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형태학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100 • 5/31/2024

    記憶度

    完璧

    15

    覚えた

    35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중절치의 발육엽의 개수

    근, 원, 중, 설 4개

  • 2

    중절치의 순면은 약간 - -

    돌출

  • 3

    중절치의 설면은 - -

    오목

  • 4

    중절치에서 볼 수 있는 결절은?

    절단결절, 설면결절

  • 5

    절치의 크기 순서는?

    상악 중절치-상악 측절치-하악 측절치-하악 중절치

  • 6

    상.하악 절치중 가장 크고, 넓은 치관을 가진 치아는?

    상악 중절치

  • 7

    상악 중절치는 -,-,-,-의 면과 -개의 - -을 갖는다.

    순,설,근,원,1,절단

  • 8

    상악 중절치의 기능은?

    절단, 심미, 교합

  • 9

    치경선 만곡도가 가장 큰 치아는?

    상악 중절치

  • 10

    상악 중절치는 - - - - - 이다.

    부정 정방형

  • 11

    상악 중절치의 순면에서 발육구 -개 나타남

    2개

  • 12

    상악 중절치에서 나타나는 상징은?

    만곡상징, 우각상징, 치근상징

  • 13

    원심면에서 볼때 치근 바닥에 대해서 약간 틀어짐 이로 인해 근심 일부가 보이고, 절단연 부위사 두껍다는 착각을 이르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치아와 이유는?

    상악 중절치, 치궁의 만곡에 적응하기 위해

  • 14

    상악 중절치의 치근 첨은 - - 측으로 경사

    원심

  • 15

    상악 중절치보다 측절치는 크기가 - -, - -게 나타남

    작고, 둥글

  • 16

    상악 측절치는 -개의 면과, 1개의 - -을 갖는다.

    4개, 절단

  • 17

    상악 측절치는 - - -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중절치

  • 18

    3대구치 제외 형태학적 변이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치아는?

    상악 측절치

  • 19

    상악 측절치에서 나타나는 형태학적 변이의 대표적인 것은?

    왜소치

  • 20

    절치중 우각상징이 뚜렷한 치아는?

    상악 측절치

  • 21

    좌, 우측 구분이 가장 잘 되는 치아는?

    상악 측절치

  • 22

    상악 측절치에서 설면소와인 - -이 나타난다.

    맹공

  • 23

    상악 측절치는 중절치 보다 - - 하지만 - - - -과 -의 발육이 더 미약하다.

    풍융, 순명융선, 구

  • 24

    절단연이 원심측으로 가면서 치경측으로 기운 치아는? (중절치보다 심함)

    상악 측절치

  • 25

    상악 측절치는 - - - -이 중절치보다 미약

    절단 결절

  • 26

    설면소와= - -

    맹공

  • 27

    상악 측절치는 - - -가 중절치보다 오목함

    설면와

  • 28

    사절흔이 나타나는 치아는?

    상악 측절치

  • 29

    상악 측절치의 설면결절의 원심부에서 가끔 치그느이 일부, 발육구 연장이 나타나는 용어는?

    사절흔

  • 30

    상악 중절치와 측절치에서 - - -도 볼 수 있다

    극돌기

  • 31

    상악 측절치의 극돌기는 중절치 보다 발육이 더 - -

    미약

  • 32

    상악 측절치의 원심면에서 치경선 만곡도는 상악 중절치보다 - -, 근심면보다 - -나타남

    작고, 크게

  • 33

    상악 측절치는 절단연이 - - - -으로 약간 휘어져 견치와 이어진다

    원심, 설측

  • 34

    상악 측절치는 치수각이 -/-으로 -개인 경우가 많다

    근, 원, 2개

  • 35

    순면이 풍융하지만 융선과 발육구의 발육이 미약한 치아는?

    상악 측절치

  • 36

    순면이 대체로 평탄한 치아는?

    상악 중절치

  • 37

    설면에서 상악 중절치 보다 상악 측절치가 - - - -,- - - -이 더 돌출 되어 있고, 이로 인해 - - 이 형성이 된다.

    변연융선, 설면결절, 맹공

  • 38

    상악 절치중 근/원심면에서 치경선 만곡도는 - - -가 - - -보다 크다

    중절치, 측절치

  • 39

    상악 중절치와 측절치 중에 절단이 더 두꺼운 치아는?

    상악 측절치

  • 40

    좌,우 대칭적이여서 좌우 구분이 가장 어려운 치아는?

    하악 중절치

  • 41

    하악 중절치와 1:1 교합을 하는 치아는?

    상악 중절치

  • 42

    하악 중절치는 근/원심경 이 순/설경보다 - -

    작다

  • 43

    계승치중 가장 먼저 맹출되는 치아는?

    하악 중절치

  • 44

    하악 중절치는 - - - -을 띄지만 뚜렷하지 않다

    우각상징

  • 45

    하악 중절치는 - - - -, - - -, - - - -이 거의 없거나 약하게 존재

    순면융선, 순면구, 복와상선

  • 46

    다른 절치와 달리 순면과 설면의 크기가 거의 유사한 치아는?

    하악 중절치

  • 47

    하악 중절치에서는 - - -를 볼 수 없다

    극돌기

  • 48

    하악 중절치는 변연융선과 설면결절의 발육이 - -

    미약

  • 49

    하악 중절치의 설면결절의 위치는?

