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아라비카 원두 주요 생산국이 아닌 것은?
인도네시아
2
커피의 3대 품종이 아닌 것은?
브라질
3
커피에 대한 기록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소개한 유길준의 저서는?
서유견문록
4
커피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시작한 사람은?
린네
5
커피 재배 지역 중 커피 재배의 최적지이며 질 좋은 커피가 생산되는 곳은?
남북회귀선 23.5° 사이의 고산지대
6
다음 중 다른 종자의 커피는?
코닐론
7
피베리(Peaberr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커피 열매에 콩이 하나만 들어 있고 저급 커피로 알려져 있다.
8
생산국에 따른 커피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인도 - 몬순커피
9
로부스타종 커피 식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세계 각지에 70여 종의 많은 재배 변이종이 분포되어 있다.
10
우리나라에서 처음 커피를 마신 고종이 덕수궁 내에 우리나라 최초로 로마네 스크풍의 건물을 지어 커피와 다과를 즐겼다는 장소는?
정관현
11
커피에 쓴맛을 부여하는 알칼로이드 물질은?
카페인
12
SCA 분류법 중 스페셜티 그레이드(Specialty Girade)의 등급 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생두의 허용 함수율은 9~13% 이내이다.
13
우유의 영양적 가치를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
칼슘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14
커피의 맛과 향을 표현한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Girassy: 달콤한 꽃잎 향기
15
커피의 향미를 평가하는 순서로 가장 적당한 것은?
향기, 맛, 촉감
16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광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된 경수
17
커피의 등급에 관한 단어들 중에서 커피의 품질 정보와 관계가 없는 것은?
품종
18
카푸치노에 첨가하는 거품 우유(Steaming Milk)를 만들 때 주의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피처(Pitcher)는 도자기,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만든 것이 좋다.
19
다음 조건으로 만들어지는 커피는 무엇인가?
디카페인(Decaffeinated) 커피
20
커피콩의 구입 시 포장에 명시된 상품명인 "Brazil Santos NO.2, Sereen 19, Stricey Sof™ 에서 Screen 19의 의미는?
커피콩의 크기에 의한 분류
21
커피 발전 과정에 관한 내용들 중 사실과 다른 것은?
네덜란드인이 커피나무를 자바와 서인도에 재배를 시작한 시기는 12세기 말경이다.
22
인도네시아에서 커피를 경작하여 대규모 커피 경작의 역사를 연 나라는?
네덜란드
23
세계의 커피 재배 적지라고 불리는 "커피 벨트(Coffee Belt)"는 어느 지역인가?
북위 25°와 남위 25° 사이를 말한다.
24
커피 생콩에 함유된 카페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카페인(Caffeine) 함량이 아라비카종은 로부스타종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
25
터키 사람들이 커피를 끓여 마시는 기구는?
Ibrik
26
아라비카 커피(Arabica Cofie)의 원산지는?
에티오피아
27
수세식 공정 순서 중 맞는 것은?
수확-> 선별 세척(이물질 분리) > 과육제거 발효조> 수세 > 건조 > 파치먼트 선별 > 창고
28
커피생두의 질(Qua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틀린 것은?
정치적 요인
29
커피전문점 관리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업장의 형태와 크기는 가능한 최대로 확보한다.
30
바리스타(Barista) 역할이 아닌 것은?
커피 제조 시 계량법을 지키지 않는다.
31
커피 서비스 방법 중에서 틀린 것은?
커피의 적정 온도는 120°C 이상이 적당하다.
32
커피 생두의 신선도와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요구되는 보관 창고의 적절한 환경은?
가능한 한 다습한 곳을 피하고, 상온을 유지한 곳이 좋다.
33
그라인더에 적절한 굵기의 커피를 분쇄하여 배출 레버의 동작에 의해 일정한 양의 커피 가 배출되도록 하는 일련의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Dosing
34
S.k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두 동급 분류 기준이 아닌 것은?
생두의 무게
35
커피 산패에 대한 설명 중 바른 것은?
커피가 공기 중에 산소와 결합하여 맛과 향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36
필터홀더(Filter Holder)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이유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37
커피콩을 배전하면 당의 갈변화(Caramelization)가 일어나 향기 성분이 생성된다. 다음 향기 중에서 배전도가 가장 높은 단계에서 생성되는 향기는?
초콜릿 향기(Chocolate-Type)
38
‘New Grown Up’ 커피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당해에 수확한 생두로서 수분이 많고, 짙은 녹색을 띤다.
39
커피 체리에서 생두를 분리하는 방법 중에서 워시드(Washer)법에서만 사용되는 공정은?
