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흡입 화상
건물내부, 자동차 등 밀폐 공간, 기도부종으로 인한 기도폐쇄, 머리, 목 또는 입안 화상 ,코털 탄 경우, 두통, 시야 흐림, 홍조, 쉰 목소리
2
IED 체크 리스트
물리적 손상, Headaches, Ear ringing, Amnesia, Double vision/Dizziness, Something feels wrong, 폭발로 부터 50m 거리
3
출혈성 쇼크 증상
의식 저하, 약하고 빠르게 뛰는 맥박, 촉지되지 않는 손목맥박, 차갑고 축축한 피부, 빠르고 얕은 호흡, 청색증, 오심, 구토 , 목마름
4
지혈대 전환 금기
쇼크, 절단, 재출혈 관찰 불가, 기존 지혈대 6시간 이상 경과, 전술적, 의학적 판단 시 전환 제한시
5
열 화상
타고 있는 물질 제거, 화상 주위 옷 가위로 제거, 화상부위 직접접촉 금지
6
저체온증
중심체온이 35도 이하, 혈액응고 방해로 대량 출혈 위험 증가, 경증 : 33-35, 떨림, 피부창백, 청색 입술, 중등도 : 29-32, 혼수상태, 동공확장, 심장박동 및 호흡 저하, 중증 : 28이하, 심정지, 혈압감소, 각막통증 반사 소실
7
전투부상자처치 3단계
교전 중 처치, 전술적 현장 처치, 전술적 후송 처치
8
긴급 - 응급- 비응급 - 지연 색깔
빨강, 노랑, 초록, 검정
9
전술적 후송 처치
의료적 처치가 가능한 지점 또는 의무시설로 후송 시킬때, 전술적 후송 처치를 위한 지속적 의사소통 시행, 후송지점 경계 및 안전확보, 부상자 재평가를 통한 응급처치 유지 및 추가 손상 위험 관리
10
코인두 기도기 금기
racoon eyes, battle sign, 코, 귀에서 맑은 액체(뇌척수액), 심한 안면부 외상, 머리뼈 바닥 골절
11
3면 밀폐 드레싱 절차
손으로 덮어 공기 출입 차단, 드레싱패드, 거즈 등으로 혈액, 체액, 이물질 닦기, 비닐 등 공기 통하지 않는 재료로 덮기, 3면을 반창고로 밀봉
12
긴장성 기흉 증상 및 징후
일반적 기흉 증상(호흡증상, 흉통 등) 점진적 악화, 가슴팽창 저하, 빈맥, 의식저하, 저혈압, 저산소증(청색증), 경정맥 팽대, 기관 편위, 심정지
13
출혈성 쇼크 의식 확인
Alert - 질문에 대한 반응 명료, Alert - 시간, 장소, 상황, Verbal - 구두지시에 대한 반응, Pain - 통증에 대한 반응, Unresponsive - 무반응
14
전투부상자 처치 목적 중 전투임무 완수
전투부상처치 궁극적 목적, 임무완수 후 부상자 처치 가능
15
코인두 기도기
우측 먼저 삽입, 코 끝에서 귓볼까지 길이 측적, 수용성 윤활제 도포, 사면이 비중격 향함, 90도를 이루며 삽입, 삽입 후 반창고 고정
16
예방 가능한 사망원인 3개
팔다리 대량출혈, 기도폐쇄, 긴장성 기흉
17
아이겔
성문외 기도기, 깊은 무의식에만 적용, 커프 팽창 불필요, 뒷면에 윤활제 도포, 바이트 블록(선) 앞니 위치, 반창고고저으 백-밸브마스크 연결
18
바늘감압술
14G 이상, 8cm이상, 빗장뼈 중간선과 두 번째 늑간이 만나는 부위, 세번째 늑골위를 따라 90도로, 앞겨드랑이선과 다섯 번째 늑간이 만나는 부위, 삽입 후 5-10초 뒤 탐침 제거
19
전투부상자 처치 목적 중 전투부상자 생존률향상
우선 순위 고려, 교전중 부상자 스스로 또는 인접 전우에의한 지혈
20
도수기도법
머리기울임-턱 들어올리기, 턱 밀어올리기, 머-턱은 척추 손상시 적용 제한
21
화상
열화상, 전기화상, 화학화상, 흡입화상
22
교전 중 처치
교전 중이거나 적의 직간접 공격 영향 받을때, 적 위협 제거해 안전확보, 생명에 위협인 팔다리 대량출혈 즉시 지혈대 적용, 전술적 상황 고려 부상자 이동
23
