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습지의 보호와 습지를 계속해서 이용하기 위한 국제 조약입니다. 우리나라는 101번째로 가입을 했으며 2008년에는 이 협약의 당사국 총회가 창원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 협약은 무엇일까요? ①기후변화협약 ②람사르 협약 ③환경 협약 ④생물다양성 협약
람사르 협약
2
지나친 목축과 경작, 삼림 벌채, 산성비 등의 영향으로 숲이 점점 사라지게 되면서 지구에 황사현상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이 현상은 무엇인가요?
사막화 현상
3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배출할 권리를 사고팔 수 있다.
O
4
다른 행성과 달리 지구는 태어날 때부터 대기 속에 산소가 있어서 생물들이 살아가기 적합한 장소였다.
X
5
지표상의 온도는 정상적인 경우 지표면에서 높고 위로 올라 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일교차가 큰 봄·가을이나 겨울철 밤에 지표면이 급속도로 냉각되어 지표면의 기온이 상층보다 낮아지기도 합니다. 주로 분지 지역에서 잘 나타나는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① 기온역전현상 ② 대기확산현상 ③ 열섬현상 ④ 기후온난화현상
기온역전현상
6
산성을 띤 물질이 비에 흡수되어 내리는 것을 산성비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아래의 보기 중 우리나라에서 정의하고 있는 산성비의 수소이온농도지수(pH)로 알맞은 것은 무엇일까요? ① pH 3.4 미만 ② pH 4.5 미만 ③ pH 5.6 미만 ④ pH 6.7 미만
pH 5.6 미만
7
공장, 자동차의 배기가스 등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등이 햇빛과 반응하여 대도시의 하늘이 뿌옇게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할까요? ① 오존과밀화 ② 광화학스모그 ③ 지구온난화 ④ 대기확산
광화학스모그
8
오랜 시간에 걸쳐 바위나 돌이 햇빛, 공기, 물 등에 의하여 제자리에서 점자 부서지는 것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풍화작용
9
기후 변화와 관련된 전 지구적 위험을 평가하고 국제적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한 유엔 산화 국제 협의체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① IPCC ② WWF ③ UNESCO ④ 그린피스
IPCC
10
1962년 레이첼 카슨이 쓴 책으로, 살충제를 무분별하게 남용하면 약제에 대한 곤충의 내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곤충을 먹이로 하는 새들이 죽게 되어 봄이 되어도 새들의 노래를 들을 수 없게 된다는 내용으로 야생 생물계의 파괴를 고발한 책이다. 이 책의 이름은?
침묵의 봄
11
세계 환경의 날은 1972년 6월 5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국제사회가 지구환경 보전을 위해 공동 노력을 다짐하며 제정한 날이다.
O
12
이것은 공해 때문에 생기는 질병으로 일본의 이타이이타이병이나 미나마타병, 우리나라의 온산병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 질병은 무엇일까요?
공해병
13
오존층을 파괴하는 약 100여 종의 화학물질(ODS)의 생산과 사용 금지를 규제하기 위한 환경 협약으로, 1987년 9월 16일에 채택되어 1989년 1월에 발효되었다. 캐나다의 도시의 이름을 딴 이 의정서는 무엇일까요? ① 오타와 ② 벤쿠버 ③ 퀘백 ④ 몬트리올
몬트리올
14
1992년 5월 케냐의 나이로비에서 채택되었고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로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158개국 정부 대표가 서명하여 1993년 12월 29일 발효된 이 협약은 무엇일까요?
생물종다양성협약
15
연기(smoke)와 안개(fog)의 합성어로 대도시나 공업지역에서 연기, 그을음,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등의 대기 오염 물질이 수증기와 섞여 안개와 같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스모그 현상
16
산성비란, 산성도를 나타내는 수소이온 농도지수(pH)가 ( ) 미만인 비이다. ( )안에 들어갈 pH의 농도는 몇 일까요?
