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 중 6시그마 개선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단계가 아닌 것은?
대체
2
ERP시스템의 기술적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것은?
통합업무시스템
3
제품 개발 및 설계와 관련이 없는 기법은?
brain storming
4
프로젝트 일정 계획 수립을 위한 PERT(program evaluation review technique)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시오.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각 활동지속시간의 기댓값을 계산하여 적용한다.
5
현대적 품질통제기능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길은?
사내 모든 관리요원을 종합적으로 품질통제 활동에 참여시킨다.
6
기술적인 예측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비계량적인 수요예측기법은?
델파이법
7
구매부는 A 품목을 구입하고자 한다. 연간 총 수요량은 3,650개, 일회주문비용은 200원, 개당 비용은 80원, 그리고 일년 간 한 단위를 유지하는 비용은 단가의 25%이다. 구매부의 경제적 주문량은?
271
8
FMS는 공장자동화의 유형 중 어떤 유형에 속하는가?
탄력자동화
9
다음 중 예측기법이 갖는 일반적인 특성으로 적합하지 않은 설명을 고르시오.
여러 항목을 합하여 예측하는 것보다 이들 가운데 개별 항목만을 선택하여 예측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10
어떤 부서가 일일 8시간, 연간 250일을 작업하는데, 현재 각 제품당 생산에 필요한 기계설비가 다음과 같이 사용될 것이라고 예상된다면 이때 필요한 기계설비는 얼마인가?
2개
11
기계의 효율적 사용이나 재공품 재고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작업우선순위 결정규칙은?
FCFS
12
품질비용의 설명 중 바른 것은?
일정한 품질규격에 적합시키지 못해 발생하는 비용은 실패비용이다.
13
다음 중에서 완전무결(ZD)운동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종업원에게 처음부터 올바르게 작업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친다.
14
컨베이어에 의한 대량샹산방식으로 생산방법의 합리화를 이룬 포드시스템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직능에 따른 조직과 지도표제도를 도입하였다.
15
조선업은 물류의 흐름에 따른 분류상 어떤 공정에 속하는가?
프로젝트
16
고정형 자동화 시스템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낮은 편이다.
17
모듈러설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제품단순화를 촉진한다.
18
단기예측을 하기에 주로 적절한 수요예측기법은?
시장조사법
19
시계열분석기법에 있어서 독립변수는 무엇인가?
시간
20
대량생산시스템은 다음 중 어떤 공정형태를 말하는가?
반복공정
21
산업혁명시대에 분업의 원리를 주장하여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 사람은?
애덤 스미스
22
생산성을 정확하게 표시한 식은?
산출물/투입물
23
컨베이어에 의한 대량생산방식으로 생산방법의 합리화를 이룬 포드시스템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직능에 따른 조직과 지도표제도를 도입하였다.
24
다음 중 공정별 배치에 의한 업종이 아닌 것은?
카페테리아
25
다음 중 생산능력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설계능력>유효능력>실제 생산량
26
다음의 예 중 종속수요에 속한 제품은?
자동차 타이어
27
다음 중 MRP시스템에서 취급하는 재고유형이 아닌 것은?
완성품
28
다음의 우선순위규칙 중 서로 연관성이 가장 적은 규칙은?
SOT
29
다음 중 품질비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유지비용
30
다음 중 내부실패비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검사
31
총괄생산계획에서 고려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설비투자
32
총괄생산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고용안정전략을 적용하기에 곤란한 경우는?
감독자의 감독량이 많다.
33
다음 중 직무확대의 특징이 아닌 것은?
전문화를 향상시킨다.
34
재고유지비용 중에서 가장 중요한 비용은 무엇인가?
기회비용
35
표본발취검사의 주요 단점은?
좋은 모집단과 나쁜 모집단을 완전히 구별할 수 없다.
36
JIT시스템에서 감소하고자 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작업자 수
37
JIT시스템에서 생산업자와 공급업자와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하루에도 부품공급업자는 여러 번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8
품질관리를 위한 표준설정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없는 사항은?
소비자 욕구
39
품질관리를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할 때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파라메타를 든다면 어느 것인가?
평균과 표준편차
40
QC에 있어서 관리도를 사용하는 목적은?
공정의 안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41
품질관리에서 관리상한(UCL)이란?
중심치 +3(표준편차)에 의해서 결정된다.
42
결점수를 통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c관리도의 이론적 근거는?
포아송 분포
43
통계적 품질관리도에서 관리하한(LCL)은?
