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 중 주심포식 건물이 아닌것은? - 빈2
서울 남대문
2
주심포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장혀는 긴 것을 사용하고 평방이 사용된다.
3
다음 중 다포양식의 건축물이 아닌것은? - 빈2
무위사 극락전
4
다음 중 다포양식의 건축물이 아닌 것은?
봉정사 극락전
5
다포식 건축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심원사 보광전
6
공포형식 중 다포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2
규모가 커지면서 내부출목보다는 외부출목이 점차 많아졌다.
7
다포식 건축양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둥 상부에만 공포를 배열항 건축양식이다.
8
공포형식 중 다포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덕사 대웅전이 대표적인 건물이다.
9
조선시대 다포식 목조건축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두와 소로의 형상은 굽의 하반부가 곡면
10
한국 전통건축물의 공포 양식이 옳게 연결된 것은?
남대문 - 다포 양식
11
전통 한식주택에서 문꼴부분(개구부)의 면적이 큰 이유는?
하절기 고온다습을 견디기 위해서
12
한식주택과 양식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 것은?
양식주택은 실의 위치별 분화이며 한식주택은 실의 기능별 분화이다
13
한국 전통건축의 지붕양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진각지붕은 네 면에 모두 지붕면이 있으며 전후지붕면은 사다리꼴이고 양측 지붕면은 삼각형이다.
14
한국건축의 가구법과 관련하여 칠량가에 속하지 않는 것은?
수덕사 대웅전
15
경복궁의 궁궐배치는 전조공간과 후조공간으로 이루어져있다. 다음 중 전조공간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강녕전
16
교학건축인 성균관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천추전
17
우리나라의 현존하는 목조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봉정사 극락전
18
봉정사 극락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붕은 팔작지붕의 형태를 띠고 있다.
19
각 사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통도사는 산지에 위치하나 산지가람처럼 건물들을 불규칙하게 배치하지 않고 직교식으로 배치하였다.
20
한국 고대 사찰배치 중 1탑 3금당 배차에 속하는 것은?
청암리사지
21
다음의 한국 근대건축 중 르네상스 양식을 취하고 있는 것은?
한국은행
22
서양 건축양식의 역사적인 순서가 옳게 배열된 것은?
로마 로마네스크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23
건축양식의 시대적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ㄱ. 로마네스크 ㄴ. 바로크 ㄷ. 고딕 ㄹ. 르네상스 ㅁ. 비잔틴
ㅁ ㄱ ㄷ ㄹ ㄴ
24
다음 중 건축요소와 해당 건축요소가 사용된 건축양식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첨두아치 - 로마네스크
25
고대 이집트의 분묘 건축 형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
인술라
26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그리스 건축의 오더는? - 주두는 에키누스와 아바쿠스로 구성된다. - 육중하고 엄정한 모습을 지니는 남성적인 오더
도리스 오더
27
고대 그리스의 기둥 양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컴포지트식
28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된 오더로 가장 단순하고 심중한 느낌을 주며 다른 오더와 달리 주조가 없는 것은?
도릭오더
29
도릭 오더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볼류트
30
그리스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니케 신전은 순수한 코린트 양식으로 페르시아와의 전쟁 승리 기념으로 세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