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현재 자기 자신이 스스로에 대해 갖고 있는 이미지, 주관적 이미지
실제적 자기이미지
2
사회적 동조현상이 일어나 수요 급격히 증가, 사회적으로 적합하다는 느낌 강해짐
가속기
3
5초 동안 첫인상 형성이 가능하고 30초 동안 평가가 가능한 이론
대인 지각 이론
4
패션의 속성 1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5
특유한 의복을 나타냄, 전통의상, 민족의상, 연극의상, 신부의상
의상
6
특정한 상황에서 타인이 자신에 대하여 가져주기 바라는 자기이미지
상황적 자기이미지
7
이성을 유혹하기 위해 신체의 특정한 성적 부위로 주위를 끌고자 하는 목적으로 의복을 착용
비정숙설
8
모래시계를 닮은 실루엣
hourglass silhouette
9
짧은 수명주기, 급격한 확산, 하위문화 집단 내에서 공유, 특이한 스타일
패드
10
주류문화에 대한 반항 표출, 슬림한 실루엣, 벨벳 칼라나 커프스
테디 보이
11
캐주얼하고 편아한 운동복 종류를 즐겨 착용하는 이미지
스포티 패션 이미지
12
1차 패션 산업, 원부자재 공급업체,
업스트림
13
패션의 속성 1&2는 공존 할 수 있는가?
공존 가능
14
신체보호와 심리보호를 위해 의복을 착용
보호설
15
호피무늬 패턴
leopard
16
첫인상이 좋은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능력도 있고 똑똑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심리효과
후광 효과
17
싫증과 지루함을 느끼는 단계, 가격을 크게 할인하여 재고를 소진하고자 한다
하락기, 폐용기
18
타인에게 보여지는 모습으로서의 자기이미지
면경 자기이미지
19
개인의 성격을 5가지로 분류한 것
플러머
20
사회적 가시도가 증가, 광고나 디스플레이로 집중 홍보
상승기
21
보헤미안 문화, 중산층 지식인이 주를 이룸, 목가적인 블라우스와 원피스, 꽃무늬
히피
22
패션은 상류계층에서 중류계층을 거쳐서 하류계층으로 점진적으로 전파된다는 이론
하향 전파 이론
23
솔로몬 애쉬가 제시한 효과
정보 제시 순서의 효과
24
매력적이고 잘생긴 상대와 같이 있으면 그와 비교되어 자신의 이미지가 평가절하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심리 효과
대비 효과
25
첫인상 개념의 공통점
일회성, 신속성, 시각적 정보, 일방성
26
2024 fw 백 트렌드
top handles, bag charms, portfolio bags, double bags
27
주류 문화에 속한 사람들과 다른 사고, 생활방식을 가진 사람들
하위 문화 집단
28
열등한 외모나 부정적인 첫인상때문에 다른 측면까지도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되는 심리 효과
악마 효과
29
패션의 속성 3
패션은 변화하지만 반복하기도 한다
30
대상을 인지할 때 가능하면 노력을 덜 들이고 결론에 이르려는 속성을 가진 효과
인지적 구두쇠 효과(고정관념)
31
한 번 이미지화 된 첫인상은 쉽게 변화시킬 수 없는 효과
콘크리트 효과
32
2024 fw 액세서리 트렌드
big&bold, chandelier, bold chain
33
2024 fw 컬러 트렌드
olive green, burgundy, grey anatomy, brown hues, lady in red
34
먼저 제시된 정보가 나중에 제시된 정보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효과
초두 효과
35
같은 계층 내에서 수평적으로 일어나게 된다는 이론
수평 전파 이론
36
체크 패턴
plaid
37
피복류 전반과 부속되는 장식품을 포함
복식
38
3차 패션산업, 패션 도소매 유통업체, 도매업자
다운 스트림
39
첫인상이 안좋았다고 할지라도, 지속해서 좋은 행동이나 태도를 보이면 점차 좋은 인상으로 바뀌는 심리 효과(최소6번)
빈발 효과
40
노동 윤리 중시, 인종주의에 반발, 노동 계급 표현, 민머리, 멜빵
스킨 헤드
41
슈트발을 내새울 수 있는 재킷, 코트 각잡힌 실루엣, 파워 숄더 라인, 과장된 오버핏
power shoulder
42
일정한 시기에 인기가 있고 널리 인정되어 입혀지는 스타일
패션
43
모던한 취향, 중산층, 깔끔하고 슬림한 슈트
모즈
44
긴 수명주기, 낮은 정점, 사회 전반에 확산, 전통적인 스타일
클래식
45
청청패션
denim on denim
46
스스로 추구하는 자기이미지
이상적 자기이미지
47
신체를 아름답고 매력 있게 장식해서 기쁨을 얻고자 의복을 착용
장식설
48
패션의 속성 2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취향이다
49
패션 수명주기의 초기단계, 유행 혁신자들이 채택
하이 패션
50
2차 패션산업, 제조업체, 의류 제조업
미드 스트림
51
사회적으로 포화 상태, 전혀 새롭지 않다
절정기
52
재킷 등 잘 재단된 옷을 비롯하여 보수적이며 베이직한 옷차림을 선호하는 이미지
클래식 패션 이미지
53
물질주의, 인종차별주의에 반대한 청소년 집단, 메탈장식, 모히칸 헤어 스타일
펑크
54
피복이 적절한 방식에 의해 인간에게 착장되어 나타난 상태
복장
55
긍정적인 특성보다 부정적인 특성이 인상 형성과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 효과
부정성 효과
56
인체를 감싸고 덮는 것, 걸치는 것의 총칭
피복
57
신체 노출에 대한 수치심 때문에 신체를 가리기 위해 의복을 착용
정숙설
58
상품을 통해 표현되는 자기이미지
상품 표현적 자기이미지
59
하위 문화집단에서 시작하여 상류층으로 전파된다는 이론
상향 전파 이론
60
패션 수명주기의 초기단계, 유행 혁신자들이 채택
하이 패션
61
패션의 속성 4
패션은 극단에 이른 후 다른 스타일로 향한다
62
대담하고 개성이 강하며 다채로운 컬러의 의복을 선호하는 이미지
드라마틱 패션 이미지
63
여성스럽고 섬세하며 사랑스러운 의복을 선호하는 이미지
로맨틱 패션 이미지
64
정통 하이패션과 엘리트주의에 대한 반발, 자유분방함 상징, 오버사이즈 스웨터, 체크 패턴
그런지
65
패션 주기의 정점, 대중들에 의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 패션
매스 패션
66
어깨가 둥글게 떨어지는 누에고치를 닮은 실루엣
cocoon silhouette
67
하의실종 패션
micro shorts
68
단순하고 가공이 가해지지 않은 재질로 만들어진 중성색의 착용을 선호하는 이미지
내추럴 패션 이미지
69
콘크리트 효과에서 한번 이미지 화 된 첫인상은 절대 바뀌지 않는가?
절대 바뀌지 않는 것은 아님
70
새로운 패션이 사회에 소개되는 단계, 하이패션 디자이너가 새로운 디자인 소개
소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