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함흥 + 경성
함경도, 관북지방
2
평양 + 안주
평안도, 관서지방
3
황주 + 해주
황해도, 해서지방
4
강릉 + 원주
강원도, 관동지방
5
서울을 둘러싼 땅
경기도
6
충주 + 청주
충청도, 호서지방
7
겅주 + 상주
경상도, 영남지방
8
전주 + 나주
전라도, 호남지방
9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 중 유로가 가장 긴 하천
두만강
10
한반도에서 유로가 가장 긴 하천, 하구에 삼각주 발달
압록강
11
중상류는 북한의 다우지인 강
청천강
12
하류는 북한의 소우지, 하구에 큰 조차 극복을 위한 갑문 설치 (남포)
대동강
13
남한에서 유역 면적이 가장 넓음, 중상류 지역은 하계 강수 집중률이 높음
한강
14
하굿둑 건설된 강 (2곳)
금강, 영산강
15
하굿둑 건설, 남한에서 유로가 가장 긴 하천, 하구에 삼각주 발달
낙동강
16
하상계수가 최대인 강
섬진강
17
6도 (서울을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 방향)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18
1특별시와 인구
서울 930만
19
6광역시와 인구 (인구가 많은 순서대로 지역 인구수)
부산 330만, 인천 300만, 대구 250만, 대전 150만, 광주 150만, 울산 110만
20
3특별자치도
제주, 강원, 전북
21
1특별자치시와 인구
세종 37만
22
역사적으로 서울의 관문 역할을 함, 국제공항과 경제 자유 구역으로 지정된 곳
인천
23
서울의 북서쪽, 서울의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0년대 신도시(일산)가 건설된 이후 인구 급성장
고양
24
서울의 동남쪽의 남한산성 남쪽에 위치, 서울의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기 신도시(분당)를 건설하였으나 침상도시로 전락, 최근 이 지역에 자족기능을 강화한 2기 신도시(판교)가 들어섬
성남
25
남한과 북한을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 판문점 존재, 출판단지와 LCD 산업단지가 입지해있으며 2기 신도시(운정)가 들어섬
파주
26
공업기능 분산 정책에 따른 위성도시, 외국인 근로자가 많아 외국인 마을이 조성되어 있음, 시화호 조력 발전소와 반월 시화 산업단지가 건설되어 있음
안산
27
아산만 북동쪽 연안, 자동차 공업, 2기 신도시 동탄
화성
28
아산만 북동쪽 연안, 항구 발달, 자동차 공업, 2기 신도시 고덕
평택
29
도자기 축제를 개최하는 지역 (3곳)
광주, 이천, 여주
30
이 지역에서 생산된 쌀이 지리적 표시제에 등록되어 있음 (2곳)
여주, 이천
31
서울의 북동쪽에 위치하면서 경기도와 접하고 있음, 강원도의 도청소재지, 수도권과 전철로 연걸되면서 관광 산업이 발달
춘천
32
강원도의 북서부, 북쪽으로 군사분계선, 서쪽으로는 경기도와 맞닿아 있음,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용암대지를 기반으로 벼농사가 활발하며 한탄강을 이용한 관광 산업 발달
철원
33
경기도와 충청북도에 접함, 강원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 혁신도시와 기업도시로 지정
원주
34
서울의 중앙에서 정동쪽으로 바다가 만나는 곳, 지형적으로는 석호인 경포호가 있고 기후적으로는 다설지이며, 축제로는 단오제가 열림
강릉
35
석탄박물관이 있으며,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 이후 인구 감소
태백
36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 감소, 카지노
정선
37
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 고랭지 채소 재배, 풍력발전소