5.6
17
산성비는 산성도를 나타내는 수소이온 농도지수(pH)가 5.6 미만인 비를 이야기합니다. 일반적인 빗물은 pH5.6~6.5 정도의 약산성이지만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는 강한 산성의 산성비가 내리게 됩니다. 다음 물질 중 산성비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물질은 무엇일까요? ①질소산화물 ②프레온가스 ③다이옥신 ④메탄
질소산화물
18
세계 물의 날은 매년 언제일까요? ① 1월 1일 ② 3월 22일 ③ 5월 5일 ④ 12월 25일
3월 22일
19
자동차 매연, 공장의 연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황이나 질소산화물이 공기 중의 수증기와 합쳐져서 비가 되어 떨어지는 것을 ‘이것’이라고 합니다. 호수와 하천 생태계에 피해를 주며, 이것에 섞여 있는 독성 화학 물질은 물고기의 생식과 어린 물고기의 생존을 위협하며, 나무를 시들게 하고 숲을 파괴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산성비
20
이것은 동물이 도로에 나왔다가 자동차 등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를 말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로드킬
21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를 일정한 절차를 거쳐 제한함으로써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을 보호하는 협약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➀ 런던협약 ➁ CITES ➂ 바젤협약 ➃ 람사협약
CITES
22
1992년 리우환경회의에서 전 세계 국가들이 기후변화 방지를 위해 함께 노력을 하겠다는 약속을 한 협약은 무엇일까요?
기후변화협약
23
지구의 온난화 방지를 위해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는 석유 등 각종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부과하는 세금은?
탄소세
24
별똥별이 떨어질 때 밝은 빛을 내며 긴 꼬리를 단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별똥별이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이다.
X
25
공기를 오염시키는 다음 물질 중 고체인 것은? ① 분진 ② 일산화탄소 ③ 이산화황 ④ 오존
분진
26
지구를 둘러싼 대기의 하층부를 구성하는 무색, 무취의 투명한 기체로, 지구의 역사와 더불어 생성되었다. 지구상 생물 존재에 꼭 필요한 역할을 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공기
27
외부의 공기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발생된 오염 물질에 의해 인간이나 생태계, 혹은 건물이나 구조물 등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대기오염
28
공기는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O
29
광합성이란 녹색식물이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에서 포도당을 합성하고 산소를 대기 중에 방출하는 과정이다.
O
30
일정기간 동안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등 온실가스의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탄소배출권
31
도시에서 사무실·공장·주택·자동차 등에서 발생한 먼지들이 열섬현상 때문에 흩어지지 않고 지붕을 만들어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할까요? ① 먼지지붕 ② 먼지온실 ③ 공해지붕 ④ 먼지 집
먼지지붕
32
공장이 없는 백령도에는 산성비가 내리지 않는다.
X
33
공기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기체는 무엇일까요? ① 산소 ② 수소 ③ 질소 ④ 오존
질소
34
대류권의 오존은 지구상의 생명을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지만, 성층권의 오존은 사람의 호흡기나 눈을 자극하는 등 인체에 유해하고 농작물에도 피해를 준다.
X
35
나무에서 나오는 방향성 물질이며 산림욕을 통하여 심신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 물질은 무엇일까요? ① 피톤치드 ② 테르펜 ③ 알카로이드 ④ 페놀화합물
피톤치드
36
다음 중 수질 정화에 필요한 물이 가장 많이 드는 것은 무엇일까요? (단위 100ml 기준) ① 마요네즈 ② 우유 ③ 오뎅 국물 ④ 된장국
마요네즈
37
이곳은 세계에서 염분의 농도가 가장 높은 곳입니다. 염분이 20%로, 보통 바다의 염분인 3.5%의 5배 이상의 염분이 들어있어 생명체가 전혀 살지 못합니다.
사해
38
물의 순환이 일어나지 않아도 생태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X
39
다음은 물의 분포를 나타낸 것입니다. 물의 양이 많은 것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빙하〉지하수〉해수〉호수와 하천수 ② 빙하〉해수〉지하수〉호수와 하천수 ③ 지하수〉호수와 하천수〉빙하〉해수 ④ 해수〉빙하〉지하수〉호수와 하천수
해수>빙하>지하수>호수와 하천수
40
사람은 체내에 수분이 1~2%만 부족해져도 갈증을 느낀다.
O
41
식물의 잎에서 물이 증발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증산
42
전북 김제시에 위치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 시설은 무엇일까요?
벽골제
43
다음 중 물 오염의 원인이 아닌 것을 고르세요. ① 불법세차 ② 쓰레기와 농약 ③ 가축분뇨 ④ 부레옥잠
부레옥잠
44
식물성 플랑크톤의 대량 번식으로 바닷물의 색깔이 적색, 황색, 적갈색 등으로 변색되는 자연 현상을 말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① 적조현상 ② 녹조현상 ③ 백화현상 ④ 적색현상
적조현상
45
물환경보전법에서는 오염원(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근원)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과 같이 불특정한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오염원’을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비점오염원
46
겨울철 가게 앞에 눈을 치울 때는 뜨거운 물을 부어 눈을 녹이면 된다.
