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건물 동수 산정
1.주요구조부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1동으로 한다. 다만, 건널복도 등으로 2이상의 동에 연결되어 있는 것은 그 부분을 절반으로 분리하여 각 동으로 본다, 2.건물의 외벽을 이용하여 실을 만들어 헛간, 목욕탕, 작업실, 사무실 및 기타 건물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주건물과 같은 동으로 본다, 3.구조에 관계없이 지붕 및 실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같은 동으로 본다., 4.목조 또는 내화조 건물의 경우 격벽으로 방화구획이 되어 있는 경우 같은 동으로 본다, 5.독립된 건물과 건물 사이에 차광막, 비막이 등의 덮개를 설치하고 그 밑을 통로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다른 동으로 본다, 6.내화조 건물의 옥상에 목조 또는 방화구조 건물이 별도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다른동으로 한다. 다만, 이들 건물의 기능상 하나인 경우(옥내 계단)는 같은 동으로 한다, 7.내화조 건물의 외벽을 이용하여 목조 또는 방화구조건물이 별도 설치되어 있고 건물내부와 구획되어 있는 경우 다른 동으로 한다. 다만, 주된 건물에 부착된 건물이 옥내로 출입구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와 기계설비 등이 쌍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등 건물 기능상 하나안 경우 같은 동으로 한다
2
탄화칼슘(카바이트) 연소시 발생가스
아세틸렌
3
탄화알루미늄 연소시 발생가스
메탄
4
인화칼슘(인화석회) 연소시 발생가스
포스핀
5
나트륨,칼륨,마그네슘,철분 등 연소시 발생가스
수소
6
무기과산화물 연소시 발생가스
산소
7
LNG액화천연가스의 특징으로 옳은것은?
주성분은 메탄이다, -162도로 액화한다, 공기보다 가볍다, 연소속도가 빠르다, 발열량이 적다, 가스누설경보기는 천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설치한다
8
화재원인의 판정을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 기술 및 경험을 활용하여 주로 시각에 의한 종합적인 판단을 하는것은 무엇인가
감식
9
화재와 관계되는 물건의 형상 구조 재질 성분 성질등 이와 관련된 모든 현상에 대하여 과학적 방법에 의한 필요한 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근거로 화재원인을 밝히는 것을 무엇이라하는가
감정
10
식용유는 1.ㅇㅇㅇㅇㅇ, 2.ㅁㅁㅁㅁㅁ 재발화 할 수 있다
1.인화점과 발화점의 차이가 적고,, 2.발화점이 비점보다 낮아서
11
화재원인의 판정을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 기술 및 경험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
감식
12
유류화재의 특징으로 옳은 것
연기 색상은 일반적으로 흑색,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는다, 일반화재보다 활성화에너지가 적다, 전기적으로 부도체이므로 정전기로 인한 착화우려가 있어 정전기 방지대책이 필요하다, 무상으로 주수하는 경우 유류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13
발화의 최초원인이 된 불꽃 또는 열
발화열원
14
발화열원에 의해 불이 붙은 최초의 가연물
최초착화물
15
발화열원에 의하여 발화로 이어진 연소현상에 영향을 준 인적 물적 자연적 요인
발화요인
16
피해물의 종류, 손상 상태 및 정도에 따라 피해금액을 적정화시키능 일정한 비율
손해율
17
화재 당시에 피해물의 재구입비에 대한 현재가의 비율을 말한다
잔가율
18
피해물의 내용연수가 다한경우 잔존하는 가치의 재구입비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
최종잔가율
19
소실면적 산정의 방법은?
