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인체 구조와 기능 (chapter 6. 신경계통)
  • 정동연

  • 問題数 26 • 11/22/2024

    記憶度

    完璧

    3

    覚えた

    11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신경로나 다발을 구성한다

    백색질의 축삭

  • 2

    수의운동을 담당하는 운동신경으로 섬세한 운동이나 움직임을 담당한다

    피라이드로계

  • 3

    반사적, 무의식적, 불수의적 근육운동과 긴장에 관여하는 신경로

    피라이드외로계

  • 4

    12쌍을 이루는 말초신경으로, 감각성과 운동성, 혼합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뇌신경

  • 5

    감각성으로 냄새감각을 전달하는 신경이다. 손상 시 후각상실증이 생긴다

    후각신경

  • 6

    감각성으로 시각자극을 전달하는 신경이다. 손상 시 시각소실이 생긴다

    시각신경

  • 7

    운동성으로 중간뇌에서 나오고, 안구를 움직이는 6가지 근육 중에서 4가지를 지배한다. 부교감 운동으로 홍채의 동공조임근을 지배하여 동공을 축소시키고, 섬모체근을 수축하여 렌즈를 둥글게 한다. 손상 시 사시, 복시가 나타난다.

    눈돌림신경

  • 8

    운동성으로 안구를 움직이는 위빗근ㅇ르 지배한다. 손상 시 사시와 복시가 나타난다

    도르레신경

  • 9

    혼합성으로 다리뇌에서 나오고, 눈가지, 위턱가지, 아래턱가지로 이루어지며 얼굴, 구강, 비강, 앞쪽 두피의 감각을 전달하고 씹기근육을 지배한다. 손상 시 삼차신경통이 나타난다.

    삼차신경

  • 10

    운동성으로 안구를 움직이는 가쪽곧은근을 지배하낟. 손상 시 복시가 나타난다

    갓돌림신경

  • 11

    혼합성으로 다리뇌에서 나오고, 표정근육을 지배한다. 혀의 앞쪽 2/3의 미각에 관여하낟. 부교감 운동으로 눈물샘과 침샘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손상 시 안구건조증, 입건조증, 얼굴신경마비가 나타난다.

    얼굴신경

  • 12

    감각성으로 달팽이신경과 안뜰신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속귀신경

  • 13

    손상 시 난청이 나타난다

    달팽이신경

  • 14

    평형감각을 전달하여 손상 시 평형감각 소실이 나타난다

    안뜰신경

  • 15

    혼합성으로 숨뇌에서 나오고, 인두근육의 운동에 관여하고 혀 뒤쪽 1/3의 미각과 이산화탄소 탐지기 역할도 수행한다. 부교감 운동으로 귀밑샘의 침 분비도 증가시킨다. 손상 시 입건조증과 미각소실을 유발한다

    혀인두신경

  • 16

    혼합성으로 숨뇌에서 나오고, 대부분의 인두와 후두 근육을 지배한다. 부교감운동으로 심장, 허파, 인두 등의 배속 내장의 민무늬근육과 샘을 자극시키고 손상 시 목이 쉬거나 발성 불능과 삼킴곤란이 나타난다

    미주신경

  • 17

    운동성으로 숨뇌와 척수의 목 분절에서 나오고, 인두와 등세모근, 목빗근의 운동에 관여한다.

    더부신경

  • 18

    운동성으로 숨뇌에서 나오고, 혀의 안쪽과 바깥쪽의 근육을 지배한다. 손상 시 삼키기, 말하기가 힘들어진다.

    혀밑신경

  • 19

    31쌍의 말초신경으로 목신경 8쌍, 가슴신경 12쌍, 허리신경 5쌍, 엉치신경 5쌍, 꼬리신경 1쌍으로 구성되어있다.

    척수신경

  • 20

    운동축삭이 모여 이루는 것

    척수신경의 앞뿌리

  • 21

    감각신경축사이 모여 이루는 것

    척수신경의 뒤뿌리

  • 22

    많은 척수신경의 앞가지가 모여서 형성하는 꼬인 그물. 말초신경을 재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경얼기

  • 23

    C1~C4의 앞가지로 구성. 가로막 신경이 형성되는 곳이기도 하다

    목신경얼기

  • 24

    C5~T1의 앞가지로 구성. 전체 어꺠와 팔로 가는 신경가지를 형성하고 겨드랑신경, 노신경, 근육피부신경, 정중신경, 자신경으로 갈라진다.

    팔신경얼기

  • 25

    L1~L4의 앞가지로 구성. 넙다리 신경이 나오는 곳이기도 하다

    허리신경얼기

  • 26

    L4~S4의 앞가지로 구성. 궁둥신경이 형성되고, 정강신경과 온종아리신경으로 갈라진다.

    엉치신경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