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스터드 용접에서 내열성의 도기로 용융금속의 산화 및 유출을 막아주고 아크열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페룰
2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스패터가 많으며 80%에 가까운 용착 효율을 나타낸다
3
선박, 보일러 등 두꺼운 판의 용접 시 용융 슬래그와 와이어의 저항 연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상진하는 용접법은?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4
다음 중 스터드 용접법의 종류가 아닌것은?
텅스텐 스터드 용접법
5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에서 용제의 구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용접 후 슬래그(Slag)의 박리가 어려울 것
6
플라스마 아크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관치효과에 의해 전류밀도가 작고 용입이 얕다
7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와이어 돌출 길이는 보통 와이어 지름을 기준으로 정한다. 적당한 와이어 돌출길이는 와이어 지름의 몇 배가 가장 적합한가?
8배
8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법에서 두 전극사이의 복사열에 의한 용접은?
횡 직렬식
9
다음 중 유도방사에 의한 광의 증폭을 이용하여 용융하는 용접법은?
레이저 용접
10
다음 중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용접속도는 자동으로 조절된다
11
다음 중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ubmer ged Arc Welding)에서 용제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용락 방지
12
다음 중 플라즈마 아크 용접에 대한 적합한 모재가 아닌 것은?
텅스텐, 백금
13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극 와이어의 지름은 보통 몇 mm인가?
2.5~3.2
14
볼트나 환봉을 피스톤형의 홀더에 끼우고 모재와 볼트 사이에 순간적으로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하는 방법은?
스터드 용접
15
플라즈마 아크의 종류가 아닌 것은?
텐덤형 아크
16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동일한 전류 전압의 조건에서 사용되는 와이어 지름의 영향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와이어의 지름이 작으면 용입이 깊다
17
전자렌즈에 의해 에너지를 집중시킬 수 있고, 고용융 재료의 용접이 가능한 용접법은?
전자 빔 용접
18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에서 사용되는 수랭식 판의 재료는?
동
19
아크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용접이 진행된다고하여 일명 잠호용접이라 부르기도 하는 용접법은?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20
다음 중 플라즈마 아크 용접법의 장점이 아닌것은?
무부하 전압이 높다
21
레이저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열 영향 범위가 넓다
22
용융 슬래그와 용융금속이 용접부로부터 유출되지 않게 모재의 양측에 수랭식 동판을 대어 용융 슬래그 속에서 전극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주로 용융 슬래그의 저항열로 와이어와 모재 용접부를 용융시키는 것으로 연속 주조형식의 단층용접법은?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23
점용접에서 용접점이 앵글재와 같이 용접위치가 나쁠 때, 보통 팁으로는 용접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하는 전극의 종류는?
E형 팁
24
전기저항 용접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른 금속 간의 접합이 쉽다
25
다음 용접법 중 압접에 해당되는 것은?
점용접
26
금속산화물이 알루미늄에 의하여 산소를 빼앗기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이용하여 금속을 접합하는 용접방법은?
테르밋 용접
27
모재의 열변형이 거의 없으며, 이중 금속의 용접이 가능하고 정밀한 용접을 할 수 있으며 비접촉식 방식으로 모재에 손상을 주지 않는 용접은?
레이저 용접
28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루트 간격이 0.8mm 보다 넓을 때 누설방지 비드를 배치하는 가장 큰 이유로 맞는 것은?
용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29
다음 중 심 용접의 종류가 아닌 것은?
슬롯 심 용접
30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법에서 다전극 방식의 종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종 직렬식 방식
3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용접용 용제 중 용융형 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화학적 균일성이 양호하다
32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용 재료 중 와이어의 표면에 구리를 도금한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용착금속의 강도를 높게 한다
33
다음 중 원판상의 롤러 전극 사이에 용접할 2장의 판을 두고 가압, 통전하여 전극을 회전시키며 연속적으로 점용접을 반복하는 용접법은?
심 용접
34
다음 중 테르밋 용접의 점화제가 아닌 것은?
망간
35
파장이 같은 빛을 렌즈로 집광하면 매우 작은 점으로 집중이 가능하고 높은 에너지로 집속하면 높은 열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을 열원으로 하여 용접하는 방법은?
레이저 용접
36
점 용접 조건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고유저항
37
심 용접에서 사용하는 통전 방법이 아닌 것은?