소실 바닥면적
20
초기(발화기)의 특징
건물 내의 가구등이 독립연소하고 있으며 다른 동으로의 연소 위험은 없다, 초기에는 다량의 백색연기가 발생한다,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은경우 훈소성 화재를 나타낸다
21
성장기(성숙기,중기)의 특징
상황변화가 격렬하고 다양하다, 개구부에서 검은색 연기가 분출 한다, 공기공급이 충분한 연료지배형 화재 형태를 보인다, 최성기 직전에 플래스오버서 발생한다
22
최성기의 특징
연소가 가장 격렬한 시기이다, 열 분출속도는 증가한다, 복사열로 인해 인접건물로 연소 확대 위험이 증가한다, 공기 공급이 부족하면 환기지배형 화재로 전이 될 수 있다, 산소가 부족하여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다량 발생한다
23
백드래프트의 발생징후로 옳은것
화염은 거의 보이지 않으나 창문과 문은 뜨겁다, 압력차이로 외부공기가 내부로 빨려 들어가면서 휘파람소리 또는 진동이 발생한다, 개구부 틈새로 빨려들어가는 공기의 영향으로 연기가 건물 내부에서 소용돌이치거나 맴돈다, 짙은 회황색으로 변하는 검은연기가 관찰된다, 창문에 농연 응축물이 흘러내리거나 얼룩진 자국이 관찰된다
24
감쇠기 (감퇴기,종기)의 특징
지붕 기둥 벽체등이 무너져 떨어진다, 연기는 검은색에서 백색이 된다, 다량의 공기 유입시 백드래프트 발생 우려가 있다, 열발산율이 감소한다
25
환기요소는
개구부의 면적과 비례하고, 높이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26
화재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배연구(환기구)의 크기, 배연구(환기구)의 수 , 위치, 구획실의 크기, 구획실의 천장 높이, 최초 발화되는 가연물의 크기, 합성물 및 위치, 구획실을 둘러싸고 있는 물질들의 열 특성, 추가적 가연물의 이용가능성 및 위치
27
환기지배형화재
환기요소에 지배받는 화재, 산소량이 부족하고 연료량이 충분한 경우 산소량에 따라 화재진행속도가 결정된다, 밀폐된 공간에서 주로 발생한다, 공기부족으로 불완전연소 될수 있고, 백드래프트나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28
연료지배형화재
재료의 특성에 지배받는 화재, 화재초기에는 산소량이 충분하므로 연료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화재진행속도가 결정된다, 개방된 공간에서 발생한다
29
플래시오버의 영향조건
1.벽보다 천장의 재료가 플래시오버에 영향이 더 크다, 2.산소분압이 높을수록 빠르게 진행된다, 3.초기 가연물의 발열량이 클수록 빠르게 진행된다, 4.개구율(개구부의 크기)이 클수록 빠르게 진행된다, 5.열전도율이 작을수록 빠르게 진행된다, 6.연소실이 작을수록, 층고가 낮을수록 빠르게 진행된다, 7.가연재료 > 난연재료 > 불연재료로 갈수록 빠르게 진행된다, 8.화원이 클수록 빠르게 진행된다
30
플래시오버 대응전술
배연지연법, 공기차단지연법, 냉각지연법
31
백드래프트 대응전술
배연법, 급냉법, 측면공격법
32
목조건축물 화재의 특징
고온 단기형, 연료지배형
33
내화건축물 화재의 특성
저온 장기형 환기지배형
34
플래시오버와 백드래프트의 비교
플래시오버는 성장기 이후, 최성기 직전에 주로 발생한다, 백드래프트는 감쇠기, 성장기에 주로 발생한다, 플래시오버는 산소량이 충분한 자유연소의 형태를 지닌다, 백드래프트는 불완전연소, 산소량 부족으로 훈소상태를 지닌다, 플래시오버는 복사열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백드래프트는 외부에서 산소(공기)의 공급으로 주로 발생한다, 플래시오버는 폭풍 또는 충격파를 동반하지 않는다, 백드래프트는 폭풍 또는 충격파를 동반한다
35
화재의 발생으로 건물 내 수용대선 및 건물 자체에 손상을 입히는 정도를 말하며 화재심도라고 불리기도 한다
화재가혹도
36
화재실의 단위 시간당 축적되는 열의 양을 ㅇㅇㅇ이라고 한다
화재강도
37
단위면적 당 등가가연물량의 발열량 및 화재 위험성을 나타내는 말이다
화재하중
38
화재가혹도(화재심도)
발생한 화재가 당해 건물과 그 내부 수용재산 등을 파괴하거나 손상을 입히는 능력의 정도이다, 화재로 인한 피해정도(화재의 규모), 최고온도(질적 개념)×지속시간(양적 개념)으로 표현한다, 화재가혹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기요소는 개구부 면적에 비례하고 개구부 높이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39
화재강도(최고온도)
화재 실의 단위시간당 축적되는 열의 양(열 축적률)이다
40
화재하중(지속시간)
화재 시 발열량 및 화재위험성의 척도를 나타낸다, 화재실의 단위 면적당 가연물의 중량으로, 실제로 존재하는 가연물의 발열량을 등가목재중량으로 환산한 것이다, 주수시간과 관련이있다
41
발생한 화재가 당해 건물과 그 내부 수용재산 등을 파괴하거나 손상을 입히는 능력의 정도이다. 화재로 인한 피해정도(화재의 규모), 최고온도(질적 개념)×지속시간(양적 개념)으로 표현한다.