발효
40
커피전문점에서 업무 시작 전에 판매 가능한 양만큼 준비해두는 각종 재료를 무엇이라 고 하는가?
Par Stock
41
커피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심장박동수를 감소시켜 진정의 효과를 나타낸다.
42
에스프레소 커피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메뉴 중에서 데미타세잔에 제공될 수 없는 커피 메뉴는?
카페라떼(Caffe Latte)
43
에스프레소와 가장 비슷한 추출 기구는?
모카포트
44
커피에 관한 내용 중 바르게 설명된 것은?
아라비카종의 경우 연평균 강우량 1,500~2,000mm의 규칙적인 비와 충분한 햇볕을 받 아야 한다.
45
파치먼트 커피(Parchment Coffee)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발효 종료 후, 수세하여 내과피가 남아 있는 상태를 말한다.
46
커피와 관련하여 '핸드 픽(Hand Pick)은 무엇을 말하는가?
생두에 포함된 결점두를 제거하는 작업
47
바리스타는 커피와 같은 식음료의 품질관리 차원에서 HACCP 제도에 대한 지식이 갖추어 져야 한다. 이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식품의 위해요소를 미리 식품의 안전성을 관리하는 위생제도
48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커피콩의 표피를 감싸고 있는 은 껍질은?
은피(Silver Skin)
49
레스토랑에서 커피를 서비스할 때 고객의 어느 쪽에서 서비스해야 하는가?
오른쪽
50
커피의 어원이 된 아랍어는?
Qahwah
51
Screen#18에 해당하는 커피생두의 크기는?
7.14mm
52
커피생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일반적으로 아라비카종은 저지대, 로부스타종은 고지대에서 재배된다.
53
생두의 등급 분류 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SCA 분류법은 외형적 결점 사항만을 고려하여 분류한다.
54
커피의 품종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다. 바르게 연결된 것은?
A-아라비카, B-로부스타
55
커피 과실에서 습식법을 이용한 정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아닌 것은?
수확한 과실을 침수시키면 완숙과는 수면으로 뜨고, 미숙과는 침전한다.
56
커피생두의 등급 분류를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
생두의 수확 시기
57
생두(Green Bean)를 평가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청결도(은피 제거 여부)는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이다.
58
수확한 체리의 건조 방법으로 맞게 설명한 것은?
체리가 최적 상태인 11~12.5% 정도의 수분량이 될 때까지 2~3주간 말리는데, 햇볕이 약하거나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4주까지도 말린다.
59
생두의 밀도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밀도가 높을수록 커피의 맛과 향이 풍부하다.
60
커피를 수확하는 핸드피킹(Hand Picking) 방식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브라질에서 주로 사용하고 한 나무에 체리가 약 75% 정도 익었을 때 한꺼번에 수확한다.
61
커피맛에서 과실수의 풍미와 생산지의 토질감을 느낄 수 있으며 바디가 묵직하다는 평 가를 받으며 내추럴 커피(Natural Coffee)라고도 불리는 커피의 가공 방식은?
Dry-Processing
62
카페인 추출 방법이 아닌 것은?
증류 추출법
63
커피에 함유된 카페인의 역할이 아닌 것은?
위액 분비 저하 효과
64
커피콩의 등급 분류 중 스페셜티 커피(Specalty Cote)는 NYBN(뉴욕커 피자래소)에서 생두( )g 중 결점두수( )% 이하인 커피를 말한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350, 5
65
향기의 강도를 표현하는 영어 용어 중 맞는 것은?
Ful: 풍부하다. 다양한 경우, 농도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66
다음은 커피 생산 국가와 생두 분류 기준에 따른 생두 분류 명칭을 나열한 것이다. 서로 잘못 연결된 것은?
콜롬비아- Armenia No.2
67
커피 체리의 외과피를 벗겨내면 끈적끈적한 점액질이 나오는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 는가?
Mucilage
68
커피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커핑(Cupping)에 관한 절차 중 바르게 나열한 것은?
A-E-C-D-B-F
69
식자재의 관리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방법은?
먼저 들어온 식자재를 먼저 사용한다.
70
글라스(Glass)를 잡을 때 어느 부분을 잡아야 가장 위생적인가?
글라스의 하단
71
로부스타 커피(Robusta Coffee)의 원산지로 알려진 나라는?
콩고
72
워시드 커피(Wated Cofte)의 처리 방법의 순서로 옳은 것은?
Pulping - Fermentation - Washing - Drying - Hulling - Cleaning - Grading
73
커피 생산지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케냐에서 생산되는 빈(Bean)들은 크기에 따라 AA, A, B 등으로 등급을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