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잔디 종자파종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것은?
파종지역을 종자직경 2~3배가 덮이도록 작업한다(아마 여기서 나옴) 롤러로 다짐을 한다 차광망 부직포 등으로 덮는다 충분히 관수한뒤 마르지 않도록 소량으로 자주 관수한다 발아후 흐린날 또는 오후 늦게 차광망을 제거한다
2
한지형 잔디 조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 참고
3
예초시 잔디의 생리 특성 변화로 알맞지 않은 것은?
예초의 잔디의 생리특성변화 1) 지상부 생육 촉진 신초 발생 증가로 밀도 높아짐 옆폭이 좁아지고 줄기가 빽빽해짐 2) 양분 이용도 증가와 저장 양분 감소 신초생장에 필요한 양분 소모 증가 예초에 의한 광합성량 감소와 신초생장 증가로 저장양분 감소 뿌리의 생장 및 지하경 생장 감소 3) 관리계획 수립시 고려사항 예고 예초횟수
4
예고 결정시 고려요인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초종 및 생육 특성 2) 잔디밭 이용 목적 3) 관리 수준
5
5.한국잔디의 적정 예고로 알맞은 것은?
13~25mm
6
6.켄터키 블루그라스의 적정 예고로 알맞은 것은?
19~50mm
7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그루터기가 나타나고 갈변하여 누렇게 보이는 현상은? -과다하게 대취층이 축적된 경우 -불규칙하게 요철이 심한 잔디면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예고를 조절한 경우 -불균일한 예초 주기로 관리한 경우
스캘핑 현상
8
8.식물에서 수분의 역할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광합성 기작에 관여 2) 물질대사 과정의 용매 혹은 촉매제 역할 3) 전분을 단당류로 전환 4) 세포의 팽압 유지 5) 기공개폐에 관여 6) 대취 분해에 관여하는 유익한 박테리아나 곰팡이에도 필요
9
9.잔디 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잔디의 종류 2) 토양의 성질 3) 잔디의 생장 및 생육정도, 계절 등 4) 잔디의 밀도 및 예고에 따른 증산량 증가 5) 기후, 기상조건
10
10.건조 스트레스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건조스트레스 원인 1) 증발산량이 뿌리의 흡수량을 초과했을때 2) 토양 중의 수분함량이 부족할때 3) 초기 위조점과 영구 위조점 수분의 수분함량에서 발생 4) 잔디의 수분이용률에 비해 관수량이 적을때 5) 여름철: 증발산량의 60~80%수준에서 관수
11
수분 결핍에 따른 형태적 변화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분얼감소 2) 엽수, 잎의 크기 감소, 엽면적 저하, 잎이 엷어짐, 큐티클층 두꺼워짐 3) 세포벽이 두꺼워져 세포간극이 작아지고 도관세포가 소형화됨 4) 근계가 깊어지는 반면 신초 신장이 감소해 뿌리/신초율이 증가, 심하면 잔디의 뿌리 신장이 억제되고 뿌리 고사함
12
12.다음 중 필수원소 중 다량원소가 아닌 것은?
N, P, K, Ca, Mg, S
1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단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관수량은 기후조건, 유효습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여름철 온도가 25C 이상 되면 고온스트레스를 받아 수분흡수능력이 저하되고 상대습도, 풍속에 따라 증산이 심한 한낮에는 위조현상을 나타내는데 이때는 ( )에 근거한 관수량이 필요하다.
증발산량
14
14.비료 형태에 의한 분류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비료 형태에 의한 분류 -입상 비료 -분상 비료 -액상 비료 -고형 비료
15
15.다음 설명하는 관수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을 고르시오. -혹서기 한지형 잔디로 조성되어 있는 잔디 표면에서 지표 온도 하강 및 증산 작용 억제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수 방법이다.
