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건축기사 필기 건축법규 - 3
  • 우상

  • 問題数 29 • 7/5/2024

    記憶度

    完璧

    4

    覚えた

    12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하나 이상의 필지의 일부를 하나의 대지로 할 수 있는 토지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목변경 허가를 받은 경우 그 허가받은 부분의 토지

  • 2

    다음 거실의 반자높이와 관련된 기준 내용 중 ( )안에 해당되지 않는 건축물의 용도는? - ( )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관람실 또는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 ㎡ 이상인 것의 반자의 높이는 4m(노대의 아랫부분의 높이는 2.7m)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기계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문화 및 집회시설 중 동⋅식물원

  • 3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등이나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

    업무시설 중 사무소의 사무실

  • 4

    거실의 채광 및 환기에 관한 규정으로 옳은 것은?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의 교실에는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등이나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 5

    다음 중 거실의 용도에 따른 조도기준이 가장 낮은 것은? (단, 바닥에서 85센티미터의 높이에 있는 수평면의 조도 기준)

    독서

  • 6

    상업지역 및 주거지역에서 건축물에 설치하는 냉방시설 및 환기시설의 배기구를 설치하는 높이 기준으로 옳은 것은?

    도로면으로부터 2.0m 이상

  • 7

    신축공동주택등의 기계환기설비의 설치 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적정 단계의 필요 환기량은 신축공동주택등의 세대를 시간당 0.3회로 환기할 수 있는 풍량을 확보하여야 한다.

  • 8

    다음과 같은 경우 연면적 1000m2인 건축물의 대지에 확보하여야 하는 전기설비 설치공간의 면적기준은? ㄱ. 수전전압 : 저압 ㄴ . 전력수전 용량 : 200kW

    가로 2.8m, 세로 4.6m

  • 9

    다음은 차수설비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방재지구에서 연면적 이상의 건축물을 건축하려는 자는 빗물 등의 유입으로 건축물이 침수되지 아니하도록 해당 건축물의 지하층 및 1층의 출입구(주차장의 출입구를 포함한다)에 차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법 제5조제1항에 따른 허가권자가 침수의 우려가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10000m2

  • 10

    건축물의 거실(피난층의 거실 제외)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용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6층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 11

    건축물의 거실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를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 빈2 (단, 피난층의 거실은 제외하며, 6층 이상인 견축물의 경우)

    방송통신시설

  • 12

    다음 중 피난층이 아닌 거실에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6층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

  • 13

    건축물의 거실에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피난층의 거실은 제외)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창고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 14

    건축물의 거실(피난층의 거실 제외)에 국토 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 15

    건축허가를 하기 전에 건축물의 구조안전과 인접 대지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는 건축물 안전영향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으로 옳은 것은? - 빈2

    층수가 16층 이상으로 연면적 10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 16

    건축물에 설치하는 지하층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거실의 바닥면적이 30m2 이상인 층에는 피난층으로 통하는 비상탈출구를 설치할 것

  • 17

    건축물에 설치하는 지하층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거실의 바닥면적이 33m2 이상인 층에는 직통계단 외에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비상탈출구를 설치할 것

  • 18

    다음은 지하층과 피난층 사이의 개방공간 설치와 관련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 빈2 - 바닥면적의 합계가 ( ) 이상인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또는 전시장을 지하층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실에 있는 자가 지하층 각 층에서 건축물 밖으로 피난하여 옥외 계단 또는 경사로 등을 이용하여 피난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천장이 개방된 외부공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3천 제곱미터

  • 19

    지하층에 설치하는 비상탈출구의 유효너비 및 유효높이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주택이 아닌 경우) - 빈3

    유효너비 0.75m 이상, 유효높이 1.5m 이상

  • 20

    다음은 대피공간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밑줄 친 요건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공동주택 중 아파트로서 4층 이상인 층의 각 세대가 2개 이상의 직통계단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발코니에 인접 세대와 공동으로 또는 각 세대별로 다음 각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대피공간을 하나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대피공간은 바깥의 공기와 접하지 않을 것

  • 21

    다음의 옥상광장 등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 빈2 - 옥상광장 또는 2층 이상인 층에 있는 노대나 그밖에 이와 비슷한 것의 주위에는 높이 ( )이상의 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그 노대 등에 출입할 수 없는 구조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2m

  • 22

    피난 용도로 쓸 수 있는 광장을 옥상에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5층 이상인 층이 업무시설의 용도로 쓰는 경우

  • 23

    건축법령에 따라 건축물의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피공간의 면적은 지붕 수평투영면적의 20분의 1 이상일 것

  • 24

    건축물의 관람실 또는 집회실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을 안여닫이로 해서는 안 되는 건축물은?

    위락시설

  • 25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개별관람실을 다음과 같이 계획하였을 경우, 옳지 않은 것은? (단, 개별관람실의 바닥면적은 1000m2 이다.)

    개별관림실의 출구는 3개소 설치하였으며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는 4.5m로 하였다.

  • 26

    오피스텔에 설치하는 복도의 유효너비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건축물의 연면적은 300제곱미터이며, 양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의 경우이다.)

    1.8m

  • 27

    다음의 피난계단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 중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 5층 이상 또는 지하2층 이하인 층에 설치하는 직통계단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하는데, ( )의 용도로 쓰는 층으로부터의 직통계단은 그 중 1개소 이상을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판매시설

  • 28

    피난층 이외 층으로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2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업무시설 중 오피스텔의 용도로 쓰는 층으로서 그 층의 해당 용도로 쓰는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 이상인 것

  • 29

    건축물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서 피난층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의 최소유효 너비 기준이 옳은 것은?

    0.9m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