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대사성 질환은 물질대사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o
2
당뇨병과 고혈압은 모두 대사성 질환의 예이다
o
3
당뇨병 환자는 혈당량이 정상인보다 낮다
x
4
대사 증후군은 한 사람에게 여러 대사성 질환이 동시에 나타는 것이다
o
5
혈액 속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지방이 많아지면 고지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o
6
활동 대사량은 생명 현상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양이다
x
7
기초 대사량은 신체 활동을 하면서 소모되는 에너지 양이다
x
8
1일 대사량은 성별, 나이, 체질, 활동의 종류에 상관없이 같다
x
9
에너지 섭취량이 소비량보다 많으면 체중이 증가한다
o
10
규칙적인 운동으로 근육량을 늘리면 기초 대사량이 높아진다
o
11
뉴런의 신경 세포체에는 핵과 세포 소기관이 있다
o
12
슈반 세포는 축삭 돌기를 여러 겹으로 둘러싸서 말이집을 형성한다
o
13
말이집에는 핵이 있다
o
14
축삭 돌기 말단에는 시냅스 소포가 있다
o
15
Na-K 펌프를 통해 Na이 세포 안으로 유입되고, K이 세포 밖으로 유출된다
x
16
Na 통로를 통해 Na이 세포 안으로 확산된다
o
17
K 통로를 통해 K이 세포 밖으로 확산된다
o
18
말이집 신경은 민말이집 신경보다 흥분의 전도 속도가 느리다
x
19
감각 뉴런은 원심성 뉴런이고, 운동뉴런은 구심성 뉴런이다
x
20
연합 뉴런은 말초 신경계를 구성한다
x
21
흥분은 막전위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이다
o
22
뉴런의 막전위는 세포 안의 전위를 기준으로 세포 밖의 전위를 측정한다
x
23
역치 이상의 자극을 더 세게 주면 활동 전위의 크기가 커진다
x
24
세포 밖에서는 Na의 농도가 K의 농도보다 높다
o
25
Na의 농도는 세포 안에서가 세포 밖에서보다 높다
x
26
분극 상태에서 세포 안쪽의 막전위는 -70mV이다
o
27
분극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세포 안쪽은 양(+) 전하, 세포 바깥쪽은 음(-)전하를 띤다
x
28
세포 안쪽이 상대적으로 양(+)전하를 띠면 세포 안쪽에서 흥분이 발생한다
o
29
활동 전위는 분극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위이다
x
30
탈분극 상태에서 Na-K 펌프는 작동하지 않는다
x
31
탈분극 상태에서 Na이 세포 안으로 유입된다
o
32
탈분극 상태에서 Na의 막 투과도는 K의 막 투과도보다 작다
x
33
재분극 상태에서 상승했던 막전위가 하강한다
o
34
재분극 상태에서 상승했던 막전위가 하강한다
o
35
재분극 상태에서 K 통로가 열린다
o
36
과분극 상태에서 막전위는 -80mv까지 하강한다
o
37
민말이집 신경에서 도약 전도가 일어난다
x
38
시냅스에서 신경 전달 물질의 이동에 의해 흥분의 전달이 일어난다
o
39
시냅스 이후 뉴런에서 시냅스 이전 뉴런으로 흥분의 전달이 일어난다
x
40
골격근은 뼈에 붙어 몸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이다
o
41
내장근과 심장근은 체성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x
42
근육 섬유는 근육을 이루는 다핵 세포이다
o
43
액틴 필라멘트는 마이오신 필라멘트보다 굵다
x
44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I대가 A대보다 발게 보인다
o
45
H대는 액틴 필라멘트와 마이오신 필라멘트가 겹치는 부분이다
x
46
A대는 액틴 필라멘트만 있는 부분이다
x
47
M선은 I대 중앙에 있다
x
48
Z선과 Z선 사이의 부분은 근육 원섬유 마디이다
o
49
근육이 수축할 때 A대의 길이는 감소한다
x
50
근육이 수축할 때 H대의 길이는 감소한다
o
51
근육이 수축할 때 I대의 길이는 감소한다
o
52
근육이 수축할 때 근육 원섬유 마디의 길이는 감소한다
o
53
근육이 수축할 때 ATP가 소모된다
o
54
액틴 필라멘트가 마이오신 필라멘트 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가 근육이 수축한다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