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인면상, 안면상, 사람 얼굴 조각상
신석기 (양양 오산리)
2
왕이 죽으면 옥갑을 사용했고 많은 사람들을 껴묻거리와 함께 순장했다.
부여
3
새의 깃털을 사용하여 장사(장례식)를 지냄.
삼한 중에서도 변한, 진한
4
흑요석
신석기
5
영고는 ( )월에 열림
12월 (부여)
6
단궁, 과하마, 반어피
동예
7
졸본에서 국내성 천도
유리왕
8
서옥제
고구려
9
( ) 시대에 영혼 숭배 사상이 있어 사람이 죽으면 흙 그릇 안에 매장하였다.
신석기 (토테미즘, 애니미즘, 샤머니즘)
10
한양도성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올랐으나 실제로 등재가 되지는 못했다.
ㅇㅇ
11
돌날격지, 슴베찌르개
후기 구석기
12
홈자귀ㅇㅇㅇㅇㅇ
청동기 (공구)
13
고조선 세력 범위 증명 :
비파형 동검, 탁자식 고인돌, 미송리식 토기, 거친무늬 거울 (청동기 유물들임)
14
최초로 고조선을 언급한 문헌
관자 (제나라와의 교역)
15
간접떼기, 눌러떼기
후기 구석기
16
외날찍개, 양날찍개, 주먹도끼
전기 구석기
17
군장의 등장
청동기 군장 = 제사장
18
창원 다호리 붓
철기
19
삼대목
진성여왕
20
전북(=호남 동부)까지 세력 확장
대가야
21
광개토에게 도움을 요청한 왕
내물마립간
22
서안평 공격
동천왕 (관구검 침입, 옥저로 도망)
23
동경에서 상경 천도
성왕
24
현존 최고 석탑
미륵사지석탑 (참고로 ‘목탑’양식의 ‘석탑’이다.)
25
상원사 동종
성덕왕 (현존 최고 범종)
26
백제 무왕의 왕후가 넣은 사리기가 발견된 탑
미륵사지석탑
27
동시전
지증왕
28
일본에 건너가 삼론종의 시조가 된 승려
혜관 (영양왕)
29
단양이, 고안무
무령왕 (일본에 오경박사로 파견)
30
부소산성
성왕 (‘사비’에 부소산성을 중심으로 나성을 축조했다.)
31
적석총
= 돌무지무덤 (고구려, 백제 초중반) (ex. 장군총)
32
상대, 중대, 하대로 구분
삼국사기 중대 : 무열 - 혜공
33
강서대묘 양식
굴식돌방무덤 --- 고구려 : 쌍영총, 무용총, 각저총, 강서대묘 백제 : 송산리 6호분, 능산리 고분군 통일신라 : 김유신묘
34
발해는 당으로부터 비단, 서적, 금 · 은으로 만든 그릇 등을 수입 발해는 당에게 모피, 인삼, 말, 자기 등을 수출
발해가 당나라보다 더 부유했다고 생각하기
35
장보고는 ( )에 법화원을 건립했다.
산둥반도
36
민정문서에 [전답면적의 증감(=논과 밭의 증감)]은 기록되어 있지않다.
ㅇㅇ
37
관직에 따라 지급 - ( ) 공로에 따라 지급 - ( )
녹읍 식읍
38
태평송
진덕여왕
39
이사부, 사다함이 활약
대가야 정복
40
신라 불교 최초 유입
눌지 마립간 (승려 묵호자)
41
( )이 신라 40여개의 성을 함락 -> 나당 연합을 결성하여 대응
의자왕 (대야성 함락)
42
대야성 함락 - [ ] - 안시성 전투 - 황산벌 전투 - ..
(대야성 전투로 신라가 밀리자 고구려에게 동맹 요청했으나 거절, 그래서 당나라와 신라 동맹 체결) 나당연합
43
22부, 5부 5방
성왕 (무령왕 : 22담로) 성왕 : 22부, 5부 5방
44
울주반구대 바위그림, 고령양전동 바위그림
청동기
45
한반도 최초의 인류 화석 발굴
덕천 승리산 동굴 (구석기)
46
사람의 얼굴을 새긴 털코뿔이 뼈 출토
제천 점말 동굴 (구석기)
47
흥수아이
청원 두루봉 동굴 (구석기)
48
돌자귀, 홈자귀
청동기 (농경에 사용된 도구)
49
평제탑
정림사지 석탑
50
후, 읍군, 삼로
옥저, 동예
51
풍수지리설은 ( )부터 도입되었다.
신라 말 (승려 도선)
52
돌무지덧널무덤
황남대총, 호우총, 서봉총, 천마총
53
감은사지 3층석탑
신문왕
54
3성 6부 5경 15부 62주
문왕 선왕
55
왕이 질양(質陽)으로 사냥을 갔다가 길에 앉아 우는 자를 보았다. 왕이 말하기를 “아! 내가 백성의 부모가 되어 백성들이 이 지경에 이르게 하였으니 나의 죄로다.” …(중략)… 그리고 관리들에게 명하여 매년 봄 3월부터 가을 7월까지 관청의 곡식을 내어 백성들의 식구 수에 따라 차등 있게 빌려주었다가, 10월에 이르러 상환하게 하는 것을 법규로 정하였다.
진대법 (고국천왕)
56
토우
신라 전기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주로 발견
57
사신도ㅇㅇㅇㅇㅇ
강서대묘 (돌무지무덤) 고구려의 돌무지무덤 : (+ 장군총, 쌍영총, 무용총, 각저총)
58
통일신라 민정문서를 ( )년마다 작성
3
59
통일신라 민정문서 : 인구는 연령 성별에 따라 ( )등급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호구는 인정의 다소에 따라 ( )등급(상상호 ~ 하하호)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6 9 (상상호 - 하하호)
60
국학을 태학감으로 고쳤다.
경덕왕
61
왕토 사상을 기반으로 농민과 토지에 대한 국가의 직접적인 지배 관계가 형성되었다.
정전 (성덕왕)
62
양인농민을 백정이라 부른 것은 ( )시대의 일이다.
고려
63
김춘추의 둘째 아들이자 문무왕의 동생
김인문
64
움집의 바닥은 원형이나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다.
신석기 시대
65
창원 다호리붓
철기
66
우륵 출신
대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