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운영체제
윈도우
2
커널와 쉘로 구성된 운영체제
유닉스
3
리누스 토발즈가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한 운영체제
리눅스
4
애플이 유닉스 기반으로 개발한 운영체제
MAC OS/IOS
5
구글이 리눅스 커널 기반으로 개발한 모바일 운영체제
Android
6
UNIX 구성요소
커널, 쉘
7
기억 장치 6개의 종류
레지스터:중앙처리장치(CPU) 내부에 위치(가장빠른속도) 캐시메모리:속도 격차 줄이기위해 주기억장치:CPU 직접 접근해서 연관메모리:기억된 내용 일부 이용 보조기억장치:기억 용량이 큼 SSD: 반도체 기반
8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법
가상기억장치
9
가상기억장치를 모두 같은 크기의 블록으로 편성하여 운용하는 기법/내부 단편화 발생
페이징 기법
10
가상 메모리를 크기가 다른 논리적 단위인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메모리를 할당하는 기법/외부 단편화 발생
세그먼테이션 기법
11
기억장치 관리 전략 세 가지
배치 전략: 주 기억장치 어디 배치할까 최초 적합: 첫번째 최적 적합: 단편화 최소화 최악 적합: 단편화 최대화 교체 전략: FIFO
12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
OPT
13
가장 먼저 들어와 가장 오래 있던 페이지 교체
FIFO
14
최근에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 교체
LRU
15
사용 빈도가 가장 적은 페이지 교체
LFU
16
프로세스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스래싱
17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
스레드
18
여러 프로세스의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기법
스케줄링
19
선점형 스케줄링으로 우선 순위 없이 시간 단위로 cpu 할당(공평한 자원 분배)
Round Robin
20
비선점형 스케줄링으로 프로세서 도착 순서에 따라 순서 결정
FCFS(first come first serve)
21
교착 상태 필요 충분 조건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점유 및 대기(Hold and wait) 비선점(Non-preemption) 환형 대기(Circular Wait)
22
RAID 형태(0~6까지)
0 스프라이트 사용**중요 1 미러링 사용**중요 2 해밍코드 3 패리티 정보 저장용 4 블록 단위 분산 저장 5 패리티 정보 포함 6 패리티 정보 디스크에 분산 저장
23
스토리지 종류로, PC나 서버에 직접 연결
DAS(Direct Attachted Storage)
24
통신 프로토콜 기본 요소
구문 의미 타이밍
25
양방향 통신에서 정보 프레임과 응답 프레임을 동시에 교차 전송하는 방식
피기배킹
26
OSI 참조 모델 7계층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
27
HDLC 전송 모드
정규 응답 모드: 종국에서 데이터 전송 시 주국 허락 필요 비동기 균형 모드: 대등한 혼합국 관계 비동기 응답 모드: 불균형 모드
28
다른 컴퓨터 접속 후 원격 서비스 제공/가상의 터미널 기능 수행
Telnet[포트번호:23]
29
IP와 함께 통신 간 오류 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 등 제어 메시지 관리
ICMP
30
호스트 IP 주소를 네트워크 접속 장비의 물리적 주소(MAC)로 바꿈
ARP
31
물리적 주소(MAC)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기능
RARP
32
송수신 호스트 간 패킷 전달 경로를 선택
라우팅
33
응용 프로그램이 OSI 환경에 접속 가능한 서비스를 하는 계층
응용 계층
34
응용-세션 간 코드/데이터 변환, 데이터 암호화/압축 하는 계층
표현 계층
35
컴퓨터 간 세션/연결을 생성/유지/종료하여 적절한 통신 상태 유지하는 계층
세션 계층
36
종단 간 투명한 데이터 전송/전달 주소설정/다중화/오류제어/흐름 제어 수행하는 계층
전송계층
37
개방 시스템 간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데이터 교환 경로 설정,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 하는 계층
네트워크 계층
38
송/수신 간 속도 차이 해결 위한 흐름 제어 기능 프레임 동기화/오류 제어 기능/ 노드 간 프레임 전송 하는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39
전송에 필요한 기계적, 전기적, 기능젹 특성을 정의 데이터를 0과 1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 하는 계층
물리 계층
40
우선 순위가 낮은 프로세스가 무한정 기다리는 현상
기아 현상
41
기아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기법
에이징 기법
42
패킷 전송 전 논리적 통신 경로를 미리 설정
가상 회선 방식
43
스토리제 종류로, LAN을 통해 서버와 연결
NAS(Network Attached Storage)
44
스토리지 종류로, 파이버 채널 스위치를 통해 연결
SAN(Storage Area Network)
45
비선점형 SJF 기법을 선점 스케줄링 형식으로 변경 잔여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 CPU 우선 할당
SRT
46
프로세스 그룹화 후 각 그룹마다 다른 준비 상태 큐를 사용 하위 준비 상태의 큐 실행 간 상위 준비 상태 큐 유입 시 상위 프로세서에 CPU 우선 할당
다단계 큐
47
프로세서 생성 시 가장 높은 우선 순위 준비 큐에 등록되며 등록된 프로세서는 FCFS 순서로 CPU를 할당받아 실행
다단계 피드백 큐
48
교착 상태 해결 방법
예방 회피 발견 회복
49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순서 제어/오류 제어/흐름 제어 기능->높은 신뢰성
TCP
50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
PCB
51
프로세스 전환 과정
문맥 교환
52
프로세스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
IPC
53
수신 측에서 재전송 요구 없이 스스로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식
전진 오류 수정
54
오류 발견 시 송신측에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패리티 검사)
후진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