시린징 관수
16
16.엽면 시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잔디의 뿌리기능이 일시 악화되었을때 잎으로 양분을 공급하는 시비법 -시비효과가 미미하여 반복시비 실시 -비효가 떨어졌을 단시간에 영양공급 보충이 가능 -이식 후 조기활착 -뿌리의 발육이 부진하거나 활력이 떨어졌을 때 활용시 효과적 -토양시비가 용이하지 못한 시기에 사용 -미량원소 부족시 사용
17
17.시비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시비시 유의사항 -아침 이슬이 마른 서늘하고 구름이 낀 날 살포 -비오기전에는 살포금지 -어린 잔디나 한지형 잔디는 한국잔디보다 저농도로 살포 -엽면시비시 전착제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잔디의 기공이 막히기 때문에 주의 -적정 농도 준수 -가급적 농약과 혼용금지(알칼리성 제제)
18
18.배토작업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대취 분해 촉진 2) 대취 축적 방지 3) 잔디면의 평탄성 유지 4) 부적절한 토양 개량 5) 훼손부위의 회복 촉진 6) 포복경을 덮어주어 답압 피해를 줄이고 생육 촉진 7) 겨울에 동해 방지 8) 영양분 및 미생물 공급으로 생육 촉진
19
19.통기작업의 효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통기 작업의 효과 1) 토양 내 산소, 물의 하향 이동 완화. 이산화탄소, 유해가스 배출 2) 침투력과 보수력 개선 3) 토양의 이층현상 개선 4) 토양의 탄력성 증가 5) 신초 생성, 뿌리 성장 촉진 6) 표면배수에 의한 물의 손실 감소 7) 비료의 토양이동 개선
20
20.대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순기능 -내답압성 증가 -토양 고결화 정도 감소 -온도변화시 표면 보호 -완충능력 -흡수능력 -부상보호 역기능 -환경스트레스 증가 -잔디병발생 증가 -해충피해 증가 -황화현상 증가 -농약 침투력 약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효과 반감 -농약 종류에 따라 약해 가능성 -잔디 표면이 쉽게 부품 -잔디깎기시 스켈핑현상 -부분적 건조피해
21
21.잎 형태에 따른 잡초의 분류 중 방동사니과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화본과와 비슷하나 습지나 물속에서 잘 자람 줄기는 삼각형모양 (아마 이거) 잎이 좁고 능선이 있으며 이삭대에 작은 꽃이 달림
22
22.다음 중 1년생 잡초로 짝지어진 것은?
1년생: 새포아풀, 바랭이, 방동사니, 질경이, 피, 쇠비름, 강아지풀, 뚝새풀, 냉이
23
23.잡초의 일반적인 특징 중 잘못된 것은?
크기가 작고 저장양분이 적지만 종자 수를 많게 함으로 생존기회를 증가시킴 잡초종자는 생명력이 비교적 길어서 적합한 조건에서만 발아 생육조건은 토양수분, 양분, 온도가 중요, 바랭이처럼 광이 요구되기도 함 단기간에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마쳐 종자생산량이 많고 불리한 환경에도 번식
24
24.다음 중 농약의 제재 형태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유제 -액제 -수화제 -수용제 -분제 -입제 -훈증제 -도포제
25
25.살균제의 포장지 색으로 알맞은 것은?
분홍색
26
26.약재가 식물 체내로 침투하여 흡즙성 해충의 독성을 발현하는 살충제로 알맞은 것은?
침투이행성 살충제
27
27.유제를 2000배로 희석하여 20리터를 살포하여 해충을 방지하려 할 때 유제의 소요량은?
20L/2000 = 0.01L = 10ml
28
28.시비 효과를 좌우하는 것으로 시비 효과 식물 자체의 흡수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비료 사용량 -식물의 종류 -토질 여건 -수질 여건
수질 여건
29
29.다음 중 잔디를 가해하는 부위가 다른 해충은?
뿌리를 가해하는 해충: 굼벵이, 바구미, 방아벌레, 땅강아지 등
30
30.다음 중 설명하는 잔디 전염병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잔디 잎 위에 밀가루를 뿌려놓은 것처럼 크고 작은 흰색 또는 회백색의 병반을 형성한다. -감염 후기의 백색 또는 회백색의 병반 위에 바늘 끝 크기의 아주 작고 둥근 자낭구를 형성한다.
흰가루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