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커뮤니케이션 개념
정보전달과 설득
2
브랜드
자사를 경쟁사와 차별화하며 무언가를 약속하는 것
3
브랜딩
차별화된 이미지, 인식을 형성하는 활동
4
브랜드 자산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
5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에 대한 지각. 기억 속의 다양한 브랜드 관련 연상들의 결합
6
브랜드 인지도
소비자가 한 제품 범주에 속한 특정 브랜드를 알아보거나 브랜드명을 쉽게 떠올릴 수 있는 능력
7
브랜드 재인
특정 브랜드가 주어졌을 때 브랜드를 기억과 대조하는 정보처리과정
8
브랜드 회상
브랜드를 기억에서 인출하는 과정
9
브랜드 컨셉
소비자에게 브랜드가 제공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가치 사상
10
메라비언의 법칙
언어적 의미는 비언어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전달될 수 있음. 언어적 의미와 비언어적 의미를 일치시켜야 효과적인 메세지 전달이 가능
11
광고 메세지를 보내는 주체
발신자
12
메세지 제작과정
부호화
13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
채널
14
메세지 해석 과정
복호화
15
커뮤니케이션 방해요소, 광고 혼잡도
잡음
16
전달하고 싶은 정보, 의미. 순서와 결론 도출여부 중요
메세지
17
메세지를 해독하는 타겟 청중
수신자
18
정보 원천의 효과
신뢰성, 매력도, 권위
19
정보 원천의 매력도
유사성, 친숙성, 호감성
20
정보 원천의 신뢰성
전문성, 진실성
21
채널 세 가지
Owned, Paid, Earned media
22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인지도를 얻은 영향력 있는 개인
인플루언서
23
문제 파악+해결
기획
24
문제 해결
계획
25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효시가 된 이론
래비지&스타이너 모형
26
커뮤니케이션 목표를 광고 목표로 설정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모형
DAGMAR 모형
27
계층적 커뮤니케이션 효과 모형
구매라는 행동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제품, 상품, 브랜드 등에 대해 인지하는 인지적 단계가 있고, 그 뒤에 정서적 반응이 일어나며, 행동 반응은 마지막에 발생
28
최근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보편화에 따른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인해 계층적 커뮤니케이셩 효과의 단계에서 검색과 공유 단계가 추가된 계층적 커뮤니케이션 효과 모형
AISAS 모형
29
디지털 생태계 친화적으로 고객의 구매 여정을 설명하는 커뮤니케이션 효과 모형
AARRR
30
광고
특정한 대상을 상대로 원하는 메세지를 매체를 통해 전달하는 도구이자 과정
31
마케팅 관점에서 광고
촉진믹스의 도구 중 하나
32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광고
정보와 설득의 과정. 수신자와 발신자의 의미 교환 과정
33
IMC 관점에서의 광고
통합적이고 일관성 있는 메세지 전달을 통한 브랜드 관리의 과정
34
개인이나 집단이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들이 바라는 반응을 얻을 목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사용해 다른 개인이나 집단의 태도를 형성, 통제, 변화시키기 위한 기도
선전
35
공중과 조직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정립하고, 호혜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관리기능
PR
36
광고 탄생 과정
마케팅 전략 개발. 광고 전략 수립. 광고 제작. 효과 측정 및 평가
37
광고의 마케팅적 기능
제품 인지도 형성. 제품 지식 형성. 호의적 태도 및 선호도 구축. 제품 구매 및 경험 유도
38
커미션
일반적인 대행수수료. 광고주가 매체사에게 gross를 지급하면 매체사는 광고대행사에 commission 지급
39
마커비
광고주가 광고대행사에 지급하는 추가 비용
40
방송광고판매대행사
미디어랩
41
광고주와 매체사의 중간자
Ad network
42
Ad network가 모여 생긴 거래소
ADX
43
광고주 플랫폼
DSP
44
광고 매체 플랫폼
SSP
45
적합한 판단을 내리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 행동, 소비, 위치 데이터로 타겟팅 광고를 하는 기술. 광고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정제되어 있는 저장소
DMP
46
광고 전략과 마케팅 전략, IMC 전략의 관계
기업의 IMC 전략과 광고 전략은 타겟시장의 고객 특성 및 기업이 기대하는 경쟁적 포지션을 토대로 해 수립됨. 때문에 마케팅 전략의 수립은 IMC 전략과 광고 전략의 수립, 실행에 영향을 미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