화재가혹도(화재심도)
42
화재 실의 단위시간당 축적되는 열의 양(열 축적률)이다
화재강도(최고온도)
43
화재 시 발열량 및 화재위험성의 척도를 나타낸다. 화재실의 단위 면적당 가연물의 중량으로, 실제로 존재하는 가연물의 발열량을 등가목재중량으로 환산한 것이다 주수시간과 관련이 있다
화재하중(지속시간)
44
방화구획 기준으로 옳은것
10층이하 바닥면적 1천 제곱미터 이내마다 구획, 11층이상 바닥면적 200 제곱미터 이내마다 구획 (불연재료로 마감한 경우 500 제곱미터 이내 마다 구획), 자동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 위 면적의 3배 적용, 매 층마다 구획
45
방화벽 설치대상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가 아닌 건축물로 연면적이 1천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46
방화벽 구획의 기준
바닥면적 1천 제곱미터 이내마다 구획
47
방화벽의 구조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 일것, 건축물의 외벽면 및 지붕면으로 부터 0.5 m 이상 튀어 나오게 할 것,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5 m 이하로 하고 해당 출입문은 60+,60분 방화문을 설치 할 것
48
식용유화재 발생한 곳에 상온의 식용유를 첨가하여 소화하였다 이 소화방법은?
냉각소화
49
가연성 액체(중질유)와 같은 유류화재시 물을 무상으로 방사하거나 포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유류표면에 엷은 층을 형성하여 유류의 증가압을 떨어트려 소화한다(에멀젼 효과)
유화소화
50
알코올 같은 수용성가연물에 대량의 물을 주압하여 연소농도를 낮춰 소화하는 방법
희석소화
51
공기보다 비중이 큰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가연물 주위를 덮어 소화하는 방법
피복소화
52
가연성 액체(중질유) 화재시 물을 무상으로 방사하거나 포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유류표면에 얇은 층을 형성시켜 유류의 증기압을 떨어트려 소화하는 방법(에멀젼효과)
유화소화
53
물의 어는점을 0도 이하로 낮추어 동결방지를 위한 첨가제이다
부동액
54
물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가연물에 대해 침투성을 향상시키기위한 첨가제이다 원면화재 심부화재에 효과적이다
침투제
55
가연물 표면상에 물과 기름의 에멀젼을 형성하여 유화층 형성을 돕기위한 첨가제이다 열류층을 형성하는 중질유화재에 효과적이다
유화제
56
물의 정성을 높여 흡착력을 증가시켜 소화수 유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첨가제이다 산림화재에 효과적이다 점도를 증가시키면 침투성은 감소한다
증점제
57
팽창비에 대한 설명
발포후 포의 체적에서 발포전 포 수용액의 체적을 나눈 값이다
58
포소화약제의 팽창비에따른 분류 중 저발포로 옳은것
20배 이하
59
포소화약제의 팽창비에따른 분류 중 제1종 기계포로 옳은것
80배 이상 250배 미만
60
포소화약제의 팽창비에따른 분류 중 제2종 기계포로 옳은것
250배 이상 500배 미만
61
포소화약제의 팽창비에따른 분류 중 제3종 기계포로 옳은것
500배 이상 1000배 미만
62
단백포 특징으로 옳은 것
동물성 단백질의 기수분해물질에 포 안정제(제1철염)를 첨가하여 만든 소화약제이다., 내열성이 좋아 환원 시간이 길어 포의 안정성이 크므로 유류탱크 화재에 적합하다, 유동성이 작아 소화시간이 길어져 화재진압이 느리다, 내유성이 낮아 기름오염으로 소화능력이 저하된다
63
수성막포 특징으로 옳은 것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한다, 기름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유면으로부터 가연성 증기 발생을 억제하며 Light water 또는 AFFF이라고도 한다, 유류화재 진압용으로 가장 우수하다, 내유성이 좋아 표면하주입방식이 가능하다, 내열성이 약해 윤화현상(Ring fire) 발생 우려가 있다, 유동성이 좋아 초기소화 속도가 빨라서 유출화재와 같은 유층이 얇은 화재에 효과가 우수하다, 내약품성이 좋아 분말소화약제와 Twin Agent System이 가능하다
64
불화단백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내유성이 좋아 표면하주입방식이 가능하다, 수성막포의 단점(내열성)을 보완한 약제이다, 유동성이 좋아 화재를 신속하게 소화할 수 있다
65
합성계면활성제포 특징으로 옳은 것