X
47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탄산칼슘이 어떤 원인에 의해 고체 상태로 석출되어 흰색으로 보이는 현상으로, 흔히 바다의 사막화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무엇일까요?
백화현상
48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에서 발원하여 충청남북도를 거쳐 강경에서부터 충청남도·전라북도의 도계를 이루면서 군산만으로 흘러드는 이 강은 무엇일까요?
금강
49
흐르는 물의 양이 많고 물살이 빠른 강의 상류에서는 땅을 깎아 내는 (A)작용, 강의 중류에서는 깎인 물질을 나르는 (B)작용, 강물의 속도가 느린 강의 하류에서는 흙이나 모래가 차곡차곡 쌓이는 (C)작용이 일어납니다. A, B, C에 들어갈 말은 무엇인가요?
A : 침식 B : 운반 C : 퇴적
50
화학 비료나 오수의 유입 등으로 물에 인과 질소와 같은 영양분이 과잉 공급되어 식물의 급속한 성장 또는 소멸을 유발하는 현상은 무엇일까요? ① 빈영양화 ② 부영양화 ③ 과밀도화 ④ 저영양화
부영양화
51
물 속에 생물이 살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하고 이 산소를 용존산소라고 합니다. 다음 중 용존산소를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① DO ② COD ③ BOD ④ TOC
DO
52
부레옥잠은 오염물질을 흡수해서 물을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난 식물이다.
O
53
정수처리를 마친 물에 약간의 염소를 남겨두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① 염소를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② 물맛을 좋게 하기 위해서 ③ 산소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 ④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재오염을 막기 위해서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재오염을 막기 위해서
54
조선시대 세종 이후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쓰인 이 기구는 무엇일까요? ① 측우기 ② 자격루 ③ 해시계 ④ 혼천의
측우기
55
수돗물과 생활하수의 중간에 해당하는 물을 말합니다. 주로 청소할 때나 화장실 변기 물로 사용하고 분수 등 경치를 꾸미는 데 쓰기도 하며 공장에서 쓰는 물로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중수
56
흙은 식물의 뿌리를 지지해 주고 성장에 필요한 수분과 양분을 공급한다.
O
57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녹화사업을 추진하고 토양의 황폐화를 막기 위한 일련의 작업을 무엇이라 할까요?
사막녹지화
58
이것은 지중온도가 일 년 내내 물의 어는점 이하로 유지되는 토양층을 일컫습니다. 북극이나 남극에 가까운 고위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이 층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영구동토층
59
석회암 등 퇴적암이 많은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자연 현상으로, 땅이 가라앉아 생긴 구멍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싱크홀(sinkhole)
60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등과 같은 가용성 염류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토양은 무엇일까요?
알칼리성토양
61
해안의 만이 바다로부터 분리되어 생긴 호수를 석호라 하는데, 다음 중 석호가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① 경포호 ② 송지호 ③ 청초호 ④ 주암호
주암호
62
토양의 산성화를 막기 위해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농사법은?
유기농농법
63
1915년 알프레드 베게너가 대륙이동설을 제창하였을 때 제안한 가상의 원시 대륙으로, 지질시대를 통하여 가장 큰 대륙이었다 하여 초대륙(supercontinent)이라고 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판게아
64
지구온난화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 이행 방안으로,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규정한 이것은 무엇일까요?
교토의정서
65
지구온난화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①음식물 쓰레기 ②이산화탄소 ③눈 ④소의 방귀와 트림
눈
66
지구온난화로 인해 남극의 빙하, 빙산 등이 녹아 바닷물의 높이가 올라가는 것은 무엇일까요? ① 해수면 상승 ②홍수 ③사막화 ④물의 순환
해수면 상승
67
지역의 기후가 따뜻해지면 농산물 생산지의 변화가 생긴다.
O
68
기후는 장기적으로 볼 때는 조금씩 변하고 있습니다. 약 10년 정도에 걸쳐 나타나는 기후의 평균적인 변화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기후변화
69
냉장고와 에어컨의 냉매제, 헤어스프레이의 분사제, 세정제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며, 현재는 오존층 파괴의 원인 물질로 규제되어 사용이 금지된 이것은 무엇일까요?
프레온 가스
70
오래전부터 계절 따라 이동한 철새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X
71
해상의 기상 상황을 관측하는 장비로, 기상청에서는 이것을 바다에 설치해 기온, 습도, 기압뿐만 아니라 파도의 높이, 주기, 방향과 해수면 온도 등을 관측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부이(bouy)
72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6대 온실기체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① 이산화탄소 ② 메 탄 ③ 아산화질소 ④ 산 소
산소
73
기후가 추워져 빙하가 발달한 시기를 간빙기라고 한다.
