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대취타 대취타는 ()뜻이며 ()와 ()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나 ()에 연주된다. = 군악/ 행악 연주악기로는 취악기 중 ()()() 타악기로는 ()()()이 있다. (): 긴 대롱, 한음 (): 소라 태평소 : () (): 용그림 (): 쇠붙이 (): 쇠 이때, 나발과 나각은 ()연주한다.
크게 불고 친다, 집사 악대, 임금행차 군대행진, 나발 나각 태평소 용고 자바라 징 (장구), 나발, 나각, 유일한 가락악기, 용고, 징, 자바라, 번갈아가며
2
대취타의 장단은 한 장단에 ()박이다 이때, 기본박은 ()으로 소박은 ()으로 판단한다.
12, 실선 점선
3
대취타 집사의 역할은 ()이다, 구호는 ()()이다 악대는 ()이다.
연주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사람, 명금일하 대취타, 허라금, 연주하는
4
풍물놀이와 사물놀이 -풍물놀이 악기는 (), 연주는 () -사물놀이 악기는(), 연주는 ()
꽹장징북 태소, 서서, 꽹장징북, 앉거나 서서
5
풍물놀이는 -()음악이다. 그래서 춤과 진법놀이를 함께할 수 있다? -상쇠는 어떤 역할?
축제, o, 지휘자
6
삼채장단 구음은? ()과 같다.
자진모리장단
7
사물놀이 악기 상징 꽹 () 장 () 징 () 북 () 장구를 연주하는 방법은? 장구의 ()가 중앙에 오도록, ()을 잡아 북편을 치고 ()을 잡아 ()를 친다.
천둥 비 바람 구름, 채편, 궁굴채, 열채
8
종묘제례악은 ()음악 또는 ()음악이다. 가무악 모두 갖춘 ()이다. 세종대왕 때 고려의 향악을 토대로 지은 ()을 세조가 ()에 맞게 고쳤다. 1964에 ()로 지정되었고 2001에 ()로 등재되었다.
의식 종교, 종합예술, 잔치음악, 제사절차, 국가무형문화재 1호, 유네스코 세계 인류 무형 문화유산
9
종묘제례악은 ()와 ()로 나뉜다. 세종 때는 각각 ()곡 ()곡 이었지만 세조때는 ()곡으로 줄여졌다. 기악:정대업은 ,노래:왕의 ()을 찬양, 춤은 () 기악:보태평은, 노래:왕의 ()을 찬양, 춤은 () 춤 두가지 종류를 합쳐서 ()라고 한다.
정대업 보태평, 15 11 11, 무공 무무, 문덕 문무, 일무
10
종묘 제례악 때 쓰인 악기 () 시작, 장을구분해주는 지휘자 같은 악기 () 시작,방망이 () 끝, 호랑이 () 시작
박, 축, 어, 절고
11
판소리 - 특징 판소리는 2003년 11월 인류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판소리는 두사람의 고수와 한사람의 소리꾼이 가능하다? () 북연주를 하는 사람 ()노래를 하는 사람
ㅇ, x, 고수, 소리꾼
12
판소리의 구성요소 ()소리꾼이 부르는 노랫가락 = 창 ()이야기하듯 엮어나가는 것, 장면의 전환 또는 시간의 흐름 ()동작 ()흥을 돋우는 말 by()()
소리, 아니리, 발림, 추임새, 고수 청중
13
판소리의 발성은 ()이다
통성발성
14
*정말 어려운 문제 - 악보분석하여 공부했을 때 풀 수 있는 문제가 나옴*
앞으로 공부할 때 악보 한번씩 훑어보고 나올 만한 것 체크, 실전에서 마음비우고 남들도 모른다. 그렇지만 나는 찍어서 맞춘다 는 마음으로 답 체크하고 넘어가기
15
시조 동창이 - 시조란? 조선 후기 이후 발달한 노래로, 처음에는 선비중인들이 불렀을나 후에는 일반인들이 즐겨 불렀다? 특별한 반주없이 ()또는 ()에 맞추어 부른다. 장구와 대금 등의 한 두개의 악기로 반주하기도 한다?
x. 중기이후, 무릎장단 , 장구장단, o
16
시조 동창이와 시조 태산이 -()장단으로 이루어져있다. -한배가 () -()의 3음으로 구성되어있다. -종장의 마지막 세글자는 ()
5박 8박, 느리다, 황중임, 생략
17
무릎장단 - 연주방법 덩 : ()으로 무릎을 친다 짚고 : ()으로 무릎을 살짝쳐서 박자를 짚어준다 덕 : ()으로 무릎을 친다 쿵 : ()으로 무릎을 친다
양손, 왼손집게손가락, 오른손, 왼손
18
시조 5박 장단은 ?()
덩짚덕쿵덕
19
8박장단
덩짚덕 쿵짚 쿵덕쿵
20
손으로 시김새 표현하기 -아래서부터 5 3 2 손가락순으로? -시조는 3음음계로 이루어져있으나 초장은 ()와()로만 이루어져있다.