전투부상자 처치 목적 중 추가 부상자 발생 예방
안전 우선확보, 은엄폐 엄호를 통해 안전확보
24
전술적 현장처치
전술적 환경에서 적 공격의 영향이나 위협에 노출되지 않았을때, 경계 대책 수립 및 전술적 상황 인지 유지, 부상자가 다수일 경우 부상자 분류 시행(START분류법), 의식 저하 부상자 즉시 무장해제, 전술적 현장 처치절차(MARCH)에 따른 부상자 평가 및 처치, 가용 물자 최대 활용
25
화상범위 산출
손바닥 크기씩 1%, 4.5% - 머리 양팔 앞뒤, 9% - 양다리 앞뒤, 18% - 흉부 앞뒤, 1% - 생식기
26
백-밸브 마스크
용량 1200-1600cc, 1/2-1/3 적용, 고농도 산소 공급 가능 , E-C기법, 5-6초 간격, 의식 있으면 호흡에 맞추어 보조
27
전술적 현장 처치 시 지혈대 적용 방법
출혈부위 5-7.5cm 피부 위 적용, 지혈 되지 않으면 두번쨰 지혈대를 몸통쪽 부위 위에 나란히 적용, 지혈대 적용 시간 기록, 원위부 맥박소실 확인, 소량 출혈에 적용금지, 임의로 지혈대 제거 금지, 관절부위 및 장구류, 물건 위에 적용 금지
28
기도폐쇄 증상 및 징후
호흡하기 힘들어 함, 호흡을 하지 못함, 코를 골거나 또는 그르렁 거리는 소리를 냄, 기도에 혈액 또는 이물질 관찰, 얼굴에 심한 외상 관찰
29
전투부상자 처치 목적 3개
전투부상자 생존율 향상, 추가 부상자 발생 예방, 전투임무 완수
30
대량출혈 증상 및 징후
혈액이 바닥에 고여있거나 전투복이 혈액으로 과하게 젖은 경우, 출혈 부위에 적용한 붕대나 거즈가 혈액으로 흠뻑 젖어있는 경우, 박동성 출혈이거나 지속적으로 분출되는 혈액이 있는 경우, 팔,다리에 외상서 ㅇ절단이 있는 경우
31
전기 화상, 화학화상
전기 - 비전도성 물체 사용, 화학 - 빠르고 안전한 제독, 화학 - 화상 부위 물에담가 세척, 화학 - 습윤 밀폐 드레싱
32
호흡곤란
분당 호흡수 6회 미만 또는 20회 초과, 원래 정상 호흡수는 분당 12-20회, 비정상적 호흡음(협착음, 천명음), 비정상적 호흡양상, 저산소증(청색증 및 저혈압, 심정지), 흉부 손상 여부 확인 위해 상의 제거 및 상체 노출
33
TCCC 정의
전투부상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하여 전투 상황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고 예방 가능한 사망원인(팔다리 대량출혈, 기도폐쇄, 긴장성 기흥 등)에 초점을 맞추어 시행하는 응급처치
34
기도 유지 자세
앞으로 숙인 자세 - 심각한 얼굴 외상, 앉은 자세 - 의식있는경우, 회복 자세 - 무의식
35
안구손상
외부의 물리적 압력이나 화학물질 접촉, 단단한 안구보호대 적용(손상된 쪽만), 글씨읽기, 손가락 개수 세기, 손 움직임 및 빛확인, 압박 금지, 이물질, 타박상, 열상 및 창상, 관통성 손상
36
머리손상
두피(열상, 혈종), 머리뼈 골절 뇌의 손상, 두통, 구토, 의식 저하, 기억상실, 양쪽 눈의 동공크기 불일치, 동공확장, 복시, 호흡 및 맥박의 변화, 간질 발작, 팔다리 마비, 머리뼈 바닥 골절 징후
37
화상 정도 1 2 3 4
표층화상 - 홍반, 부분층 화상 - 표피 및 진피 일부손상, 홍반 및 통증, 수포, 전층 화상 - 진피 및 피하조직 손상, 무감각, 피부색 갈색 혹은 흰색, 깊은 화상 - 피부 밑 깊은 조직까지 손상
38
START 순서
걸을 수 있는가 - 비응급, 기도 확보 시 무호흡 - 지연, 기도 확보시 호흡 - 긴급, 호흡 수 분당 30회 초과 - 긴급, 손목동맥 촉지 불가 - 긴급, 지시 수행 불가 - 긴급, 지시 수행 - 응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