X
74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된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해 지구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은 ( )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① 기후변화 ② 이산화탄소 배출 ③ 지구온난화 ④ 온실효과
지구온난화
75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의 감축 목표에 관한 국제 협약은 무엇인가요? ①몬트리올 의정서 ②기후변화협약 ③런던협약 ④바젤협약
기후변화협약
76
천연펄프가 주원료인 OOO을 재활용하면 고급 화장지나 미용 티슈 등을 만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천연펄프는 100%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OOO을 재활용하면 연간 650억 원의 외화 대체효과, 20년생 나무 130만 그루를 심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OOO는 무엇일까요?
종이팩
77
다음 중 분리배출 해야 하는 것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① 비닐 ② 빈병 ③ 캔 ④ 휴지
휴지
78
소각은 쓰레기를 완전히 태워서 없애는 방법이다.
X
79
쓰레기를 버리는 양에 따라 수수료에 차등을 두어 부과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부터 전국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무엇일까요? ① 쓰레기종량제 ② 폐기물예치금제 ③ 쓰레기정액제 ④ 폐기물부담금제
쓰레기종량제
80
매년 9월 6일은 환경부에서 지정한 ‘자원순환의 날’이다
O
81
산업폐기물 처리장, 화장장, 쓰레기 소각장, 분뇨 처리장, 교도소 등의 처리 및 수용 시설에는 찬성하지만 자기 지역 내에 설치되는 것은 반대하는 지역 이기주의를 말하는 이것은 무슨 현상일까요?
님비 현상
82
지역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행정구역 조정, 무공해 산업 시설 유치, 청사 유치 등 지역에 이득이 되는 시설물을 유치하거나 관할권을 차지하려는 지역 이기주의 현상을 말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핌피 현상
83
원자력발전소나 병원, 연구소 등에서 나오는 방사성물질 또는 방사성 핵종에 오염된 물질로서, 생물체가 방사능에 노출될 경우 치명적이므로 콘크리트 등으로 밀봉하여 매립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핵폐기물
84
쓸모가 없어져 버려지는 제품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친환경적인 디자인이나 아이디어, 기술 등의 가치를 부가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활동이나 그러한 제품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업사이클링
85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쓰레기를 태워 처리하는 ①00과 땅에 묻어 처리하는 ②00, 그리고 다시 사용하는 재활용이 있다. ①과 ②는 무엇일까요?
소각, 매립
86
우주 공간을 떠도는 다양한 크기의 인공적인 모든 물체들을 말한다. 고장이 나거나 임무를 완료하여 더는 사용하지 않고 내버려둔 길이 수십 m에 이르는 인공위성이 대표적인 이것을 통틀어 무엇이라고 할까요?
우주쓰레기
87
생산이나 소비 등의 경제 활동에 수반하여 불필요한 것이 발생하지만 그들을 폐기하지 않고 재이용하는 것을 무엇이라 할까요?
자원순환
88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는 캠페인은 무엇일까요?
제로 웨이스트
89
'환경신문고'는 오·폐수 무단방류 등 환경오염행위를 목격하였을 경우 국번없이 전화 '000번'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000은 몇 번일까요?
128
90
종이와 종이팩은 모두 종이이므로 따로 구분 없이 종이류에 버리면 된다.
X
91
수소를 산화시킬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배터리는 무엇일까요?
수소연료전지
92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 중에서 5등급 제품이 에너지 절약 효과가 가장 높다.
X
93
천연자원이 아닌 것은? ① 물 ② 플라스틱 ③ 태양 ④ 땅
플라스틱
94
저온·고압인 심해저에서 가스와 물이 결합해 만들어진 고체 에너지입니다. 외관이 드라이아이스와 비슷하며, 불을 붙이면 타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불타는 얼음’이라고도 불립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가스 하이드레이트
95
바람의 힘을 이용해 만들어지는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풍력발전
96
신․재생 에너지는 장점만 있고 단점은 없다.
X
97
콩기름·유채기름·폐식물기름 등 식물성 기름을 원료로 해서 만든 이 연료는 무엇일까요?
바이오 디젤
98
태양열 에너지의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① 비용 ② 공기 오염 ③ 빠른 고갈 ④ 토양 오염
비용
99
기존의 화석연료를 재활용하거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화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신재생에너지
100
흐르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차를 돌려 전기를 얻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수력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