황중임, 황중
21
수제천 - 특징 -궁중의 ()또는 ()할 때 연주하던 음악이다. -백제시대의 ()을 기원으로 하여 조선 중기이후 ()로 전승되었다. -궁중무용의 처용무의 시작부분에서 ()할 때 반주음악으로 사용된다. -총 ()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형식으로 연한다 -수제전연주는 ()으로 연주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근래에는 ()()()을 덧붙여 연주하며 악기수의 제한 없이 대편성으로 연주하기도 한다. -한배가 ()
연회 정재, 정읍사 기악합주곡!, 다섯 처용이 입장할 때, 4 연음형식, 삼현육각, 소금 아쟁 박, 느리다
22
삼현육각에서 편성되는악기 ()2개, ()()()() 여기서 ()이 중심이며 이는 주로 ()반주에 사용된다. 연음형식이란, ()가 연주하다가 쉬면, 그뒤를 ()등이 가락을 이어받아 연주하는 기법이다.
향피리 북 해금 대금 장구 향피리 무용 향피리 대금해금아쟁
23
수제천의 중요특징3가지 ()형식 ()편성 ()반주
연음, 삼현육각, 궁중무용
24
산조 - 특징 -장구반주에 맞추어 연주하는 ()곡이다 -조선 후기 ()와 ()를 바탕으로 만들어짐 -연주자의 ()이 강조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으로 변화하는 ()형식이다 -()산조가 제일 먼저 만들어졌다 시나위란 ()와 관련있는 민속음악이다.
기악독주, 판소리 시나위, 즉흥성, 한배에 따른 형식, 가야금, 무속음악
25
영산회상 불교적 내용의 노랫마이 있던 성악곡이었으나 노랫말이 없어지고 ()화 되었다. (1) - 줄풍류 편성 () - 대풍류편성 평조회상 - (1)을 4도 아래로 낮춘 관현합주편성
기악곡, 현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현악영산회산
26
-줄풍류는 ()가 중심이 되는 악기편성의 음악. 편성은 ()()()()()()6가지이며 ()()가 포함되기도 한다 -대풍류는 ()가 중심이 되는 악기편성의 음악. 편성은 ()()()()()5가지이며 ()()가 포함되기도 한다
거문고,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해금 대금 장구, 단소 양금, 향피리, 향피리 북 해금 대금 장구, 소금 아쟁
27
현악영산회상은 ()편성이며 모두 ()곡이다. 관악 현상회상은 모두 ()곡이며 ()이 빠졌다.
세악, 9, 8, 하현도드리
28
영산회상 - 타령 장단 타령장단은 영산회상 타령과 군악 곡에 쓰인다? 구음은 ()이다 더는 ()으로 ()을 가볍게 찍어 연주한다.
0, 덩 기덕 덕 쿵 기덕 더, 열채끝, 채편
29
현악영산회상은 ()피리, 분위기는 ()하고, 장구연주는 장구의 ()부분을 연주한다. 관악영산회상은 ()피리, 분위기는 ()하고, 장구연주는 ()부분을 연주한다.
세피리, 조용화려, 변죽 (채편가장자리), 향피리, 웅장씩씩, 복판(채편가운데)
30
대풍류와 삼현육각의 차이점 -삼현육각은 ()로연주될때 -대풍류 ()으로 연주될 때
무용반주, 감상용
31
*참고하라는 것만 보고 답 쓰기 쉽지 않음 - 빈칸 앞뒤 읽어야함 + 연결된 그 전 문제*
ex. 천년만세 타령장단
32
천년만 - 특징 -()풍류음악이다. -()곡이다. -()()() 로 구성된 모음곡이다.
줄, 합주, 계면가락도드리, 양청 도드리, 우조가락 도드리
33
줄풍류는 현악기의 소리가 크지 않기 때문에 ()를쓰고, 장구는 공명이 없는 ()을 친다.
세피리, 변죽
34
양청도드리 경쾌하고 빠른 분위기의 음악이다? 이때 쓰이는 장단은 ()장단으로 구음은 ()이다. 첫부분의 율명은 ()이다
양청도드리, 덩 따 따닥, 태남남남남임황황임남임
35
봉산탈춤 - 특징 -국가 유형 문화재 제 17호이다? -총 ()마당으로 구성 -대보름날, 추석, 단오와 같은 명절에 한해이 풍요를 기원하던 () 중 하나이다.
x 국가 무형 문화재, 7, 세시풍속
36
봉산탈춤의 반주악기와 장단 -악기편성은 ()이다. -장단은 ()이다. 영산회상은 ()장단이다. 구음은 ()이다
삼현육각, 자진타령장단, 느린타령장단, 덩덕 덩덕 얼쑤
37
봉산탈춤의 기본동작에는 (1)()()()()()이 있다 이중 (1)은 ()표시이다.
불림 고개잡이 발들기 황소걸음 외사위 양사위, 춤에 필요한 반주
38
삼현육각이 쓰이는 곡 2개는 ()()이다
수제천 - 잔치음악 처용무 무용 반주!!, 시나위
39
판소리와 창극 -공통점 1 ()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간다. 2 ()이 같다 -차이점 판소리 1 소리꾼 ()명, 반주는 () 2 무대장치 () 3 ()()()로 표현한다. 창극 1 소리꾼()명 반주() 2 무대장치() 3 ()이 있다.
소리, 발성법, 1 소리북, x, 소리 아니리 발림, 여러명 관악기현악기타악기, x, 해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