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대뇌동맥 중 전두엽의 위, 앞쪽을 담당하는 동맥은?
전대뇌동맥 ACA
2
대뇌동맥 중 측두엽 아랫부분과 후두엽 영역에 혈류를 공급하는 동맥은?
후대뇌동맥 PCA
3
대뇌동맥 중 전두엽 뒤쪽과 두정엽 그리고 측두엽, 시상, 기저핵에 혈류를 공급하는 동맥은?
중대뇌동맥 MCA
4
K-WAB 검사 시 실어증지수(AQ)항목에 포함되는것은?
스스로말하기, 알아듣기, 따라말하기, 이름대기
5
브로카영역과 베르니케영역을 연결하는 ( ) 손상으로 나타나는 질환은 전도성 실어증이다.
활모양섬유다발
6
그림에 표시된 부위는 어떤 영역인가?
베르니케영역
7
그림에 표시된 부위는 어떤 영역인가?
브로카영역
8
실어증 유형 중 비유창성 유형이 아닌것은?
명칭실어증
9
실어증 유형 중 유창성 유형은 무엇이 있는가?
베르니케실어증, 연결피질감각실어증, 전도실어증, 명칭실어증
10
명칭실어증 환자와 연합성 시각실인증을 구별하기 위한 환자에게 필요한 과제는?
범주화
11
어휘성은 단어인지 ( ) 인지의 여부
비단어
12
규칙성은 글자와 소리가 ( ) 하는 정도
일치
13
애매성은 ( ) 다
동음이의어
14
중추형 실독증의 유형이 아닌것은?
무시 실독증
15
말초형 실독증이 아닌것은?
표층실독증
16
실서증의 유형 중 중추형이 아닌것은?
구심실서증
17
실서증의 유형 중 말초형 실서증이 아닌것은?
보속 실서증
18
조음 및 씹기 시에 아래턱을 움직이는데 필요한 신경은 무슨 신경인가?
삼차신경
19
얼굴 표정근을 지배하고 혀 앞 2/3 의 미각을 담당하는 신경은?
안면신경
20
혀의 뒤쪽 1/3의 미각을 지배하고 연구개음시에 자극을 감지하며 구토반사의 감각 요소를 지배하는 신경은?
설인신경
21
연구개, 인두, 후두의 운동을 지배하고 구토반사를 유발시키는 신경은?
미주신경
22
호흡과 관련된 신경은?
설인신경, 미주신경, 부신경
23
발성과 관련된 신경은?
미주신경
24
조음과 관련된 신경은?
삼차신경, 안면신경, 설인신경, 설하신경
25
명칭실어증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치료는?
의미자질분석치료 SFA
26
낱글자 읽기를 보이는 실독증은?
순수실독증
27
실어증 심화검사에서 청각적 이해력을 보는 검사는?
토큰검사
28
읽기오류 중 이동오류를 보이는 실독증 유형은?
주의력실독증
29
치료의 목표가 다른 치료기법은?
시각동작치료 VAT
30
이 부위가 손상되었을때 생길수 있는 유형은?
말실행증
31
뇌 속에서 말을 제대로 계획, 프로그리니밍하지 못하는 장애는 무엇인가?
말실행증
32
말실행증은 ( )과 ( )장애 두드러짐.
조음, 운율
33
말실행증에서 조음 오류는 자음vs모음 조음위치vs조음방법 초성vs종성
자음,조음위치,초성
34
말실행증은 교대운동속도와 일련운동속도 중 ( ) 어려워함.
일련운동속도
35
말실행증의 치료 목표는?
최대한 자연스럽게 말하기
36
동반 장애가 있는 말실행등 치료에서 실어증 양상이 심할 경우, ( ) 치료를 우선으로 한다.
실어증
37
말실행증 치료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조음치료, 운율치료, 8단계 연속법, 말소리산출치료 SPT, 멜로디억양치료 MIT, 구강근육자극기법 PROMPTS
38
말실행증이 잘 나타날 평가 과제는?
일련운동속도, 명제말, 다음절단어
39
그림에서 빨간색에 해당하는 부위는?
기저핵
40
마비말장애의 평가 과제에는 무엇이 있나요?
모음연장, 길항반복운동, 단음절 및 단어과제, 연결발화 과제
41
마비말장애 유형 중 간헐적 과비성과 AMR이 느리지만 규칙적인 유형은?
경직형
42
마비말장애 유형 중 하부운동신경원 손상으로 지속적이 숨 새는 음성과 지속적인 과비성이 나타나는 유형은?
이완형
43
마비말장애 유형 중 추체외로 손상으로 나타나며 음성 크기가 매우 감소하고 AMR과 SMR이 점점 빨라지며 음절뭉칭현상이 나타나는 유형은?
과소운동형
44
마비말장애 유형 중 모음연장과제와 AMR과 SMR에서 갑작스러운 변이가 나타나는 유형은?
과다운동형
45
마비말장애 유형 중 모음과제에서 음도 및 음량이 불규칙적이고 교대운동에서 느리며 불규칙적인 유형은?
실조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