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굽타 왕조 멸망 이유
에프탈의 침입, 내분
2
이스파한 함락, 예루살렘과 아나톨리아로 세력 확대
셀주크 튀르크
3
앙카라 전투 승리
티무르 왕조
4
마우리아 수도
파탈리푸트라
5
무굴 제국 : 공용어 - ㅡㅡㅡㅡㅡ, 일상어 - ㅡㅡㅡㅡ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6
사파비 왕조 멸망 이유
아프간족의 침입
7
시크교도의 반란 이유
무굴 제국 아우랑제브 황제의 이슬람 제일주의
8
카스트에 따른 의무 수행 강조 (종교 2개)
브라만교, 힌두교
9
ㅡㅡㅡㅡ의 전통적 군주 칭호 ㅡ 사용 : ㅡㅡㅡㅡ ㅡㅡ
페르시아, 샤, 이스마일 1세
10
발칸반도의 대부분 차지
오스만 제국
11
사파비 시대
16-18세기
12
굽타 : ㅡㅡ 법전
마누
13
굽타 : ㅡㅡㅡㅡㅡㅡ 공용어, ㅡㅡㅡㅡ의 [ㅡㅡㅡㅡ], 서사시 [ㅡㅡㅡㅡㅡ], [ㅡㅡㅡㅡ]
산스크리트어, 칼리다사의 샤쿤탈라, 마하바다라, 라마야나
14
사파비 국교
시아파 이슬람교
15
칼리프로부터 술탄 칭호 획득
셀주크 튀르크
16
인도, 이슬람 문화 융합
무굴 제국
17
신성 로마 제국의 수도 빈 공격 (제국 이름, 왕 이름)
오스만 제국, 술레이만 1세
18
티무르 왕조 멸망 이유 (16세기)
우즈베크인
19
~ 제국의 ~ : 데칸고원 이남 지역을 제외한 인도 지역 통일
무굴, 아크바르
20
이슬람 제국의 인도 침입 시대 (~세기경 ~)
8세기
21
11세기 초 이슬람 왕조인 ㅡㅡㅡ, ㅡㅡ 왕조가 인도 북부 점령
가즈니, 구르
22
시크교 유행
무굴 제국
23
ㅡㅡ 왕조 : ㅡ의 개념, ~법
굽타, 영, 십진법
24
마라타 동맹의 반란으로 쇠퇴
무굴 제국
25
투르•푸아티에 전투 패배
우마이야
26
우마이야 수도
다마스쿠스
27
보로부두르 세운 왕조
샤일렌드라
28
이스파한 천도 : ㅡㅡㅡ 왕조의 ㅡㅡㅡ ㅡㅡ
사파비, 아바스 1세
29
굽타 수도
파탈리푸트라
30
이슬람 : ㅡㅡ ㅡㅡ, ㅡ아프리카•ㅡㅡ•ㅡㅡ아시아에 이르는 ㅡㅡㅡ 교역 주도
대상 무역, 동, 인도, 동남, 바닷길
31
앙카라 전투 (티무르 vs 오스만) 승리자
티무르
32
무굴 제국 수도 2개
델리, 아그라
33
이베리아 반도까지 영토 확장
우마이야
34
사파비 왕조로부터 메소포타미아 지방 획득, 이집트와 북아프리카 정복 (~ 제국, 왕 이름)
오스만, 메흐메트 2세
35
암리차르의 황금 사원
무굴 제국
36
브라만교의 윤회 사상 수용 (종교 2개)
자이나교, 불교
37
~ 양식 (ㅡㅡㅡ 석굴 사원, 엘로라 석굴 사원)
굽타, 아잔타
38
비단길의 중심 차지
쿠샨 왕조
39
아랍인과 비아랍인의 융합
아바스 왕조
40
경전 [베다]
브라만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