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역원근법이란?
가까운 것은 작게 먼 것은 크게 그리는 방법
2
동양화 가운데 건물을 주로 그린 그림은?
계화
3
‘동궐도’에서 주로 사용한 투시도법은?
평행투시도법
4
책거리그림이란?
쌓아올린 책을 중심으로 기물과 문방사보를 주로 그린 조선시대 민화
5
서양화 가운데 역원근법을 많이 사용한 나라는 어디이고 시기는 언제인지?
중세 러시아, 중세 (10세기 전후)
6
이집트 고분 벽화에서 인물을 그리는 원칙은?
얼굴은 측면이지반 눈은 정면, 가슴은 정면이지만 다리는 측면으로 그림
7
사혁이 색채와 관련하여 말한 주요한 원칙은?
수류부채
8
백묘란 무엇인가?
윤곽선으로만 그린 그림
9
동양화 기법에서 훈염이란 무엇인가?
점점 짙거나 점점 희미하게 그리는 그라데이션 기법
10
고굉중의 <한희재의 밤잔치>는 어떤 구성으로 되어 있는가?
비파 듣기, 춤, 구경, 휴식, 음악 감상, 전송 등 다섯 단락으로 시간 순서에 따라 구성
11
‘청록 산수화’람 무엇이며 대표 작가는?
청록색을 많이 쓰는 산수화 , 이사훈
12
동양에서 말하는 오색은?
파랑, 빨강, 노랑, 하양, 검정
13
‘구륵전채’란?
먼저 먹선으로 테두리를 그리고 그 속에 색깔을 채워 넣는 기법
14
프리즘으로 빛의 편광 현상을 발견한 사람은?
뉴턴
15
먼셀의 색 체계에서 명도 10은 무슨 색인가?
흰색
16
묵분오색은 무엇인가
먹 속에 오색이 있다는 뜻
17
사의화는 무슨뜻
먹으로 빠르게 그린 그림
18
묵운과 묵취는 무엇인가
먹의 운용을 나타나는 조화로운 느낌과 정취
19
인상파 화가들은 색채를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사물의 형태보다 빛의 움직임과 밝기를 나타내기 위해 색채 사용
20
점묘파의 대표적 화가와 작품은 무엇인가
쇠라, 그랑드 자트섬의 일요일 오후
21
인체의 비례를 정하여 ‘카논’이라 명명한 그리스 조각가는?
폴리클레이토스
22
팔등신 인체상을 처음 만든 사람은 누구?
리시포스
23
로마 시대 건축가 비트루비우스가 설명한 글을 토대로 이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사람은?
다빈치
24
황금분할의 비는 얼마인가?
1:1.618
25
그리스의 솔거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제욱시스
26
서양화는 화면 위에 현실 세계를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고 눈속임 작품이 발달하였다. 눈속임을 프랑스어로 무엇이라 하는가?
트롱프뢰유
27
삼차원 사물을 이차원 화폭에 옮기기 위해 처음으로 그리드 틀을 사용한 사람은?
알베르티
28
동양화에서 꽃가지만을 그리는 화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절지
29
동양화에서 특징적으로 채용하는 투시도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산점투시
30
동양의 산수화에서 먼 공간감을 나타내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삼원법
31
구도와 구성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구도는 제한된 공간 안에 형상을 배치하는 것이지만, 구성은 작가의 의도를 강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형상을 가감하는 것을 말한다.
32
통병의 예를 들어보자.
일월오약도
33
역삼각형 구도의 그림을 하나 찾아보자.
꽃을 꽂은 꽃병
34
제리코의 <메투사 호의 옛목>은 어떤 배경에서 그려졌는가?
19세기 초 프랑스의 군함 메두사 호가 아프리카에 있는 식민지 세계갈로 가는 도중 일어난 조난 사고를 배경을 그렸다.
35
경영위치의 뜻은 무엇인가?
위치를 잰다는 뜻으로 곧 화면의 배치를 말한다.
36
치진포세의 뜻은 무엇인가?
진을 배치하고 세를 깐다는 말로 화 속의 배치를 말한다.
37
흉중성죽의 뜻은 무엇인가?
송대 소동파의 말로, '가슴 속에 대나무가 있다' 는 뜻이며, 붓을 대기 전에 구체적인 그림이 마음속에 그려져야한다는의미이다.
38
중국화에서 제발과 낙관은 언제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는가?
원대
39
친탁기법의 예를 들어보자.
1) 풀을 그려서 흰 어백의 길을 만든다. 2) 구름을 그려서 흰 여백의 달을 만든다.
40
여백의 기원은 무엇인가?
공예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