평창
38
석회 동굴 (고씨굴)이 있는 지역
영월
39
세종특별자치시의 남쪽에 위치해 있는 광역시, 충청북도 및 충청남도와 접함
대전
40
행정 중심 복합 도시로 출범함, 우리나라의 17번쨰 광역 자치 단체
세종
41
고속 철도 및 수도권 전철 확대에 따라 인구 성장, 교통 요지
천안
42
고속 철도 및 수도권 전철 확대에 따라 인구 성장, 전자, 자동차 공업
아산
43
제철 공업이 발달한 지역
당진
44
석유 화학 공업이 발달한 지역
서산
45
충청남도의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홍성과 예산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신도시, 충청남도의 도청소재지, 혁신도시
내포
46
총청북도의 도청 소재지, 오송 바이오 산업 단지
청주
47
대전의 서쪽, 석탄 박물관, 머드 축제
보령
48
서해와 맞닿은 충청남도 해안, 천연기념물인 신두리 해안 사구 위치, 기업도시 지정
태안
49
강원도와 경기도의 경계에 맞닿아 있음, 기업도시 지정
충주
50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경계에 맞닿아 있음, 조선누층군, 시멘트 공업 지역과 석회동굴
단양
51
서쪽에 새만금 방조제, 북쪽은 금강 하류, 큰 조차를 이용한 뜬다리 부두 시설
군산
52
인구 60만 명 이상의 도시로 세계 최초의 슬로 시티 지정, 한옥 마을
전주
53
지평선 축제를 개최하는 지역
김제
54
다향 대축제, 녹차 축제를 개최하는 지역
보성
55
땅끝마을인 지역
해남
56
울돌목, 명량해전이 일어난 지역
진도
57
세계 정원 박람회, 람사르 협약이 있는 지역
순천
58
빛고을, 지역 이미지에 맞는 첨단 산업을 집중적으로 욱성, 자동차 공업이 발달
광주
59
굴비, 전라남도 북서부, 전라도 유일의 원자력 발전소
영광
60
한반도 남서쪽 다도해 지역에서 가장 큰 섬
진도
61
경제 자유 구역 (3곳)
광양, 여수, 순천
62
람사르 협약이 등록된 지역 (2곳)
순천만, 보성
63
3대 석유 화학 공업 도시
울산, 여수, 서산
64
3대 제철 공업 도시
광양, 포항, 당진
65
경상북도 내륙 지역 중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지역, 국제 탈춤 페스티벌 개최, 세계 문화유산 지정
안동
66
영남 지방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 지역 (4곳)
울진, 경주, 울산, 부산
67
영일만의 남서쪽, 제철 공업 발달
포항
68
포항의 남쪽과 경계를 이루며 바다와 맞닿아 있는 지역,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 원자력 발전소 입지
경주
69
자동차, 석유, 화학, 조선 공업 발달, 광역시 중 1인당 지역 내 총생산이 가장 많음, 원자력 발전소 입지
울산
70
현재 인구 규모 4위 도시, 금속, 기계, 자동차, 섬유 산업 발달
대구
71
전자 공업 발달
구미
72
칼데라 분지, 전통 가옥 우데기, 해양성 기후, 하계 강수 집중률 낮음, 다설지
울릉
73
공룡 발자국 화석, 경상누층군이 넓게 분포
고성
74
우포늪, 람사르 협약
창녕
75
경기도 도청소재지
수원
76
강원도 도청소재지
춘천
77
충청북도 도청소재지
청주
78
충청남도 도청소재지
내포
79
전라북도 도청소재지
전주
80
전라남도 도청소재지
무안
81
경상북도 도청소재지
안동
82
경상남도 도청소재지
창원
83
1차 산맥, 랴오둥 방향
함경산맥
84
1차산맥, 한국 방향 (2곳)
마천령산맥, 낭림산맥
85
1차 산맥, 한국방향, 한반도의 척추, 영동과 영서의 경계
태백산맥
86
2차산맥, 중국 방향 (2곳)
차령산맥, 노령산맥
87
1차 산맥, 중국 방향
소백산맥
88
송림 변동의 영향을 받은 북쪽 산맥의 방향
랴오둥방향
89
대보 조산 운동의 영향을 받은 남쪽 산맥의 방향
중국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