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우유가 매개체가 되는 감염병은
결핵
2
채소를 통하여 매개되며 항문주위에 산란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기생충은
요충
3
잠복기가 짧고 손에 상처가 있는 식품취급자를 통하여 감염되지 쉬운 식중독은?
포도상구균
4
통조림 캔, 수도관 내장 코팅제에 포함된 물질은
비스페놀 A
5
세균성식중독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균의 양이 미량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6
식품의 유해성 보존료는
에틸렌글리콜
7
보툴리누스 식중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경독에 의해 식중독이 발생한다
8
유독화된 섭조개와 홍합이 갖고 있는 독소의 성분은
saxitoxin
9
닭가슴살을 제대로 가열하지 않고 섭취한 지 하루가 지난 후 설사 고열 복통 등이 나타났을 때 식중독으로 옳은 것은
살모넬라
10
다음 경구감염병은 쌀뜨물같은 묽은 설사, 구토를 보인다 심한 탈수 증상을 보인다
콜레라
11
장티푸스의 속명은?
salmonella
12
다음 중 제1중간숙주가 왜우렁이, 제2중간숙주가 담수어인 기생충은
간흡충
13
다음 중 독소형 식중독균은?
보툴리누스균
14
vibrio parahaemolyticus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0도에서 30분간 사열하면 사멸한다
15
발아된 감자의 자연독 성분은
solanine
16
장티푸스의 원인균은?
salmonella typhi
17
살모넬라 식중독균의 특징응
통성혐기성
18
사람의 손을 통해 감염되거나 식기, 소주잔, 컵을 함께 사용할 때 주로 감염되는 것은
A형 감염
19
설탕의 약250배 감미도를 가진 유해성 감미료는
돌신
20
곰팡이독소 중 신장독을 일으키는 것은
시트리닌
21
내분비계교란물질이 호르몬 수용체 결합부위를 봉쇄하여 정상호르몬이 수용체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내분비계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봉쇄작용
22
경구감염병 중 용혈성연쇄상구균이 병원체인 것은
성홍열
23
황변미 중독의 원인독소는?
이슬란디톡신
24
다음 식중독균은 그람음성, 간균으로 장내세균에 속한다 4도이하의 냉장온도에서도 성장할 수 있다 돼지고기의 냉장 냉동 과정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yersinia enterocolitica
25
콜레라균에 대한 특징으로 옳은 것은?
통성혐기성
26
사람에게는 열병, 동물에게는 유산을 일으키는 인수공통감염병은?
q열
27
이타이이타이병의 원인물질은
카드뮴
28
간디스토마의 제1중간숙주와 제2중간숙주에 해당하는 것은
왜우렁이, 붕어
29
어패류를 통해 감염되는 기생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광절열두조충
30
다음 중 독버섯의 독성분은
muscarine
31
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6도 이하에서는 독소의 생성이 억제된다
32
인수공통감염병에 해당하는 것은
야토병
33
강한 독성과 발암성으로 식품위생상 가장 문제가 되는 아플라톡신은
b1
34
북어에 있는 독성물질인 ㄱ은 내인성 독으로, 독성이 강하고 물에 녹지 않으며 열에 안정하다. 특히 ㄴ 에 독성분이 가장 많다
테트로도톡신, 난소
35
다음 식중독균은 잠복기 ; 3시간 증상 ; 구토, 발열은 거의 없음 원인식품 ; 도시락 유제품 식육제품
staphylococcus aureus
36
제1중간숙주-물벼룩, 제2중간숙주 민물고기인 기생충은?
유극악구층
37
다음의 식중독균은 나선형 간균이다 길랭-바레증후군을 동반할 수 있다 수백정도의 소량 균수로도 식중독을 유발한다
campylobacter jejuni
38
원인식품과 그 독성분의 연결이 옳은 것은
독보리 테물린
39
육류로부터 감염되는 기생충에 해당하는 것은
선모충
40
모시조개, 바지락, 굴이 발생시키는 간장독 식중독의 원인물질은
베네루핀
41
다음 기생충은 경구감염과 경피감염이 일어난다 채소류를 통하여 감염된다 경구감염으로 채독증을 일으킨다
십이지장충
42
식품과 식중독과의 연결이 옳은 것은
독미나리 cicutoxin
43
인수공통감염병은
결핵
44
대변에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서도 전파가능하며, 주로 불현성 감염으로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은
폴리오
45
폼알데하이드가 용출될 우려가 있는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수지
46
캠필로박터식중독균의 특징은?
그람음성이다
47
다음 식중독균은 염분이 높거나 저온 환경에서도 증식할 수 있다 그람양성 통성혐기성 간균이다 감염 시 유산되거나 폐혈증에 걸릴 수 있다
listeria monocytogenes
48
경구감염병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미량의 균에 감염되어도 발병한다
49
다음 인수공통감염병은 제3급감염병이다 증상 ; 고열 오한 두통 병원체 ; coxiella burnetii
q열
50
달걀에 오염되어 식중독을 일으키는 물질은
salmonella enteritidis
51
치사율이 가장 높고 신경증상을 나타내는 식중독 원인균은
보툴리누스균
52
다음의 자연독 중 시안배당체에 해당하는 자연독은?
