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귀마개를 착용하고 작업하면 안되는 작업자는?
강재 하역장의 크레인 신호자
2
다음 중 제2도 화상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표피와 진피 모두 영향을 미친 화상으로 피부가 빨갛게 되며 통증과 부어오름이 생기는 화상
3
화재의 분류 중 C급 화재에 속하는 것은?
전기 화재
4
화재의 분류는 소화시 매우 중요한 역활을 한다. 서로 바르게 연결 된 것은?
D급화재-금속화재
5
"사고 시 다수의 중대재해 발생 및 법적으로 관리하는 작업"은 위험작업 등급 분류 기준에 따라 어느 등급에 해당하는가?
A급
6
"사고 시 중대재해 발생 가능이 낮은 작업"은 위험작업 등급 분류 기준에 따라 어느 등급에 해당하는가?
C급
7
"소량의 화학물질이 노출기준 미만으로 누출될 수 있는 잠재 작업"은 위험작업 등급 분류 기준에 따라 어느 등급에 해당하는가?
B급
8
"화재, 폭발 다량의 화학물질이 노출기준 이상으로 누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잠재된 작업"은 위험작업 등급 분류 기준에 따라 어느 등급에 해당하는가?
A급
9
[대기환경보전법],[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배출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사업장폐기물
10
I_마킹을 수행하는 목적으로 옳은 것은?
볼트 체결 상태 검사
11
I_마킹을 하여야 하는 범위는?
볼트+너트+와셔+플렌지
12
KOSHA GUIDE에서 정전 작업시 근로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을 정한 것으로 틀린 것은?
테스터기로 정전확인
13
Shop 제작 시 접합부 작업 실명제 스티커의 색상은 무엇인가?
흰색
14
TBM 주요 활동이 아닌것은?
시험 성적서 확인
15
가스용기를 취급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연성 가스용기는 눕혀서 보관한다.
16
감전사고시 응급조치 사항으로 맞는 것은?
전원을 차단한다
17
건섫공사 작업현장에 높이 8m 이상인 승강통로 설치 시 계단참은 몇 미터 마다 설치해야 하는가?
7m이내
18
건설공사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해 건설사 소속 안전 STAFF운영과 건설사 직발 OOOOO을 비치하여야 한다. OOOOO에 맞는 것은?
생명지킴이
19
건설공사로 인하여 건설현장에 발생하는 5톤 이상의 폐기물(공사를 시작할 때부터 완료 할때까지 발생하는 것만 해당)을 무엇이라 하는가?
건설폐기물
20
건설공사에서 사용되는 시방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시방서는 계약서류에 포함되지 않는다
21
공기 중에 있는 유해한 가스, 증기 등을 각각 효과적인 정화통을 통해서 제거하여 근로자의 호흡기내에 대한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은?
방독마스크
22
공사작업시 일반적인 작업구간에 확보되어야 하는 조도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
150 LUX이상
23
공사작업시 일반적인 작업구간의 조도 기준으로 합리적인 것은?
150LUX 이상
24
공사중 호흡기 예방을 위하여 착용하는 필수 보호구는?
방진마스크
25
공사현장에서 위험물 취급 시 관리방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위험물을 적재하는 경우 높이에 상관없이 2단 적재가 가능하다
26
공사현장에서 유류보관시설의 관리방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외부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 설치한다
27
공사현장에서 지정폐기물 보관시설의 관리방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지정폐기물 보관시설은 가능한 지하에 설치한다
28
공사현장에서 화학제품 저장시설의 관리방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저장시설 바닥은 흡수가 잘되는 투수성 재질로 제작한다
29
근로자 개개인이 착용하고 작업하는 것으로 위험과 유해에 따라 일어나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로 인한 부상의 정도를 경감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공단의 인증된 제품을 무엇이라 하는가?
보호구
30
근로자가 물품을 취급하는 작업 시 물품이 발등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장 바닥면의 상태가 나빠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은?
안전화
31
근로자가 작업 시 눈으로 비래하는 이물을 방지하여 눈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은?
보안경
32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높이 1M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설치하는 안전시설을 무엇이라 하는가?
