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설계자는 부품이나 그 형상 크기를 도면에 치수로 표시한다. 지시된 치수대로 어떠한 오차도 없이 정확히 일치하게 제작할 수는 없으므로, 허용할 수 있는 범위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허용 범위를()라 한다. 공차가 작으면 기능은 ()하지만 제작 비용이 ()되고, 반면에 공차가 커지면 기능은 ()되지만 제작 비용이 ()된다. 따라서 사용 목적에 맞는 적절한 공차를 부여하여야 한다.
공차 양호 증가 저하 감
2
(): 위 치수 허용차 및 아래 치수 허용차를 적용할 때 필용한 따라 허용 한계 치수가 주어지는 기준이 되는 치수
기준치수
3
()측정에 의하여 얻어진 형체의 실제치수
실치수
4
(): 형체의 실 치수가 그 사이에 들어가도록 정한, 허용할 수 있는 대소 2개의 극한의 치수 즉, 최대 허용치수 및 최소 허용치수
허용한계치수
5
():어떤 형체가 허용할 수 있는 최대치수
최대허용치수
6
():어떤 형체가 허용할 수 있는 최소치수
최소허용치수
7
():최대 허용치수와 대응하는 기준 치수와의 대수차 즉, 최대 허용치수-기준 치수
위치수허용차
8
(): 최소 허용치수와 대응하는 기준 치수의 대수차 즉, 최소 허용치수-기준 치수
아래치수허용차
9
():최대 허용치수와 최소 허용치수와의 차. 즉, 위 치수 허용차와 아래 치수 허용차를 뺀 값
치수공차
10
()는 구멍의 치수가 축의 치수보다 클 때 구멍과 축과의 치수 차를 말하며, () 반대로 구멍의 치수가 축의 치수보다 작을 때, 조립 전 축과 구멍 간 치수 차를 말한다.
틈새 죔새
11
():헐거운 끼워 맞춤에서의 구멍의 최소 허용치수와 축의최대 허용치수와의 차(구멍의 최대 실체 치수-축의 최대 실체 치수
최소틈새
12
():헐거운 끼워 맞춤 또는 중간 끼워 맞춤에서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와 축의 최소 허용치수와의 차(구멍의 최소 실체 치수-축의 최소 실체 치수)
최대틈새
13
():억지 끼워 맞춤에서 조립 전 축의 최소 허용치수와 구멍의 최대허용 치수와의 차
최소죔새
14
():억지 끼워 맞춤에서 조립 전 축의 최대 허용치수와 구멍의 최소 허용치수와의 차
최대죔새
15
():항상 틈새가 생기는 끼워 맞춤으로 축과 구멍의 허용 한계치수에 따라서 최대 틈새와 최소 틈새가 있다. 즉 이와 같은 헐거운 끼워 맞춤은 끼워 맞춤이 된 두 부품 사이에는 항상 상호 움직임이 허용되어야 할 경우에 적용된다.
헐거운 끼워맞춤
16
():항상 죔새가 생기는 끼워 맞춤으로 끼워 맞춤이 된 두 부품간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빠짐이 생기지 않아야 할 곳에 적용된다. 억지 끼워 맞춤은 적용되는 외력이 비교적 작을 경 우에 적용하는 가벼운 억지 끼워 맞춤과 작용되는 외력이 매우 크거나 빠짐이 발생하면 심각한 경우에 적용되는 강력한 억지 끼워 맞춤으로 구별할 수 있다.
억지 끼워맞춤
17
():조립 시 축과 구멍의 실 치수에 따라서 틈새나 죔새가 허용 될 수 있는 끼워 맞춤이다
중간끼워맞춤
18
():가공이 어려운 구멍을 기준으로 해서 제품의 기능에 적합하도록 가공이 쉬운 축을 끼워 맞추는 방법으로, 구멍의 아래치수 허용차가 “0”인 H 구멍을 기준으로 끼워 맞춤하는 방식이다.
구멍기준끼워맞춤
19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여기에 구멍을 끼워 맞춤하는 방식으로 전동축과 같이 하나의 \축에 여러 개의 구멍이 조립할 때 적합한 방법이다. 축의 위 치수 허용차가 “0”인 h 축을 기준으로 끼워 맞춤하는 방식이다.
축기준 끼워맞춤
20
공차를 기입할때혼동을 피하기 위해() 등의 문자는 사용하지 않는다
I, L, O, Q, W
21
기계가공 부품 표면은 부품의 ()(actual surfaces)은 그것을 만드는 데 사용된 제조공정에 따라 표면 특성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결정된다. 표면은 직선적이고 평평한 것처럼 보이나 이를 확대하여 보면 ()(roughness), ()(waviness),()(flaws) 및 기계적 공정에 의한 ()(pattern)와 ()(direction)을 지니고 있다
실제표면 거칠기 표면파형 흠집 무늬 방향
22
():어떤 가공된 표면에 작은 간격으로 나타나는 미세한 굴곡으로 주로, 공작과정에서 가공 방법이나 사용하는 공구, 절삭 조건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결정된다.
표면 거칠기
23
():거칠기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나타나는 표면의 굴곡으로 주로 연삭숫돌의 불 평형, 이송 나사의 불 균일, 부적당한 공작물의 고정, 진동이나 재료의 열처리에 따른 불균일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나타난다
파상도
24
결은 주로 가공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표면의 전체적인 무늬로 ()()()()()() 등이 있다. 거칠기의 측정은() 한다
수평, 수직, 교차, 무방향, 동심원, 방사형 결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한다
25
흠은 비교적 불규칙하게 공작물 표면에 나타나는 결함으로 ()()() 등이 있다.
긁힘(scratch), 갈라진 틈(crack), 기공(blow hole)
26
():거칠기 단면곡선에서 기준길이 만큼 채취하여, 단면 곡선의 중심선과 평행하며 제일 높은 산과 제일 깊은 골을 접하는 두 평행선간의 거리를 말한다.
최대높이
27
():단면곡선으로부터 기준 길이만큼 채취한 부분에서 평균선에 평행 또는 한 단면곡선을 가로지르지 않는 직선에서 세로 배율의 방향으로 측정한 가장 높은 곳으로부터 5번째까지의 산봉우리의 표고 평균값과 가장 깊은 골밑으로부터 5번째까지의 골밑표고의 평균값과의 차이를 μm으로 나타낸 것이다.
10점평균거칠기
28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그 중심선의 방향으로 측정 길이 ℓ의 부분을 채취하고 중심선과 편차의 절대값을 기초로 산술평균을 구한 값을 말한다. 즉, 중심선 아래 부분을 중심선 위로 접어 올려 면적을 합산하여 길이로 나눈 값이다.
산술평균거칠기
29
순서대로 알맞은것으로 기입하시오
e a d g c b
30
순서대로 알맞게 기입하시오
e a d g c' f b
31
순서대로 기호를 알맞게 기입하시오
= T X M C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