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무악이란
무속음악을 줄여 부르는 말, 무당이 굿을 할 때 쓰는 음악
2
무당의 명칭
강신무, 세습무, 남무
3
굿의 종류
무신제, 가제 , 동제
4
무가의 종류
청신무가 본풀이무가 놀이무가
5
무악 지역별 특징
함부로 가감할 수 없다
6
만세받이
무당이 한 구절을 노래하면 조무나 잽이가 한 구절을 받는 메기고 받는 형식의 무가
7
풍물놀이 정의
풍물 (꽹과리, 북, 장구, 징, 소고, 날라리)을 가지고 야외에서 서서하는 놀이 음악, 연극, 춤이 어우러진 종합예술
8
풍물놀이의 다른 이름
농악, 풍장, 풍장굿, 풍물, 풍물굿, 두레, 매구, 군고라고도 한다
9
풍물놀이와 농사일의 관계
농사일과 깊은 관계가 있어 김매기, 논매기, 모심기 등 힘든일을 할 때마다 행해지며 현재에는 지방 축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10
풍물놀이 언제?
정초에 한 해의 행운을 위해 벌이거나, 농사일에 지친 머슴과 일꾼들에게 돈과 휴식을 주며 위로하는 백중날, 풍년을 기원하는 추석, 새로 집을 지은 후 집들이 할 때 , 마을의 공동 기금을 모금할 때 연주되었다
11
풍물놀이 지방마다
지방마다 복장의 형식이나 고깔등이 다르며 음악내용도 지역별 특징이 다르다
12
풍물놀이의 기원
안택기원설, 군악설, 불교관계설등 다양하다 또는 삼국지 위지동이전- 제천의식때 행해진 형태를 풍물놀이의 기원으로 삼기도 한다
13
풍물의 종류
당걸두판마 당굿: 마을에 있는 서낭당에 제사를 지낼 때 벌이는 굿 걸립굿: 마을을 돌아다니며 돈과 쌀을 걷기 위해 벌이는 고사굿 두레굿: 김매기 때 작업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벌이는 굿 판굿: 구경꾼들을 위해 놀이로 벌이는 굿 마당밟기: 정초에 집마다 돌아다니며 액을 쫓고 복을 빌어 주는 굿
14
풍물놀이 악기
장구, 북, 징, 꽹과리, 태평소 + 나각, 나발, 소고, 법고 등… 크게 악기, 농기, 영기, 무동등으로 편성 크게 연주를 맡는 앞치배(농악대, 기수단)와 춤이나 연극놀이를 맡는 뒷치배(잡색)로 나뉜다
15
상쇠, 짝쇠, 부쇠
상쇠:풍물놀이나 사물놀이에서 전체를 이끌어가는 수석 꽹과리 주자 짝쇠: 상쇠와 부쇠가 교대로 연주하는 것 부쇠: 상쇠의 보조 역할을 하는 꽹과리 주자
16
웃다리풍믈 특징(경기, 기호풍물)
1. 평택, 이천, 부여, 대전 2.짝드름은 호남좌도에서 유래되었지만 웃다리 풍물에서 다듬어진 가락이다
17
웃다리 풍물 가락
점고-쩍쩍이굿-느린타령-길군악칠채-육채(마당일채)-마당삼채-짝쇠(휘모리)
18
강원지역(영동풍물) 특징
1. 지신밟기 성행 2. 속도가 빠르고외가락이 많다. 비교적 소박한 가락 3.무동 외에 잡색이 없다(잡색단순)
19
영동풍물 가락
구식길놀이 가락, 신식 길놀이 가락, 이채장단
20
영남풍물 특징
1. 12차라부르는 열두 차례의 거리가 있으며 꿋꿋하고 힘찬 쇠가락이 특징 2,웃다리풍물과 우도긋에 비해 혼합장단이 별로 없다(변박이 적다) 3. 개인놀이로는 특히 상모놀이가 발달되어 있음. 잡색이 적다 4, 지신밟기가 토착화되어 있어 다양한 사설을 가지고 있음
21
영남풍물 가락
길군악-반길군악-빠른반길군악-맺음가락-겹맺음가락-별달거리-덧뵈기-벅구놀이-쌍진풀이
22
호남우도 특징
1. 쇠와 장구가락이 발달 2. 잡색이 다양 3. 김제농악, 이리농악, 영광농악, 소포농악
23
호남우도 풍물가락
오채질굿, 자진 오채질굿-좌질굿- 풍류굿-굿거리장단-양산도-삼채장단(=덩덕궁이)-자진삼채-세산조시-이채
24
호남좌도풍물 가락
특징: 우도농악처럼 쇠와 장구가 중요한 역할, 임실 필봉농악. 화순 한천농악. 여천 백초농악 짝드름
25
사물놀이 정의
풍물놀이의 타악기 가락을 긴장과 이완의 원리에 맞게 재구성하여 실내연주용으로 무대 음악화 한것. 풍물이 모체이고 특히 판굿에서 리듬을 많이 빌려왔다
26
풍물놀이vs사물놀이
발림, 춤사위, 진풀이 앉은반 선반 연주시간 가락의 짜임새
27
사물놀이 - 본
본래 사물은 불교적 용어로 법고, 운판, 목어, 대종(범종) 의 네가지를 의미한다 이것이 후에 북,징,목탁,태평소로 바뀌고 지금은 다시 북, 징, 장구, 꽹과리의 네 가지 타악기로 바뀌었다
28
사물놀이 시초
1978년 김덕수 사물놀이패에 의해 발생되었다
29
사물놀이 -비나리
비나리라는 축원 덕담을 부르기도 한다
30
사물놀이 악곡
대표적 연주곡목은 웃다리풍물, 우도굿, 영남가락, 비나리, 설장고가락, 남도배신연굿노래, 바람맞이 등
31
사물놀이 악기
천둥번개, 별, 365일 비, 인간, 12달 구름, 달, 4계절 바람, 해, 1년
32
진풀이 정의
줄을 지어 모양을 만드는 것 농악에서 상쇠의 지휘에 따라 여러 가지 대형을 만들어 행진 하는 것을 말함
33
.
이채장단(=휘모리, 다드래기)
34
.
삼채장단
35
.
칠채장단
36
사물놀이 꽹과리 역할, 구음
.
37
사물놀이 장구
.
38
사물놀이 북
.
39
사물놀이 징
.
40
풍물놀이 vs 사물놀이 비교2 역사적 배경, 연주목적, 연주시간, 연주인원, 연주자세, 악기편성, 음악적특징, 연주장소, 대표곡.
.
41
대풍류 청킹, 다른이름
(=염불풍류, 민간 대풍류) 청킹: 악무긴모삼
42
.
긴염불(느린염불타령)
43
.
반염불
44
.
삼현타령
45
.
느린허튼타령
46
.
중허튼타령
47
.
자진허튼타령
48
.
굿거리
49
.
자진굿거리
50
.
당악(휘모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