안전난간
33
기상상태별 옥외 위험작업 금지 기준에 따라 체감온도 몇 C 이상 시 옥외 모든 작업을 중지할 수 있는가?
38C이상
34
기상상태별 옥외 위험작업 금지 기준에 따라 풍속은 몇 M/S 이상 시 작업을 금지해야 하는가?
10M/S
35
높은 곳에서 실시하는 작업으로 추락에 의한 사망 등 중대재해 발생 빈도가 높아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일정 높이 이상 작업시 의무적으로 추락방지 조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기준 높이는 얼마인가?
2M이상
36
누전 차단기의 설치 목적은 무엇인가?
지락
37
다음 ( ) 안에 적합한 용어는? ( ㄱ )는 해당 작업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작업 ( ㄴ )를 활용하여 작업 경과에 따른 준수 사항을 점검 하여야 하며, 시설결함, 불안전한 행동 등에 의해 중대사고가 예상 될 경우 작업자에게 위험성을 설명 후 작업 중지를 지시할 수 있다.
ㄱ 안전담당자 ㄴ 전중후 CHECK LIST
38
다음 빈칸에 적합한 용어는? OOO란 사고 및 품질실패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단계별 사전 위험요인을 도출하여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말한다
SOP
39
다음 중 제 2도 화상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표피와 진피 모두 영향을 미친 화상으로 피부가 빨갛게 되며 통증과 부어오름이 생기는 화상
40
다음 중 착용부위에 따른 보호구의 종류가 다르게 짝지어진 것은?
방진마스크,안면마스크
41
다음 중 호흡기에 착용하는 보호구가 아닌 것은?
안면마스크
42
다음 중 휴대용 비상 조명등의 설치기준으로 맞는것은?
건전지의 용량은 2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할것
43
다음중 활선작업 계획 수립시 유의사항 중 틀린 것은?
전원을 차단하면 안전한 것으로 간주
44
당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는 공구는?
몽키스패너
45
당현장에서 토크렌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공사는?
U볼트를 이용한 관지지 공사
46
대차 사용 시 대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바닥에서 1M 이내 높이로 적재
47
도면상의 누락 발생시 조치 방법은 무엇인가?
감독에게 즉시 통보한다.
48
동일건물의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업체의 동일인력이 시행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동일장소의 인정은 FAB내는 층 단위, FAB외는 ROOM단위)
동일작업
49
마무리 작업 자재 정리정돈 불량에 의한 위험 요인이 아닌 것은?
감전
50
먼지가 발생하는 공사에서 호흡기 예방을 위해 착용 해야 하는 것은?
1급 방진마스크
51
모든 자재 보관은 어디에 보관하는게 가장 좋은가?
옥내
52
모든 자재 보관은 어디에 보관하는게 가장 좋은가?
옥내
53
모든 자재 보관은 어디에 보관하는게 가장 좋은가?
옥내
54
모든 자재 보관은 어디에 보관하는게 가장 좋은가?
옥내
55
방치 우려가 없고 유가성이 있는 단일 재질이어야 하며, 이물질 함량이 낮고 추가가공 없이 원료로 사용 가능한 기준에 따라 환경부장관의 인정을 받은 폐기물이 아닌 물질 또는 물건을 무엇이라 하는가
순환자원
56
방화구조의 정의는?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57
벨트,로프 및 그 부속품에 의해 구성되어 작업 중 근로자의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은?
안전대
58
벽체 관통작업시 안구손상 방지를 위한 보호구는?
보안경 착용
59
보건,의료기관,동물병원,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의료폐기물
60
불에 타지 않는 성능을 가진 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불연재료
61
불연재료의 정의는?
불에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재료
62
비계 등의 발 디딤을 이용하여 높은 곳에서 실시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고소작업
63
비계 설치 시 근로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승강통로는 몇미터 이내마다 설치해야 하는가?
30M이내
64
비상구의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
높이 1.2M이상으로 한다
65
비상대응 PROCESS 사전 사고 예방 활동이 아닌 것은?
작업 결과 등록
66
비상대응 process 작업에 필요한 자재 확인 내용이 아닌 것은?
청소도구
67
사고발생 시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안전모, 안전화, 안전대 등을 무엇이라 하는가?
