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Kidney가 받는 CO?
20%
2
Collecting duct?
안에서 H2O와 CO2 결합으로 CAII에 의해 이온 생성. 이들이 AE1에 의해 Cl과 교환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빠져나감.aldosrerone에 의해 활성. 이를 HCO3 regeneration이라 함.
3
Anion gap?
UA-UC
4
AG 기준,
10
5
OG 기준?
10~15가 정상. 20 위부터 exogenous
6
Definitive Met. Acidosis?
HCO3- 10 lmmol/L 이하
7
Distal rta?
collecting duct 에서 ae나 caII, ATP PUMP 문제
8
Potassium in acidosis?
hydrogen potassium atpase 에 의해 혈증 potassium 증가
9
Hypokalemia in metabolic acidosis?
diarrhea, RTA, DKA(논란)
10
Met acidosis alkali treatment?(metabolizable)
50 meq of NaHCO3 in 300mL DW IV over 30-45min. K monitoringpH 7.2까지. HCO3 10-12까지.
11
Met acidosis alkali treatment? (non-metabolizable)
반드시 alkali 해야함. PO로 NaHCO3 주거나 shohl's solution. IV 로 NaHCO3. target은 HCO3- 22
12
Definitive metabolic alkalosis?
HCO3->40mmol/L
13
Bartter synd?
henle's loop, NKCC2 문제, ROMK 문제. Sodium K 재흡수 안됨. 이로 인해 volume depletion, alaklosis
14
Gitelman's synd?
distal convouted tubule의 NCCT에 문제. Na 재흡수가 안됨. vlume depletion. hypokalemia. met. alkalosis
15
침, 소화액, 소변?
transcellular fluid. 무시한다.
16
Fixed water excretion?
stool 0.1L/day, sweat 0.1L/day, pulmonary 0.3L/day
17
2ater of cellular metaboism?
350-500mL/day
18
Incensible fluid loss 많은경우?
ventilator 달거나 ich 같은거 있거나 체온이 높으면 1-1.5L/day 정도로 봐야 한다
19
Volume vs hydration?
volume은 ECF. 그중에서도 특히 Blood volume. hydration은 ICF와 ECF 모두
20
Dehydration 여부?
urine sodium 본다. 이게 정상이면 hypernatremia 없으므로 수분은 충분하다고 볼 수 있는 것.
21
Dehydration 특징?
effective arterial circulating blood volume 은 유지됨
22
Redistribution?
hypoalbuminemia, capillary leak
23
LOOP에 Na?
thick ascending limb에 NKCC2
24
Distal tubule에 Na?
NCC
25
Collecting duct Na?
ENaC
26
Proximal tubule Na?
Na-glucose cotransporter
27
Edema 생기려면 fluid?
2.5-3L가 interstitial space에 차야 함.고로 2~3kg 의 체중변화로는 부족함
28
Idiopathic edema 치료?
D/C diuretics for at least 2-3wks
29
Resistant edema 치료?
high-dose IV loo diruetics. infusion. 또는 diuretic combination
30
단백뇨 시 이뇨제 효과 낮아지는 이유?
urine 속의 albumin과 이뇨제가 결합해서 효과 낮아지기도 함.
31
CHF volume?
hypervolemia
32
Hyponatermia acute chronic 기준?
48h
33
Hyponaterima Uosm 왜 봄?
그거보다 주는 fluid의 osm이 높아야 보충이 되기 때문.
34
Hypona europe guidline 특징?
acute를 chronic으로 보고 치료하는 게 차라리 낫다
35
CPM?
central pontine myelinolysis
36
Re-lowering?
no N/S, give free water
37
Hypernatremia 이유 크게 4가지?
thirst center 방해, pure water loss. hypotonic fluid loss, hypertonic Na gain
38
Potassium 정상치?
4meq/L가 정상. 3.5~5가 기준.
39
Daily potassium mininum requirement?
40-50mEq. average western diet가 80-128mEq
40
K+ control?
renal excretion이 90퍼센트, intestinal excretion이 10퍼센트, 일부 cell shift.