포일 통전법
38
전자 빔 용접의 특징 중 잘못 설명한 것은?
용접물의 크기에 제한이 없다
39
일반적인 초음파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용접 입열이 적고 용접부가 좁으며 용입이 깊어 이종 금속의 용접이 불가능 하다
40
일반적인 프로젝션 용접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작업능률이 높으며 외관이 아름답다
4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전류밀도가 낮아 박판용접에 용이하다
42
용접재를 강하게 맞대어 놓고 대전류를 통하여 이음부 부근에 발생하는 접촉 저항열에 의해 용접부가 적당한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축 방향을 큰 압력을 주어 용접하는 방법은?
업셋 용접
43
이음 형상에 따른 저항 용접의 분류에서 맞대기 용접에 속하는 것은?
플래시 용접
44
금속 산화물이 알루미늄에 의하여 산소를 빼앗기는 반응을 이용하여 주로 레일의 접합, 차축, 선박의 프레임 등 비교적 큰 단면을 가진 주조나 단조품의 맞대기 용접과 보수용접에 사용되는 용접은?
테르밋 용접
45
초음파 용접으로 금속을 용접하고자 할 때 모재의 두께로 가장 적당한 것은?
0.01~2mm
46
상온에서 강하게 압축함으로써 경계면을 국부적으로 소성 변형시켜 압접하는 방법은?
냉간 압접
47
다전극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중 두 개의 전극 와이어를 독립된 전원에 접속하여 용접선에 따라 전극 간격을 10~30mm 정도로 하여 2개의 전극 와이어를 동시에 녹게 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양의 용착금속을 얻을 수 있는 것은?
탠덤식
48
진공 상태에서 용접을 행하게 되므로 텅스텐, 몰리브덴과 같이 대기에서 반응하기 쉬운 금속도 용접하기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는 용접은?
전자 빔 용접
49
다음 중 압점에 해당하는 것은?
초음파 용접
50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AW)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용접선이 짧거나 불규칙한 경우 수동 용접에 비하여 능률적이다
51
탄소함유량이 약 0.25%인 탄소강을 용접할 때 가장 적당한 예열온도는 약 몇 'C 인가?
90~150
52
용접하기 전 예열을 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용접부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53
강에서 탄소량이 증가할 때 기계적 성질의 변화로 옳은 것은?
경도가 증가한다
54
일반적인 주철의 용접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용접봉의 지름이 굵은 것을 사용한다
55
주철용접에서 예열을 실시할 때 얻는 효과 중 틀린 것은?
열영향부 경도의 증가
56
스테인리스강 중 내식성, 용접성이 우수하며 대표적인 조성이 18Cr-8Ni인 계통은?
오스테나이트계
57
다음 재료의 용접작업시 예열을 하지 않았을 때 용접성이 가장 우수한 강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58
다음 중 금속조직에 따라 스테인리스강을 3종류로 분류하였을 때 옳은 것은?
마텐자이트계, 페라이트계, 오스테나이트계
59
다음 중 용접성이 가장 좋은 강은?
0.2%C 이하의 강
60
스테인리스강에서 용접성이 가장 좋은 계통은?
오스테나이트계
61
알루미늄과 그 합금의 용접성이 나쁜 이유로 틀린 것은?
산화알루미늄의 용융온도가 알루미늄의 용융온도보다 매우 낮기 때문
62
주철과 강을 분류할 때 탄소의 함량이 약 몇 %를 기준으로 하는가?
2.0%
63
동합금의 용접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인청동은 열간취성의 경향이 없으며, 용융점이 낮아 편석에 의한 균열 발생이 없다
64
주철의 용접에서 예열은 몇 'C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150~300°C
65
고장력강 용접 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아크 길이는 가능한 길게 유지한다
66
주철 용접부 바닥면에 스터드 볼트 대신 둥근 홈을 파고 이 부분에 걸쳐 힘을 받도록 용접하는 방법은?
로킹법
67
일반적으로 주철의 탄소함량은?
2.11~6.67%
68
일반적으로 고장력강은 인장강도가 몇 N/mm² 이상일 때를 말하는가?
490
69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예열을 한다
70
스테인리스강 중에서 내식성, 내열성, 용접성이 우수하여 대표적인 조성이 18Cr-8Ni인 계통은?
오스테나이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