내열성,유면봉쇄성이 좋지않기 때문에 다량의 유류화재등의 고정소화설비에 사용하는 경우 밀봉성이 떨어져 윤화현상(Ring fire) 발생 우려가 있다, 저발포와 고발포까지 팽창범위가 넓다, 계면활성제에 안정제등을 첨가한 것으로 단백질처럼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 고발포를 건물화재(A급)에 사용하는 경우 소화시 사용수량이 적기 때문에 소화 후 물에의한 피해가 적다
66
이산화탄소 최소소화농도
21-O2/21×100
67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특징
유류화재(B급) 전기화재(C급) 화재에 주로 사용되며 밀폐상태(전역방출상태)에서 방출되는 경우 일반화재(A급)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공기비중 약 1.52배로 가연물 내부까지 침투하는 심부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증발잠열이 커서 증발시 많은 열량을 흡수 한다, 액화 이산화탄소는 자체증기압이 매우 높기 때문에 다른 가압원의 도움 없이 자체 압력으로 방사가 가능하다, 심부화재에 사용하는 경우 재발화 위험성이 있다
68
탄화 탈수효과로 섬유소를 난연성의 탄소와 물로 분해하여 연소반응을 차단하고 방진효과로 메타인산이 연소표면에 유리피막을 형성하여 재연소방지효과로 일반화재에도 사용이 가능한 분말 소화약제는
제3종 분말소화약제
69
탄화탈수효과가 있는 분말소화약제
3종
70
방진효과가 있는 분말소화약제 (메타인산)
3종
71
강화액L 할론kg 분말kg 이산화탄소kg소화기의 각 충전량
1.강화액 60, 2.할론 30, 3.분말 20, 4.이산화탄소 50
72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 능력 순서
4>2>3>1
73
1종 소화약제의 주성분
탄산수소나트륨(중탄산나트륨)
74
2종 소화약제의 주성분
탄산수소칼륨(중탄산칼륨)
75
3종 소화약제의 주성분
제1인산암모늄
76
4종 소화약제의 주성분
탄산수소칼륨+요소
77
할론 소화약제 중 가장 소화효과가 크고 독성이 적으며 오존파괴지수(ODP)가 가장 높은 것
할론 1301
78
할론 소화약제 중 오존파괴지수(ODP)가 가장 낮고 일반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것은
할론 1211
79
할론 소화 약제의 오존파괴지수 순서
할론 1301>2402>1211
80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중 Ar로만 이루어진 약제는?
IG-01
81
IG-541의 구성 성분
N2 52% + Ar 40% + CO2 8%
82
최소설계농도
최소소화농도×1.2
83
오존파괴지수 - 어떤화합물질의 오존파괴 정도를 숫자로 표현한 것이다
ODP
84
지구온난화지수 - 지구온난화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하는 지수이다
GWP
85
대기잔존시간 - 물질이 방사된 후 대기권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체류하는 잔류기간을 말한다
ALT
86
최대허용설계농도 - 농도를 증가시킬때 악영향을 감지할 수 없는 최대 농도. 심신장애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농도(최대 무독성 용량)
NOAEL
87
최소허용설계농도 - 농도를 감소시킬때 악영향을 감지할 수 있는 최소 농도. 심신장애 현상이 나타나는 최저농도
LOAEL
88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중 N2로만 이루어진 약제는?
IG-100
89
유류화재 진압용으로 가장 우수하며 내유성이 좋아 표면하주입방식이 가능하다 내약품성이 좋아 분말소화약제와 twin agent system이 가능하지만 내열성이 약해 윤화현상(ring fire) 발생우려가 있는 소화약제는
수성막포
90
저발포와 고발포까지 팽창범위가 넓다 고발포로 사용하는 경우 유동성이 좋아 소화속도가 빠르다 내열성이 좋지 않아 윤화현상(ring fire)발생 우려가 있다
합성계면활성제포
91
부촉매소화효과가 있는 소화약제 물질
할론, 분말, 강화액, 할로겐화합물
92
내유성이 좋아 표면하주입방식이 가능한 포소화약제
수성막포, 불화단백포
93
소화기의 소화약제 충전량, 1.물 2.포소화기 화학포 3.기계포
1.80, 2.80, 3.20
94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화재에 대하여 질식 냉각소화기능 및 부촉매소화기능이 우수하다
95
비누화 반응이 일어나는 분말소화약제
1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