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과수원예학(I)
  • 정해인

  • 問題数 21 • 6/10/2024

    記憶度

    完璧

    3

    覚えた

    8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II. 입목형 수형 - 주간형

    - 정의 : 주간을 곧게 세우고, 주지를 수형이 원뿔모양이 되도록 만든 것 - 장점 : 나무의 특성을 살려 수형구성이 쉬움 - 단점 : 기간적 한계로 관리가 어렵고, 유효용적이 커져 재의 범위가 넓어지고, 결과적으로 순광합성 비율이 감소함

  • 2

    II. 입목형 수형 - 변칙주간형

    - 정의 : 광투과의 목적으로 주간형을 보완한 수형 - 특징 : 상부의 주간을 자름 - 장점 : 수고를 단축시키고 중심을 열어주어 목적 달성 및 관리 용이

  • 3

    II. 입목형 수형 - 개심자연형

    - 정의 : 주간이 개장성인 과수에 적합한 수형 - 특징 : 주간에 지상 60-70cm 높이에서 15cm 간격으로 3-4개의 주지를 배치해 중심부를 열어줌, 3/4까지 주간을 자름 - 장점 : 수관내부이 햇빛이 잘 들고 작업효율을 높임, 배상형에 비해 수량이 많고 품질이 좋음, 수세가 유지됨 - 단점 : 한번에 다 자르면 도장지 가능

  • 4

    II. 입목형 수형 - 배상형

    - 정의 : 개심자연형의 유사 수형 - 장점 : 수고가 낮아 작업이 편리, 척박지 적합 - 단점 : 기계이용 어려움, 분지각도가 넓어 기간적 한계가 있음

  • 5

    III. 울타리형 수형 - 팔메트형

    - 정의 : 주지 및 부주지를 좌우대칭으로 배치해 수관이 평면이 되게 한 수형, 사립팔메트형과 수평팔메트형 있음 - 장점 : 채광통풍이 좋고 농기계 투입이 쉬움 - 단점 : 고온다습한 여름철 환경일 경우 도장지가 많이 발생함

  • 6

    III. 울타리형 수형 - Y자형

    - 정의 : 지면 악 30cm 높이에서 2개 주지를 받아 열과 직각방향으로 사립시켜 Y자 모양으로 만든 수형 - 장점 : 주지에 골격지를 두지 않아 조기 다수확 가능 - 대표적인 Y자 수형 : 우리나라 배나무 Y자 수형, 호주의 Tatura trlis(지주 있어야함) 등

  • 7

    III. 울타리형 수형 - V자형(엇갈림 부채꼴형)

    - 정의 : 한 나무 당 왼쪽, 오른쪽으로 엇갈리게 배치해 V자형처럼 보이는 수형, 팔메트형과 비슷함

  • 8

    IV. 왜화 또는 밀식형수형들 - 방추형의 수형들 - 방추형

    - 개발 : 1930년대 독일 - 주간거리(m) : 2.0-2.5 - 수고(m) : 2.5 - 대목 : M26 - 특징 : 교목성 수형에 비해 조기수확 가능, 낮은 수고로 관리 용이, 단위수량 높음

  • 9

    IV. 왜화 및 밀식형수형들 - 방추형의 수형들 - 세장방추형

    - 개발 : 1960년대 네덜란드 - 주간 거리(m) : 0.7-1.8 - 수고(m) : 2.25 - 대목 : M9, M26 - 특징 : 방추형보다 수폭을 좁혀 재식밀도를 높인 수형으로, 조기결실성과 다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채광통풍이 좋아 품질이 좋고 세계적으로 채택되는 수형임(사과기준)

  • 10

    IV. 왜화 및 밀식형수형들 - 방추형의 수형들 - 수직축형

    - 개발 : 1970년대 말 프랑스 - 주간거리(m) : 2.0-2.5 - 수고(m) : 3.0-4.5 - 대목 : M9, M26 - 특성 : 수폭과 수고에 여유를 두어 수형에 들이는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 수고가 높아 작업의 불편 및 하단부에 그늘이 많아짐, 강한 주간연장지를 무전정의 상태로 남김

  • 11

    IV. 왜화 및 밀식형수형들 - 방추형의 수형들 - HYTEC

    - 개발 : 근년 미국 - 주간거리(m) : 2.0 - 수고(m) : 2.0-3.0 - 대목 : M9, M26 - 특징 : 세장방추형과 수직축형을 혼합한 수형

  • 12

    IV. 왜화 및 밀식형수형들 - 방추형의 수형들 - 솔락스형

    - 정의 : 유목기부터 주지를 아래로 유인허여 늘어지게 함, 높이 자란 주간은 3년차에 1.8-2.0m 높이에서 한 방향으로 눕혀 수고 제한 - 특징 : 그늘로 인한 유효용적을 보완하고자 원심형 정지를 통해 채광이 잘되게 함

  • 13

    V. 덩굴성 과수의 수헝 - 울타리식 수형

    - 정의 : 지주를 세로로 세우고 철선을 친 다음, 수직으로 수관을 형성 - 장점 : 지주 설치비가 적고 기계화 쉬움 - 단점 : 바람피해를 입기 쉽고 공간적 생장 한계, 이에 따른 강전정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음

  • 14

    V. 덩굴성 과수의 수형 - 울타리식 수형 - 웨이크만식 수형

    - 정의 : T자형태 - 높이 : 1.2-1.5m, 폭 : 0.8m, 부주지 간격 : 13-20cm - 특징 : 부주지(결과모지)를 전정해 결과지가 수직 방향으로 자람

  • 15

    V. 덩굴성 과수의 수형 - 울타리식 수형 - 니핀식 수형

    1) 정의 : 측지를 장초전정하여 결과지가 아래 방향으로 자람 2) 특징 : 가지가 자란 상태에서 전정함, 주지와 부주지 사이에 예비지를 두어 내년에 얻을 가지를 미리 준비

  • 16

    V. 덩굴성 과수의 수형 - 울타리식 수형 - 개량니핀식 수형

    - 정의 : 측지는 단초전정, 결과지를 위로 자라게 함, 웨이크만식 수형과도 비슷한 혼합형태

  • 17

    V. 덩굴성 수형 - 덕식

    - 정의 :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덕을 설치하고, 여기에 덩굴을 올려 평면상의 수관 형성 - 장점 : 수세가 강한 품종도 쉽게 안정시킬 수 있음, 수관의 상하가 열려 수관내부가 건조하게 유지되고 태풍 피해도 잘 받지 않음 - 단점 : 작업의 불편, 대형 농기계 투입 불리, 지주 설치비가 많이 든다

  • 18

    V. 덩굴성 수형 - 덕식 - 1자형 수형

    - 정의 : 가지 2개가 양옆으로(1자로) 자라도록 하는 수형 - 종류 : 1자형, 개량1자형, 절충식 1자형이 있음

  • 19

    V. 덩굴성 수형 - 덕식 - H자형 수형, 양방향 4주지형 수형

    - 정의 : 1자형과 달리, 양분공급이 분산되면서 부주지의 길이가 짧아짐

  • 20

    V. 덩굴성 수형 - 우산형 수형

    - 정의 :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를 뻗어나가게 만들 수 있는 수형

  • 21

    전정으로 많은 가지가 잘려지면 그 영향은 곧 ( )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인해 ( )이 영향을 받는 이러한 상호조절작용으로 잎와 세근의 비율이 유지됨

    새 뿌리 생장, 새 가지 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