중심치 -3(표준편차)
44
품질변동의 데이터를 도식화하는 인과분석도의 이점이 아닌 것은?
기술의 향상
45
합격품질수준을 나타내는 것은?
AQL
46
재고통제의 방법으로 수요예측의 불확실성에 의한 수요부족을 방지하려는 것은?
안전재고
47
자재소요계획(MRP)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세 가지 기본 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현금흐름표
48
MRP시스템 하의 재고관리목표가 아닌 것은?
제품품질의 균일화
49
품질검사에서 최적 검사량은 어느 정도의 표본 수를 말하는가?
검사비용과 기대손실이 일치하는 점의 표본의 수를 말한다.
50
고정형 자동화 시스템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낮은 편이다.
51
K회사의 금년도 9월말의 판매예측치가 1,000개이고 실제 판매량이 1,500개였다. K회사의 10월 판매 예측치를 단순지수평활법으로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평활상수는 0.2이다.)
1,100개
52
생산에 관련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대량주문생산은 대량생산을 유지하면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생산형태이다.
53
품질기능전개(QFD)의 설명을 바르게 한 것은?
고객의 요구를 제품설계 및 생산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 특성으로 전환
54
EOQ모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EOQ의 크기는 연간 수요량에 비례한다.
55
A품목의 연간수요가 9,000개, 단위당 연간재고유지비는 160원, 럿(lot)당 주문비가 800원일 때 EOQ는?
300개
56
품질에 관한 다음의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말콤 볼드리지 상은 국제표준기구에 의해 제정된 제3자 기관에 의한 품질시스템 인증제도이다.
57
가장 이상적인 간판시스템의 운영방법은?
가능한 한 간판의 수와 컨테이너의 수를 일치시켜야 한다.
58
제품의 최종설계 단계의 순서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기능설계 - 형태설계 - 생산설계
59
관리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관리도상의 타점들이 일정한 패턴을 보이면, 관리한계를 벗어나지 않더라도 공정내에 이상 이 있음을 뜻함.
60
ABC재고관리와 관련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적절치 않은 것은?
A,B,C품목 중 C품목의 주문주기가 가장 짧다.
61
총괄생산계획의 수립에서 추종전략이란?
노동력 규모의 조정
62
공정성을 전제로 하는 작업우선순위 결정규칙은?
FCFS
63
총괄생산계획의 적용에서 관리적 고려사항은?
자재조달의 시기의 조정
64
총괄생산계획의 수립에서 평준화전략이란?
재고유지를 하는 전략
65
QC에 있어서 관리도를 사용하는 목적은?
공정의 안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66
서비스공정행렬에서 가장 고객화가 높은 것은?
수리서비스
67
기능전략에 속하는 전략은?
생산전략
68
다음 중 제조업의 입지 선정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요인은?
고객 근접성
69
다음 중 가장 빨리 도착한 재고를 먼저 작업하거나 가장 빨리 도착한 고객에게 먼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선순위 규칙은?
선입선출(FIFO)
70
다음 중 6시그마 개선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단계가 아닌 것은?
대체
71
@1
*품질비용에는 기업이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투자하는 예방비용(Prevention Cost)이 있고, 품질을 확인 검사하는데 소요되는 평가비용(Appraisal Cost)이 있고, 품질 불량에 의해 발생되는 실패비용(Failure Cost)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모든 비용들이 눈에 보이지는 않는 항목비용들이 많이 있어서 비용절감의 대상이지만, 특히 실패비용(불량발생, 클레임발생, 재작업발생, 재수리발생, 등급판매, 서비스, 무상 수리 등)이 비용절감으로 현재 기업에서 품질개선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72
@2
서비스 청사진 : 종업원, 고객, 기업 측의 역할을 단계와 흐름으로 묘사해 놓은 것으로 시각적이다. 객관적, 구체적, 시각적(유형화)이다. 서비스의 가장 큰 문제점인 무형성, 이질성, 동시성을 극복하게 해준다. 고객의 관점에서 설계되었다. 실패 가능점을 미리 식별하여 미연에 방지하거나, 복구 대안을 강구할 수 있다. 상호작용선은 고객의 역할과 고객이 서비스 품질을 체험하는 것을 나타내어 서비스 설계에 도움을 준다. 가시선은 고객이 볼 수 있는 영역으로, 고객과 접촉하는 종업원의 파악이 가능하다. (합리적 서비스 설계 촉진)내부 상호작용선은 독립성을 나타내 줌으로써 끊임없는 품질 개선에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