대우와 세도 정권 수탈에 맞서 봉기 시작
6
동학은 어떤 사상을 내세워 인간 평등을 주장했나? (2개)
시천주, 인내천 사상
7
동학은 누가 창시?
최제우
8
동학 왜 창시?
서학에 맞선다는 의미로
9
동학에서 말한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라는 사상은 무엇?
후천 개벽 사상
10
흥선대원군의 왕권 강화 정책 8가지
1. 비변사 폐지 2. 의정부, 삼군부 부활 3. <대전회통>, <육전조례> 편찬 4. 환곡 -> 사창제 5. 양전 사업 실시 -> 은결 색출, 세금 징수 6. 호포제 실시 7. 서원 철폐 8. 경복궁 중건
11
흥선대원군 경복궁 중건 때 뭐함?
원납전 징수, 백성 공사 강제 동원, 도성문 통행세 징수, 당백전 발행, 양반 묘지림 벌목
12
당백전이 무엇?
액면 가치는 상평통보 1문전의 100배, 실제 가치는 5배 -> 물가 폭등 일으킴
13
통상 수교 거부 정책 순서대로 나열
병인박해, 제너럴 셔먼호 사건, 병인양요, 오페르트 도굴 미수 사건, 신미양요, 척화비 건립, 흥선대원군 실각
14
제너럴 셔먼호 사건 내용
통상 요구하던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를 평양 관민들이 불태워 침몰시킴
15
병인양요 내용
병인박해를 구실로 프랑스군이 조선의 강화도에 침략하여 외규장각 도서 등 각종 문화재 약탈함
16
오페르트 도굴 미수 사건 내용
통상 요구 거절당한 독일 상인 오페르트, 흥선대원군 아버지 남연군 묘 도굴하려다 실패함
17
신미양요 내용
미국이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구실, 조선 강화도에 침략했다 철수함
18
척화비 건립 의지 무엇?
서양과의 통상 수교 거부 의지 천명
19
신미양요에서 미국은 최신식 무기를 앞세워 어디를 공격?
광성보
20
신미양요에서 열심히 싸워준 조선군 누구?
어재연이 이끄는 조선군
21
병인양요에서 부대들이 저항함. 어떤 부대, 어디서?
한성근 부대-문수산성, 양헌수 부대-정족산성
22
흥선대원군 실각 내용
고종이 친정을 시작, 서구 열강과의 활발한 교류 추구
23
병인박해 내용
8천여 명의 천주교도와 9명의 프랑스 선교사 처형됨
24
청나라의 위원이 저술한 세계 각국의 지세, 산업, 인구, 정치, 종교 등을 정리하여 수록한 세게 지리서는?
해국도지
25
운요호 사건 내용
메이지 유신 후 일본 -> 조선, 외교문서 보냄. but 외교 형식에 어긋나는 문서 -> 접수 거부, ‘정한론’(조선을 정벌하자) 일어났으나 실행X, 부산으로 군함 보내서 무력시위 후 강화도 불법침입
26
조일 수호 조규(강화도 조약) 제1관. 조선은 자주국이며 일본과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간섭을 배제하려는 의도
27
조일 수호 조규(강화도 조약) 제4관. 조선은 부산 이외에 제5관에 기재하는 2개 항구를 개항하고 일본인이 와래 통상함을 허가한다.
조선에 진출하기 위한 항구 요지 확보 의도
28
조일 수호 조규(강화도 조약) 제7관. 조선국 연해를 일본국의 항해자가 자유롭게 측량하도록 허가한다.
조선에 상륙하기 용이한 지점 파악 의도
29
조일 수호 조규(강화도 조약) 제10관. 일본국 국민이 조선국이 지정한 각 항구에 머무르는 동안 죄를 범한 것이 조선국 국민에게 관계되는 사건일 때에는 모두 일본국 관원이 심판한다.
치외법원(=영사재판권) 인정
30
조일 수호 조규 부록에서 설정한 개항장 일본인 ‘거류지’ 내용
개항장에서 10리 이내의 지역에서만 일본인 활동O, 개항장 및 거류지에서 일본 화폐 사용 허용
31
조일 무역 규칙. 개항장에서 일본인이 사 갈 수 있는 곡식의 양에 대한 제한 규정X
일본인들의 무제한 곡물 유출 허용
32
조일 무역 규칙. 일본 수출입 상품에 대한 관세 및 항세 부과 규정이 없음
무관세, 무항세
33
조일 수호 조규 이후 일본에 파견된 공식적인 외교 사절이 무엇?
수신사
34
1차 수신사가 누구고 2차 수신사가 누구?
김기수, 김홍집
35
‘일본의 근대 문물 시찰’ 및 ’개화 정책에 필요한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비밀리에 파견한 것은?