아미그달린
53
오징어, 고등어 등 해산어류를 생식으로 섭취했을 때 감염될 수 있는 기생충은
아니사키스
54
주로 경구적으로 감염되지만 유충이 경피적으로 침입하여 발생할수있는 기생충 감염병은?
구충증
55
파라티푸스 원인균의 속명은?
salmonella
56
포자를 형성하는 균으로 가열조리 후에도 식품에 증식하기 쉬운 식중독균은?
clostridium perfringens
57
3-5%의 식염애서 잘 발육하는 식중독균은
vibrio cholerae
58
식중독과 원인균 및 독소가 바른 것은?
장염비브리오 vibrio parahaemolyticus
59
체내의 생식 발달 항상성 유지 등을 조절하는 호르몬의 합성 분비 이동 대사 분해 등을 간섭하는 체외물질은?
내분비교란물질
60
다음 인수공통감염병은 불규칙한 발열이 특징으로, 파상열이라고도 한다 가축유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브루셀라증
61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해야하는 감염병은
디프테리아
62
마비성 조개 중독의 원인독소는
삭시톡신
63
다음의 식중독균은 그람양성으로 내열성 포자를 형성한다 장독소 엔트로톳긴을 생성한다 구토형 혹은 설사형 식중독을 유발한다 식육제품이나 전분질 식품에 의한 경우가 많다
bacillus cereus
64
다음 식중독균은 원인균은 그람음성, 무포자, 간균이다 원인균은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생성한다
병원성대장균
65
다음 식중독균은 그람양성의 비운동성 통성혐기성균이다 내열성독소를 형성한다 화농균이다
staphylococcus aureus
66
크림빵을 먹고 3시간 후 배탈이 났다면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옳은 것은?
포도상구균
67
콜린에스터라아저해제로 독성이 강한 유기인제 농약은
parathion
68
감염독소형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은
clostridium perfringens
69
체내에서 아코니타아제의 활성을 저해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농약은?
유기불소제
70
냉동식품의 오염지표로 이용되는 미생물은
장구균
71
여시니아 식중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돼지고기를 날것 또는 덜 익힌 것을 먹었을 때 감염될 수 있다
72
용혈성요독증후군을 유발하는 병원성 대장균은
장관출혈성 대장균
73
유해성 인공감미료에 해당하는 것
시클라메이트
74
두통, 현기증 구토 설사 등과 시신경 염증을 초래하여 실명의 원인이 되는 화학물질은
메탄올
75
청매의 유독물질로 옳은 것은
아미그달린
76
붉은곰팡이속이 생성하는 독소는
푸모니산
77
가열이 불충분한 돼지고기를 섭취할 때 감염될 수 있는 기생충은?
유구조충
78
등푸른 생선의 알레르기성 식중독의 원인물질은
histamine
79
다음의 경구감염병은 원인균 ; shigella dysenteriae 증상 ; 38-39도의 고열을 일으키며 변에 혈액과 고통이 섞여 나옴
세균성이질
80
바이러스성 경구감염병에 해당하는 것은
A형감염
81
가축이나 가금류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감염되며 수막염과 패혈증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고 임산부에게는 자궁내염증을 유발하여 태아 사망을 초래하는 인수공통감염병은
리스테리아증
82
유기수은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할 때 발생하는 질병은
미나마타병
83
디프테리아의 병원체는
corynebacterium diphtheria
84
유기염소제 농약은
디디티
85
요코가와흡충의 제1중간숙주는?
다슬기
86
이질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람음성이다
87
다음 중 독미나리의 유독물질로 옳은 것은
cicutoxin
88
다음 중 파상열의 병원균은?
brucella melitensis
89
광절열두조충의 제1중간숙주는
물벼룩
90
급성회백수염의 병원체는
poliomyelitis virus
91
다음의 인수공통감염병은 병원체 Bacillus anthracite 증상 발열, 폐혈증 감염경로 ; 감염된 고기섭취, 상처 및 호흡기
탄저
92
독버섯의 유독성분에 해당하는 것은
무스카린
93
채소에 의해 감염될 수 있는 기생충은
십이지장충
94
보툴리누스균이 생성하는 독소로 옳은 것은
뉴로톡신
95
식품에 사용이 금지된 유해성 표백제는
롱칼리트
96
진공포장 상태 및 저온조건에서도 증식할 수 있는 식중독균은
yersinia enterocolitica
97
이타이이타이병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골연화증
98
Asp, flavus가 생성하는 독소는
aflatoxin
99
탄저의 병원체로 옳은 것은
bacillus anthrac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