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전투배치 시 전투정보실 전반을 지휘/감독하고 전투정보실 임무수행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있는 전투정보실 요원은 누구인가?
평가관(부장)
2
전투정보실 요원의 조직 및 훈련에 대한 책임을 지며, 전투정보실 내 비치된 각 기기의 정비, 관리 유지에 대한 관리/감독을 통제하는 전투정보실 요원은?
전투정보관
3
전탐 당직사관을 보좌 및 자함, 접촉물 등 각종 정보사항을 기점하고 기동에 관한 사항을 권고하는 요원은?
전탐 부직사관
4
함외통신의 기본요소 4가지
신뢰성, 보안성, 신속성, 융통성
5
항해 중 전탐기를 작동 시 장비현황, 기상상태, 인수인계 사항, 기타 항해에 필요한 정보 및 작전현황, 접촉물 현황 등의 내용을 기록하는 것은?
전탐일지
6
무궁화 5호 위성을 이용한 함정 및 육상부대 간 비화 DATA통신이 가능한 문자채팅 및 화상회의 작전 통신망은 무엇인가?
실시간 문자망
7
함외 통신망 점검은 언제하는가?
출항 또는 작전구역 진입시
8
전투정보실 당직사관은 출항준비시 각각의 기기의 장비 작동상태를 출항 ()전이 확인하여 ()에 보고한다.
1시간, 작전관
9
해상작전의 제반 전술정보를 실시간에 수집, 분석 및 전파하여 지휘관이 신속하게 대응토록 구축된 전술자료처리체계는?
해군전술자료처리체계
10
공간의 어떤 점이나 위치가 하나의 기준에 의하여 나타내는 방향은?
방위
11
진자오선과 관측자와 목표물이 이루는 각이자, 진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360도로 분할되어 있는 것은?
진방위
12
동일선상에 있는 함정 간 종적 공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거리
13
함정이 지시된 침로를 유지하면서 향진할 수 있는 최저속력은?
타효속력
14
함정이 발휘할 수 있는 최대마력을 사용한 속력은?
최대속력
15
함정이 발휘할 수 있는 최저마력을 사용한 속력은?
최저속력
16
지렁이기동 등과 같이 항해시 기본침로를 따라 항진한 결과의 속력은?
기본속력
17
전술단위부대 지휘관에 의하여 지시된 속력으로서 통상 향도함이 항진하도록 지시된 속력은?
지정속력
18
지정속력이 지정되지 않았을 시 함정이 항진하게 되는 속력으로서 통상 경제속력아 되는 속력은?
평상속력
19
함정이 전투시나 특정한 작전 시 지정된 기간 동안 항진하도록 지시된 속력은?
작전속력
20
작전속력보다 낮은 속력으로서 함정이 기동 및 위치 변경 시 사용하도록 지정된 속력은?
기동속력
21
함수선과 관측자와 목표물이 이루는 각을 말하며, 함수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360도 분할되있는 방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상대방위
22
복렬진에서 사용되는 기동방법으로, 대열향도는 진향도에 대해 진방위 및 거리를 유지하고, 각 대열함정은 대열 향도에 대해 상대방위 및 거리를 유지하는 기동항법은?
동시종전
23
음탐기의 성능을 과도하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개별 수상함이 기동할 수 있는 최고속력은 무엇인가?
최대음탐속력
24
당시 해양조건하에 일정기간 동안 개별 수상함마다 음탐기의 최대 수색구역을 가질 수 있는 속력은?
최적음탐속력
25
2척 이상의 함정 또는 부대의 질서있는 배열은 무엇인가?
진형
26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진형의 배치는?
배진
27
하나의 단대 또는 분대로 형성된 진형이며 종렬진, 횡렬진, 사열진, 능형진, 쐐기진 등이 있는 진형은?
단열진
28
2개 이상의 단대 또는 분대로 형성된 진형이며 분대 종렬진, 단대 종렬진, 분대 횡렬진 단대 횡렬진이 있는 진형은 무엇인가?
복열진
29
적 세력으로부터 해상전력 또는 선단을 보호하기 위한 진형은?
경계진
30
진형을 형성하거나 위치 유지를 할 때 다른 함정의 기준이 되는 함정은?
향도함
31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진형으로 배진을 형성하였을 때 각 진형의 단위함정이 그 위치를 유지하는데 기준이 되는 함정은?
진 향도함
32
진북을 기준으로 함정이 향하려는 방향 또는 항적을 표시한 것은?
침로
33
대열 내의 단위함정이 그 위치를 취하고 유지하는데 기준이 되는 함정은?
대열 향도함
34
회전이 향해지는 쪽의 익단함은 무엇인가?
회전축함
35
기동이 완료되었을 때 향도로부터 자함의 상대방위 및 거리를 그대로 유지토록 기동하는 방법은?
종전
36
각 함이 동시에 지시된 방위로 변침하여 향도함에 대한 진방위 및 거리를 유지하는 기동방법은?
일제회전
37
한국 해군함정 전술기동 표준거리에 명시된 중/대형함의 표준거리는?
1000yds
38
함정이 일정한 타각으로 180도(R) 변침하여 역침로가 되었을 때 원침로 항적과 역침로 항적 간 수직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전술선회경
39
한국 해군함정 전술기동 표준거리에 명시된 소형함의 표준거리는 얼마인가?