조사시찰단
36
근대식 무기 제조법과 군사 훈련법 습득을 위해 청나라에 파견한 사절은?
영선사
37
개화 정책을 담당하는 기구는?
통리기무아문
38
통리기무아문의 부서. 외교, 군사, 통상, 재정 등의 세부 업무 담당은?
12사
39
통리기무아문에서 신식 군대 설치, 이름은?
별기군
40
종래의 5군영 체제에서 뭘로 바뀜?
무위영, 장어영의 2영 체제
41
기기창, 전환국, 박문국, 우정총국, 광혜원, 육영공원, 원산학사 하는일
기기창 - 근대식 무기 제조 전환국 - 근대식 화폐 발행 박문국 - 근대식 인쇄 업무, 최초의 근대 신문 <한성순보> 발간 우정총국 - 근대식 우편 업무 담당 광혜원 - 최초의 서양식(서양의학) 병원 육영공원 - 최초의 근대적 공립학교 원산학사 - 최초의 근대적 사립학교
42
청나라 외교관인 ‘누가’ 1880년 경 저술한 ‘이것’은?
황준헌, 조선책략
43
조선책략-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 주장 의도
미국을 조선에 소개하여 일본의 조선 진출을 견제하려 함. 미국의 힘을 빌려 남하하는 러시아를 견제하려는 의도
44
조선 책략- 제2차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오던 김홍집이 조선에 들여옴. 이후는?
이후 조선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힘, 이후 조선의 외교 정책에 큰 영향
45
조선이 서양 국가와 맺은 최초의 조약은?
조미 수호 통상 조약
46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의 내용?
영사 재판권 인정. 최혜국 대우 규정 => 조선에 불리한 불평등 조약
47
동학. ‘누가’ 교단 정비를 ‘이것’으로 하면서 동학교도급증.
최시형, 포접제
48
교조신원운동. 공주, 삼례는 ‘어디까지의 요구’만, ‘다른 곳’은 정치적 요구(척왜양)까지.
종교적 요구, 보은
49
고부농민봉기 배경
고부 군수 조병갑 수탈 전봉준 등 봉기, 고부관아 습격 -> 사발통문 안핵사 이용태 파견 -> 농민 탄압
50
고부농민봉기에서 ‘무엇’을 ‘이 사람’으로 파견해서 농민들을 탄압
안핵사, 이용태
51
동학농민운동 제1차봉기 때 찬여한 사람들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52
동학농민운동 때 김개남이 말한 4대 행동강령
보국안민, 제폭구민
53
동학농민운동 제1차 봉기 순서
전봉준, 손화중 - 무장에서 봉기, 김개남 합류 - 백산에 집결, 황토현 전투: 전라 감영군, 황룡촌 전투: 정부군(경군), 전주성 입성
54
조선 정부가 원군을 요청한 나라와 날짜
청 5/5
55
조선 정부가 청에게 원군을 요청한 후 ‘어느 나라’가 ‘어떤 핑계’로 ‘어디’에 ‘언제’ 상륙했나?
일본, 톈진조약과 자국민 보호 구실, 인천, 5/6
56
폐정 개혁, 신병 안정으로 해산. 이 사건 이름
전주화약
57
자치기구, 치안, 폐정개혁 이것의 이름
집강소
58
전주화약 이후, 조선 정부 양국 군대 철수 요구 -> 거부. ‘이 나라’가 ‘여기’에 침입을 했고 ‘이 나라’를 공격함. 그리고 발생한 전쟁은?
일본, 경복궁, 청, 청일전쟁
59
제 3차 농민봉기는 누구와 누가 싸움?
조선 정보군 + 일본군 연합 vs 농민군
60
제 2차 농민봉기에서 농민군이 패배한 전투의 이름?
공주 우금치 전투
61
동학농민운동의 의의는?
폐정개혁 -> 갑오개혁 영향 반봉건적, 반외세적 성격 잔여세력 -> 항일의병 / 무장운동
62
전주 화약 이후 ‘이것’을 설치
교정청
63
흥선대원군 섭정 때 내각 한 사람과 어떤 걸 했는지
김홍집, 교정철 폐지, 군국 기무처 설치
64
제1차 갑오개혁 정치
개국기년 사용 왕실과 정부 사무 분리 과거제 폐지 6조 -> 8아문
65
제1차 갑오개혁 경제
재정일원화(탁지아문) 은본위제 도입 도량형 통일
66
제1차 갑오개혁 사회
신분제 철폐(-> 노비제 철폐) 과부 재가 허용 조혼 금지
67
청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기를 잡으면서 한 것
군국기무처 폐지 흥선대원군 실각 김홍집, 박영효 연립 내각
68
제2차 갑오개혁 때 뭘 반포함?