    중앙

  • 50

    사절치중 치근이 가장 짧은 치아는?

    하악 중절치

  • 51

    하악 중절치는 - - - -이 미약해 좌,우 구분이 비교적 어렵다

    만곡상징

  • 52

    하악 측절치는 - - 이 잘 나타나는 치아이다

    총생

  • 53

    총생이 잘 나타나는 치아는?

    하악 측절치

  • 54

    4절치중 치근이 가장 긴 치아는?

    하악 측절치

  • 55

    하악 측절치는 - -연이 - -연 보다 길다

    근심, 원심

  • 56

    하악 측절치도 중절치와 같이 - - -, - -이 뚜렷 하지 않다

    발육구, 융선

  • 57

    하악 측절치는 중절치와 같이 - - - -과 - - - -이 미약하다

    변연융선, 설면결절

  • 58

    하악 측절치는 설면결절이 - - 에 치우침

    원심

  • 59

    하악 측절치의 근/원심 접촉부 중 하악 견치와 접촉하기 위해 - -의 접촉부가 더 밑으로 내려가 있다.

    원심

  • 60

    하악 측절치의 절단연이 중절치보다 - - 위치

    설측

  • 61

    하악 측절치는 중절치에 비해 치근단의 - - - -가 뚜렷 하다

    원심경사

  • 62

    하악 측절치는 절단이 - -경사, 하악 중절치는 - -경사 이다

    원심, 수평

  • 63

    하악 측절치와 중절치의 설면결절의 위치는?

    원심, 중앙

  • 64

    상악 절치는 절단이 순/설경의 - -에 위치 하악 절치는 절단이 순/설경의 - -위치

    중앙, 설측

  • 65

    상악 치아가 하악 치아보다 발육이 어떤가?

    좋다

  • 66

    상, 하악 절치중 치근에 나타나는 특징은 - -이 더 뚜렷함

    하악

  • 67

    상악: 근/원 @ 순/설 , 하악 : 근/원 @ 순/설

    >, <

  • 68

    치근의 길이가 17mm인 치아는?

    상악 견치

  • 69

    치관의 길이가 11mm인 치아는?

    하악 견치

  • 70

    설면윤선을 유일하게 갖는 치아는?

    견치

  • 71

    견치에게만 유일하게 존재하는 것은?

    설면융선

  • 72

    견치는 - - - -이 잘 되는 치아이다.

    자정작용

  • 73

    발거율이 낮아 주춧돌이라고 불리는 치아는?

    견치

  • 74

    견치는 - - - 치아라고 불리기도 한다

    주춧돌

  • 75

    견치는 - - -,- - - ,- - - 라고 불리기도 한다

    창두치, 첨두치, 송곳니

  • 76

    견치는 근/원심경 @ 순/설경 이다

    <

  • 77

    견치는 - - , -의 발육이 뚜렷함

    융선, 구

  • 78

    견치는 -개의 첨두를 갖는다.

    1개

  • 79

    상악 견치는 원심절단연이 근심절단연보다 -다.

  • 80

    상악 견치는 원심 반부가 근심반부보다 -다.

  • 81

    상악 견치는 - - 상징을 보인다

    우각

  • 82

    상악 견치는 - - - -이 뚜렷하다

    복와상선

  • 83

    상악 견치는 설면결절에서 첨두를 향해 - - - -이 발달 하였다.

    설면융선

  • 84

    상악 견치는 - - - -, - - - - ,- - - - 가 발달 하였고, - - - 도 나타난다.

    설면결절, 설면융선, 변연융선, 극돌기

  • 85

    상악 견치의 순/설경 @ 근/원심경 , 근심 반부 @ 원심 반부 이다

    >, <

  • 86

    상악 견치는 - - 상징도 나타 난다 2

    만곡

  • 87

    하악 견치는 상악 견치보다 더 -다.

  • 88

    하악 견치는 - -, -의 발육이 미약하다

    융선, 구

  • 89

    치경선 만곡도 차가 가장 크게 나는 치아는?

    하악 견치

  • 90

    하악 견치는 근/원심경@순/설경 이다

    <

  • 91

    하악 견치의 천두의 위치는?

    근심

  • 92

    하악 견치는 근심 절단연 @ 원심 절단연 , 근심 반부 @ 원심 반부 이다.

    <, <

  • 93

    하악 견치도 견치라 - - - -이 존재

    설면융선

  • 94

    하악견치아 상악 견치에 비해 전체적으로 발육이 ——

    않 좋다

  • 95

    하악 견치는 절단에서 첨두가 순/설경 중앙에서 - - , 근/원심경 중앙에서 - - 이다

    설측, 근심

  • 96

    상악 견치는 절단에서 첨두가 순/설경 중앙에서 - - , 근/원심경 중앙에서 - - 이다

    순측, 근심

  • 97

    상악 견치의 첨두는 - -, - -ㅣ 하악 견치의 첨두는 - -, - -

    높고, 예리, 낮고, 둔함

  • 98

    상악 견치는 설면융선의 발육이 - -, 하악 견치는 설면융선의 발육이 - - 이다

    좋고, 미약

  • 99

    상악 견치의 융선, 구의 발육은 --, 하악 견치의 융선, 구의 발육은 --하다

    좋고, 미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