보호구
68
사내구간 작업 시 SOP 현황판에 비치해야 하는 자료가 아닌 것은?
보안서약서
69
사다리 작업 시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든 사다리는 이동통로 및 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70
사업장내 발생한 폐기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전 사업장내 일정장소에서 성상별로 분류하고 보관하는 장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자원순환센터
71
사업장폐기물 중 지정폐기물을 제외한 폐기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사업장 일반폐기물
72
사업장폐기물 중 폐유.폐산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지정폐기물
73
사외구간 작업 시 SOP현황판에 비치해야 하는 자료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DRI,비상연락망
74
산소 용기의 취급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통풍이 잘되는 야외에서 직사광선에 노출시켜야 한다
75
삼성전자 건물 중 상시 온습도 조건을 유지하는 곳은 어디인가?
FAB(부속룸 포함)
76
손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그 용도에 따라서 일반작업용, 용접용, 내열용, 화학물질취급용, 전기용의 각 종류가 있는 것은?
안전장갑
77
시공시 이물질 혼합 방지를 위한 대책을 선택하시오
작업 전 바탕면 청소
78
시공자는 자재 공급 전에 어디에 체출하여 승인받아야 하는가
감리자
79
쓰레기, 연소재, 폐유, 폐산, 폐알칼리 등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한 물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폐기물
80
안구손상 방지를 위하여 벽체 관통작업시 착용하는 보호구는?
보안경 착용
81
안구손상 방지를 위하여 벽체 관통작업시 착용하는 보호구는?
보안경 착용
82
안전담당자의 책임과 권한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동일인의 안전담당자가 최근 1년간 5회 이상 작업 관리 미흡으로 지적된 경우 1년간 자격을 제한한다
83
안전통로 관리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것은?
작업 동행자의 수
84
용접 작업시 감전으로 인한 사망재해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용접 후 슬래그를 제거 하다가 슬래그가 몸에 접촉되었을 때
85
용접작업 중 지켜야 할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훼손된 케이블은 사용 후에 보수한다
86
운반대차 사용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동시 통제원 미배치가 가능하다
87
운반대차 사용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자재의 총길이가 10M 이상일 경우 대차 2대를 사용한다
88
위험작업 및 화기작업 시작전 사전점검 결과 및 작업중 안전기준 준수상태, 작업 종료 후 마감확인 상태를 표시하는 점검표를 무엇이라 하는가?
전중후 CHECK SHEET
89
위험작업 신청은 어디에서 하는가?
G-EHS
90
위험작업 전/중/후 CHECK SHEET 점검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오후에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작업 중 점검은 생략할 수 있다
91
위험작업 전/중/후 CHECK SHEET 중 작업 완료 후 점검해야 하는 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작업자 건강상태
92
위험작업 전/중/후 CHECK SHEET 중 작업 전 조도 측정 시 제일 어두운 포인트로부터 얼마의 거리에서 측정하는가
50CM이내
93
위험작업 전/중/후 CHECK SHEET 중 작업 전 조도 측정 조도값은 얼마 이상을 확보해야 하는가?
150LUX이상
94
위험작업 전/중/후/ CHECK SHEET 중 작업 전 현장관리 점검사항으로 맞지 않은것은?
불티비산방지포 설치 여부
95
위험작업 전/중/후 CHECK SHEET 중 작업 전 현장확인하는 사항이 아닌것은?
CCTV 위치
96
위험작업 전/중/후 CHECK SHEET 중 작업 전 확인해야 하는 문서가 아닌것은?
보안서약서
97
위험작업 전/중/후 CHECK SHEET 중 작업 중에 점검해야 하는 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조도 측정
98
위험작업 현장관리 시 작업현장에 비치해야 하는 서류가 아닌것은?
안전교육 서약서
99
위험작업의 등급별 안전담당자 상주/순찰 기준에 따라 기계실 및 용역동에서 "A급"작업 시 작업업체의 상주/순찰 기준은?
상주
100
위험작업의 등급별 안전담당자 상주/순찰 기준에 따라 기계실 및 용역동에서 "B급 작업 시 작업업체의 상주/순찰 기준은?
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