홍범 14조
69
제2차 갑오개혁 정치
내각중심제 지방 8도 -> 23부 재판소 설치
70
제2차 갑오개혁 사회
교육입국조서 발표 한성사범학교 설립 소학교, 외국어 학교 관제
71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이기고 맺은 조약
시모노세키 조약
72
제3차 갑오개혁(을미개혁) 내용
양력 채택 단발령 공포 종두법 시행 ‘건양’ 연호 사용
73
을미사변으로 신변에 위협을 느낀 고종은 일본군의 감시를 피해 거처를 럭시아 공사관으로 옮겼는데 이를 뭐라고 하나?
아관 파천
74
아관파천 시기, 열강 이권 침탈 심화 속 누가 귀국하고 이것들을 만들었음
서재필, 독립신문 창간, 독립협회 창립
75
독립협회 창립 내용
영은문 자리 -> 독립문 건립 토론회, 강연회 개최
76
고종이 어디로 환궁하고 연호를 이것으로, 국호를 이것으로.
경운궁, 광무, 대한제국
77
한국 역사상 최초로 중국과 대등한 위치에서 체결된 조약의 이름?
한청통상조약
78
한청 통상조약의 의의
한국 역사상 최초로 중국과 대등한 위치에서 체결된 조약
79
독립 협회는 이것을 개최, 이것의 이름과 한것.
만민공동회 러시아의 이권 침탈 규탄 - 한러은행 폐쇄, 절영도 조차 요구 저지 의호 설립 요구 - 박정양 내각
80
관민공동회 개최 내용
헌의 6조 채택 중추원 관제 반포 -> 한국 최초 의회 기능 기구 => 입헌군주제 지향
81
중추원 관제를 반포하여 각 25인씩 선출한 의관 이름
관선의관, 민선의관
82
고종은 대한 제국의 헌법에 해당하는 이것을 반포
대한국 국제
83
광무 개혁 내용
원수부 설치 회사, 공장 설립 화폐 제도 개혁, 중앙은행 설립 실업학교, 기술학교 양전사업, 지계 발급(토지소유권)
84
순서 맞추기!
제1차 영일동맹, 고종. 국외 중립 선언, 러일전쟁, 한일의정서 강요, 제1차 한일협약, 일본. 대한해협에서 러시아 발트함대 궤멸, 가쓰라, 태프트 일약(일-미), 제2차 영일 동맹, 러일전쟁 종료. 포츠머스 조약(러-일)
85
제1차 한일협약, 고문 파견. 재정: ? 외교: ?
재정: 메가타 외교: 스티븐스
86
을사조약(을사늑약=제2차 한일협약) 중요 내용!
대한 제국의 외교권 박탈!!!!!!!!
87
을사조약에서 한 일
통감부 설치(일본인 통감 한성 주재), 이토히로부미 초대 통감 부임
88
을사조약 대응
헐버트, 미국 특사 파견 헤이그 만국 평화 회의 특사 파견(이준, 이상설, 이위종) -> 고종 강제 퇴위 장지연, 황성신문 ‘시일야방성대곡’ 민영환 자결 반대시위, 철시, 을사의병 을사오적 암살단 -> 자신회 이재명 -> 이완용 중상
89
을사조약 국외 의거
장인환, 전명운 - 미국 스티븐스 사살 안중근 - 중국 하얼빈, 이토히로부미 사살
90
토지, 자원 수탈, 일본인 농업 이민 장려 목적으로 세운 거
동양척식주식회사
91
동양척식주식회사 무슨 목적으로 세움?
토지, 자원 수탈, 일본인 농업 이민 장려 목적
92
일본인 재정 고문 메가타 한 일
화폐정리사업
93
일제의 막대한 차관 강요에 대한 제국 어케 대응?
상회사, 금융 기관 설립
94
1907년 어디에서 누구(2명) 등의 발의로 무엇이 일어남
대구, 김광제, 서상돈, 국채 보상 운동
95
국채 보상 운동 어떤 언론 기관 주도?
대한매일신보
96
일본이 한국에 황무지 개간권 요구하자 반대 운동을 주도한 것
보안회
97
이것 조직 + 의회 설립, 헌법 제정 -> 법률에 의한 통치 체제 수립
헌정 연구회 (입헌군주제 지향)
98
헌정 연구회가 통감부의 탄압으로 해체되자, 이를 계승하여 이것이 조직됨
대한 자강회
99
대한 자강회가 한 일
전국에 지회, 연설회 개최 -> 고종의 강제 퇴우를 반대하는 운동 -> 해산
100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
정부가 발행한 한성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