500yds
40
한국 해군함정 전술기동 표준거리에 명시된 고속정의 표준거리는 얼마인가?
200yds
41
어떠한 함정의 배열에서도 진형성이 가능하며 향도가 지정되지 않으면 현재 향도를 기준으로 함수/미 선상에 배열된 진형은?
종렬진
42
고속으로 항해하고 있을 경우 또는 음탐기의 항적 간섭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형성하는 진형은?
종렬산개진
43
지정침로로 항해시 해류 또는 조류 이외의 기상영향을 받아 결과적으로 항진하게 되는 방향 또는 침로는?
대수침로
44
용이한 항해 및 시각신호의 편의를 위해 진형을 형성하며 통상 종렬진에서 형성되는 진형은?
개열진
45
대공화력의 산호 지원시 또는 넓은 간격이 필요시 형성하는 진형은?
능형진
46
어떠한 함정배열에서도 진형성이 가능한 진형이며, 향도가 지정되지 않으면 현재 향도를 기준으로 정횡선상에 배열한 진형은?
횡렬진
47
탐색공격단대가 대잠탐색을 실시 중이거나 일정한 형태의 진형설정이 요구되지 않을 때 주로 형성하는 진형은?
횡렬산개진
48
횡렬진 및 횡렬산개진 형성 중 탐색을 병행하면서 변침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기동방법은?
수색회전
49
함정을 향도의 정횡, 함수 • 미 선상 이외의 상대방위 또는 진방위 선상에 배열한 진형은?
사열진
50
향도에 대한 자함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가장 빠른 순서로 향도로부터 지시된 방위 또는 역방위에서 기준방위 전/후 15도 이내에 위치하는 진형은?
사열산개진
51
능형진의 종전 시 종전제한각은 몇 (R)인가
30도(R)
52
해류 및 조류의 영향을 고려하여 함정의 지리적 두 지점간을 이동했을 경우 결과적으로 이동한 방향 또는 침로는?
대지침로
53
전술단위부대 지휘관에 의해 지정된 침로로서 함정이 항해중이거나 항해가 될 진침로는?
지정침로
54
개열진 형성 후 종전 시 최후미함의 종전이 완료되면 진형은 어떻게 되는가?
개열진으로 재배열한다.
55
역전 신호 수신 시 향도함의 속력은 어떻게 변하는가?
기동속력보다 1kts 적은 속력으로 증속한다.
56
함정이 지렁이기동과 같은 항해 시 상황에 따른 침로 변화와 무관하게 실제 항해하고자 의도하는 침로는 무엇인가?
기본침로
57
추진기가 얻은 추력으로 전진하는 운동의 양은?
속력
58
지정속력 또는 회피 항해용 기본속력에 대해 해류 또는 조류 이외의 기상 영향을 받아 결과적으로 항진하게 되는 속력은?
대수속력
59
함정 및 항공기의 조난 등 긴급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국제조난 및 긴급통신망은?
조난통신망
60
무선통신 중 중간 개입하고자 할 때, 통신소는 교신이 잠시 중단되는 기회간 다음 절차용어를 2회 반복한다. 이 절차용어는?
긴급
61
통신당직 지정 중 교신내용을 무휴 청취하는 것으로 계속적인 송/수신 당직 배치 및 일지를 기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Guard
62
통신당직 지정 중 교신내용 확인을 위 해 수신을 하고 일지 기록은 선택적으로 하는 것은?
Listen
63
무선전화의 운용에 있어 중요한 3대 요소는?
신뢰성, 신속성, 보안성
64
전보의 우선순위 중 최초 접촉보고 또는 작전에 최고도로 위급을 요하며, 가능한 최단 시간내 처리해야 하는 것은?
위급(Z)
65
전보의 우선순위 중 국가 및 연합군 또는 국민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사항에 관련되며, 1시간 이내에 처리해야 하는 것은?
긴급(O)
66
전보의 우선순위 중 중요한 작전관계 및 정보사항에 부여하며, 행정관계 전문에 부여할 수 있는 최고 순위로 6시간 내에 처리해야 하는 것은?
지급(P)
67
발광 송신 절차법 중 단일부대호출 및 비교적 원거리에 사용하는 절차법은?
지향절차법
68
전보의 구분 중 내용에 의한 구분은?
작전전보, 행정전보, 훈련전보
69
해경정, 혹은 일반 선박에 “A"기류는 무슨 의미인가?
수중작업 중
70
“ㅠ(R)" 단자신호기의 의미는?
해상보급
71
군함이 상선과 기류로써 통신하고자 할 떄의 교신방법은?
장두에 Code기 게양
72
“ㄷ(B)" 단자신호기의 의미는?
사격훈련, 유류 공/수급, 폭발물 하역 및 적재
73
긴급한 경우나 2개 이상의 부대를 즉각 행동시킬 때 사용하는 무선전화 절차용어로 분문 송신은 절차용어 재송함을 사용하여 두 번씩 송화하며, 실행할 때에는 절차용어 준비를 예고하고 집행의 마지막 순간임을 알리며 이어서 곧바로 절차용어
즉시집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