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수도원 교육
스콜라
2
기사체육 7예
검술, 궁술, 수렵, 수영, 승마, 서양장기, 작시
3
마상시합(개인/단체)
쥬스트, 토너먼트
4
기사체육의 역사적 의미
고대 체육의 맥을 근대로 이어주는 가교 역할
5
중세 스포츠 (프랑스 핸드볼)
쥬 드 뽐
6
중세 스포츠와 오락 (참가자 수가 무제한인 폭력적 공놀이)
소울
7
중세 스포츠와 오락(군사훈련 성격을 지닌 럭비 유형의 스포츠)
쥬크 델 칼초
8
신체 문화의 쇠퇴현상(체육의 암흑기 원인)
심신이원론적 사고, 금욕주의적 사고, 로마시대 운동경기가 이교도와 관련, 로마시대 비천하고 저속한 스포츠나 운동경기에 대한 반감
9
군대생활을 위한 체육의 필요성 주장 군사주의적 체육관 스파르타식 교육 강조
베르게리오
10
학교에서 전인적 발달에 목적을 둔 체육 실시 궁정학교 ‘라 지오코사’ 군사적 목적의 체육이 아닌 순수한 체육의 필요성
비토리노 다 펠트레
11
칼뱅주의 모든축제와 오락적 모임의 철저한 금지 노동의 가치 강조 안식일 폐지 ‘잉글리시 선데이’ 성일 오락 금지
프로테스탄트 금욕주의 체육
12
성공회 영국 튜더시대 왕실과 귀족사회를 중심으로 스포츠의 급속한 확산 다른 나라보다 일찍 스포츠 애호주의 사상의 토대형성
영국 국교회 스포츠
13
가톨릭 체육 사상가
로욜라, 샤들레토, 안토니아노
14
신교체육 사상가
루터, 츠빙글리, 칼뱅
15
사회적 인문주의 체육 사상가
에라스무스, 엘리엇, 아스캄
16
통치자의 서 무용을 교육의 중요 영역 인격의 수련, 사회적 자질 함양을 강조한 인물
엘리엇
17
교사에서 신사적 유희 주장한 인물 톡소필러스
아스캄
18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시대 스포츠 영국 왕실 스포츠: 튜더시대
헨리 7세 등극, 왕과 귀족의 스포츠 애호사상 확립, 젠트리 계급으로 스포츠 확산, 하층계급의 테니스 참여 금지, 헨리 8세부터 왕실 스포츠 전통 본격화
19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시대 스포츠 중산층과 민중사회 스포츠
양궁의 대중화, 귀족중심 볼게임 발달, 도박성을 지닌 경마 발달, 관중 유혈스포츠 발달
20
사회적 실학주의 심신의 조화적인 발달을 위해 체육의 중요성 강조한 사상가
몽테뉴
21
감각적 실학주의 사상가
베이컨, 말커스터, 코메니우스
22
교육의 형식을 강조 바람직한 행동 습관화를 위한 계속적인 단련과 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 사상
단련주의
23
루소의 자연주의를 수용하고 실천한 사상 근대적인 전인교육의 시작 페스탈로치
범애주의(범애사상)
24
군대식 체육활동 강조 교육론에서 군사훈련 및 레크리에이션과 연계한 체육목적 주장한 인물
밀턴
25
심신 이원론 균형적 체육 가치관 신체, 정신 성장을 위한 놀이를 권장한 인물
코메니우스
26
데카르트의 이원론적인 견해가 내포 신체활동의 의미와 가치를 부정하지 않았다 몸이 마음의 명령에 따라 실천을 하기 위해서는 몸을 튼튼하고 힘차게 만드는 데 필요한 장황한 처방을 내리고 있다 (인물+사상)
존 로크: 단련주의
27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등장 범애주의에 영향 제공한 사상
자연주의
28
자연적인 신체 훈련을 통해 늠름함, 체력, 용기, 기력을 증진하여 신체•정신적으로 조화를 이룬 인간 육성을 주장한 인물
바제도우(범애주의)
29
청소년을 위한 체조 근대적 체육의 이념적 틀 형성과 근대 체육 태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제공한 인물
구츠무츠(범애주의)
30
경마: 세계 최초 스포츠 조직체인 ( )탄생
조키클럽
31
하젠하이데 옥외 체조훈련장 (얀) 명칭
튜른 플라츠
32
독일 체조 운동 명칭
튜른 베베궁
33
반더포겔은 초기 ( ) 운동의 기반이다
유스호스텔
34
독일스포츠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정식종목 채택 제 2차세계대전 이후에는 덴마크 7인제 핸드볼(닐센)이 인기
11인제 핸드볼
35
도덕교육 목표와의 연계를 시사 신인문주의 체육 사상가
페스탈로치
36
국가주의 사회체육 운동 전개한 인물 국가주의 체육
얀
37
민족주의 스포츠 사상을 나치 독일 사회에 주입 베를린 올림픽에서 성화봉송 릴레이 제도 도입한 인물
칼 딤
38
미국으로 이주한 독일 사상가들
칼 폴렌, 칼 베크
39
스웨덴 링의 체조의 특성
교육체조, 병식체조, 의료체조, 미적체조
40
스웨덴: 최초의 스포츠 조직으로 1796년 ( ) 설립
수영협회
41
덴마크 체육과 스포츠 1799년 유럽 최초 코펜하겐 ( ) 설립
체조학교
42
프랑스 체육 사상가
아모로스, 클리아스, 쿠베르탱
43
퍼블릭 스쿨의 스포츠 교육 목적
강건한 기독교인 육성, 신사도 함양, 국가 및 제국에 대한 충성심 배양과 지도자 자질 함양
44
축구: 19세기 영국에서 ( )과 ( )로 분화
럭비 풋볼, 어소시에이션 풋볼
45
영국의 체육사상 애슬레티시즘의 성장과 확산에 따른 체육과 스포츠의 역사적 의미
스포츠 교육 촉진, 체육에 새로운 이념과 목적 개념 부여
46
강건한 기독교주의
찰스 킹즐리, 애슬레티시즘, 톰브라운의 학창시절, 남성다움, 팀 스피릿
47
영국 체육 사상가 스웨덴 체조 도입
버그만 외스터버그
48
영국 체육 사상가 심신 일체적 사고 의료적 사고
맥클라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