41
Na-K atpase?
potassium을 cell 내부로. 정.상.화. 활성화시키는게 insuline과 beta 2 adrenergics
42
Acid and potassium?
pH가 0.1 떨어지면 potassium이 0.6 올라감
43
K+ homeostasis 2가지 방식?
rapid muscular uptake, slow renal excretion
44
Renal K+ excretion?(실질적으로)
나머지는 다 만까이 되고 distal nephron에서의 K+ secretion
45
Enac?
collecting duct 뿐 아니라 distal convoluted tubule 에서도 약하게 나타난다
46
Distal convoluted tubule K excretion?
ROMK
47
Collecting duct K excretion?
평소엔 ROMK. flow가 많을경우 MaxiK
48
Na-K hormone?
aldosterone. K 내보내고 Na 재흡수. distal Na delivery와 Lumen -potential difference, aldosterone이 핵심
49
Mg 역할?
ROMK 억제, Muscle NaK atpase 활성화.
50
Syndroem 순서?
BGL
51
Serum potassium 투여시 시간?
투여 72시간 내 상승 시작 96시간 내 적절 반응 없으면 동반된 Mg depletion 의심.
52
Resting CO vs maximal CO?
2.5~3배.HR 기준으로 계산.
53
CO 정상치?
4-7L/min
54
Sympathetic nerv와 CO?
SNS의 활성화는 SV와 HR을 모두 증가시킬 수 있음.
55
Load와 SV?
preload는 SV 증가. afterload는 SV 감소.
56
ra Pressure?
5-10mmHg
57
RV pressure?
systolic 30mmHg, diastolic 5-10mmHg
58
PA pressure?
15-25-35 mmHg
59
PAWP?
10mmHg
60
Loop diuretics?
furosemide 등 semide로 끝남
61
정상인의 hematocrit?
혈장혈구비율. 전체 혈액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 남자 45% 여자 42%
62
적혈구 갯수 정상치?
uL당 4.8-5.4 ×10^6
63
혈액양?
몸의 8% 정도. 여성 5L, 남성 5.5L
64
철 흡수 형태?
위에서 Fe3+, duodenum에서 Fe2+ 되어 흡수. proximal jejunum에서도 흡수.
65
적혈구 효소?
glycolytic enzyme과 carbonic anhydrase
66
Reticulocyte?
생성은 골수 내, 분화는 혈관에서.(분화 24H내)
67
Reticulocyte 정상비율?
0.5~1.5%
68
High rericulocyte?
출혈, iron therapy, 도핑
69
1일 HSC 분화 비율?
erithrocyte 1/4 WBC 3/4
70
백혈구 빠져나오는 3단계?
rolling sticking squeezing
71
Platlet 평균수명?
5-9일
72
지혈의 3단계?
vascular spasm, platelet plug formation(혈소판 느슨), blood coagulation(혈소판 빽빽)
73
NTPdase-1?
CD39. 내피세포에서 ADP 분해하는 효소.
74
Factor I?
Fibrinogen
75
Factor II?
Prothrombin
76
Factor III?
Thromboplastin
77
Factor IV?
Calcium
78
Factor XII?
Hageman factor, glass factor
79
Fibrinolysis?
plasmin이 혈전 용해 작용을 함. tPA에 의해 간에서 plasminogen이 plasmin이 됨.
80
남은 철?
liver parenchymal cell과 Reticuloendothelial macrophage에 저장되어 있다가 쓰임. mcrophage에서 가져다 쓰는걸 mobilization이라 함
81
PK?
prekallikrein
82
HK?
high molecular weight kininogen
83
PL?
phospholipid
84
Fibrin 형태 몇가지?
2가지. modified fibrin fragment와 partially digested fibrin
85
Fibrin form 갈리는 이유?
C-terminal-lysine residue. TAFIa가 이걸 제거함. C-terminal-lysine에 plasminogen이 잘 붙음.
86
Trauma gene time?
blunt 28d burn 90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