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정신성적 발달이론으로 옳은 것은?
특히 구강기-남근기가 성격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2
프로이트의 정신성적 발달이론으로 옳은 것은?
생식기-성기는 성적긴장과 쾌락의 중심이 된다.
3
가학-피학적 성격을 보이는 것은 프로이트의 발달이론 중 어디인가?
항문기
4
주는 것보다 받는 것을 좋아하는 프로이트의 발달단계는 어디인가?
구강기
5
인정과 칭찬을 받고 싶어하는 프로이트의 발달단계는?
남근기
6
의존적인 성격을 보이는 프로이트의 발달단계는?
구강기
7
에릭슨의 정신사회적 발달이론으로 옳은 것은?
중년기-생산성 대 자기침체감
8
대인관계 발달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개인의 인격은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교류에서 생긴다.
9
사회에서 상호 의존하는 관계를 형성하고 이성을 선택하여 친밀한 관계를 맺고 이를 유지하는 단계는?
후기 청소년기
10
구강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기는?
영아기
11
이 시기의 중요한 과제는 동성과의 관계를 맺는 것으로 다른 사람과 협력하고 사랑과 애정을 나누기 시작하는 것은?
전 청소년기
12
이 시기 가장 중요한 과제는 같은 또래아이들과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시기는 언제인가?
소년기
13
이 시기에는 정체성 확립과 부모로부터 독립에 관심이 집중된다. 이 시기 주된 과제는 이성 친구들과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초기 청소년기
14
말러의 분리개별화 이론은 최초로 사랑한 어머니와의 분리 독립과정에 따른 인격 형성 과정을 발표한 것이다. 유아기 단계에서 형성되는 ()에 초점을 맞췄다.
대상항상성
15
이 단계는 생존를 위한 기본욕구 충족에 초점을 두고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을 잘 안 한다.
정상자폐기
16
정상자폐기는 욕구 불만족 시 ()로 발전 가능하다.
자폐장애
17
어머니와 특별한 정서적 애착을 확립하는 공생관계를 보이는 단계는?
공생기
18
공생기에 유아는 자기와 어머니를 구분할 수 있다. O,X
X
19
어머니와 공생적 단일체에서 벗어나 신체적, 정신적 구별감을 획득하는 시기는?
분리 개별화기
20
분리 개별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화해접근분기-어머니에 대한 긍정적인 내적 이미지를 수립한다.
21
공생단계에 머무르고 싶은 욕구와 분리된 개인으로서 자율성을 얻고자 하는 욕구 사이에서 비롯되는 심리적 위기를 해결하는 단계는?
화해접근분기
22
화해접근분기는 ()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경계성 인격장애
23
잠재기에서 아동은 성적으로 민감한 활동을 (동성/이성) 친구로 매꾼다.
동성
24
의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통제할 수 있는 지적, 정서적 경험과 인간관계이다.
25
의식 구조에서 깨어있을 때만 작용하는 것은?
의식
26
마음의 일부로 개인이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의식
27
빙산의 작은 부분으로 비유한 것은?
의식
28
활동범위가 적은 것은?
의식
29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열린체계, 융통성이 있고 변화가 가능한 것은?
의식
30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다른 사람과 자유롭게 상호작용 하는 것은?
의식
31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자아와 초자아로 구성된 것은?
의식, 전의식
32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2차 사고과정을 사용하는 것은?
의식, 전의식
33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잠재의식은?
전의식
34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의식이나 무의식 영역에서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것은?
전의식
35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주의를 집중하는 강렬한 에너지가 투여되면 접근할 수 있는 기억과 재료가 저장된 곳은?
전의식
36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자주 사용하지 않고 필요하지 않은 많은 사건이 의식에 남아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전의식
37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수용하기 어렵고 혼란스러운 무의식이 의식으로 표출돠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전의식
38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일생의 경험, 지식, 감정이 모두 저장된 곳은?
무의식
39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욕구나 충동이 들어있는 접근할 수 없는 곳은?
무의식
40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마음의 9/10인 곳은?
무의식
41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프로이드가 가장 강조한 곳은?
무의식
42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주로 이드와 초자아로 구성된 것은?
무의식
43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현실과 환상의 구분이 없는 것은?
무의식
44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1차 사고과정을 하는 것은?
무의식
45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꿈, 실언, 농담 등으로 의식으로 떠오르기도 하는 것은?
무의식
46
이드, 자아, 초자아 중 성격의 근원적인 부분은?
이드
47
이드, 자아, 초자아 중 에너지의 원천은?
이드
48
이드는 ()에 존재한다.
무의식
49
이드, 자아, 초자아 중 생물학적 과정과 밀접하게 연결, 유전적인 것, 반사, 본능, 기본적인 욕구, 충동, 동기 유발하는 것은?
이드
50
이드는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며 ()에 의해 점점 약해진다.
자아
51
이드는 5-6세부터 (), ()에 의해 더 약해진다.
자아, 초자아
52
이드는 청소년기 생물학적 변화에 의해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아니오
53
이드는 여성에서 폐경기 시 다시 한번 증가한다.
예
54
이드는 ()원칙이다.
쾌락
55
이드는 ()차 사고과정이다.
1
56
순간적인 만족이나 안정을 가져올 수 있지만 실제적인 욕구의 해결이나 오랜기간 만족을 줄 수 없는 것은?
이드
57
주어진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해 새로운 심리적 과정을 모색한 것은?
자아
58
이드에서 분화된 것은?
자아
59
외부세계와 직접 접촉하여 현실을 검증하고 이드의 충동이 효과적으로 표현되는 것에 중점을 둔 것은?
자아
60
자아는 출생시부터 존재한다.
예
61
생후 4-6개월주터 발달이 시작되는 것은?
자아
62
자아는 대체로 몇세경에 완성되는가?
2-3
63
자아는 ()원칙이다.
현실
64
의식, 전의식, 무의식에 걸쳐 작용하는 것은?
자아
65
성격의 집행부는?
자아
66
이성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성숙한 인간의 모습으로 살아가도록 기능하는 것은?
자아
67
개인이 심리적으로 중요한 주변의 대상자를 닮고자 하는 동일시 과정을 통해 ()를 변화, 성장시키는 과정을 겪는다.
자아
68
이드에서 비롯하고 자아에서 분화된 것은?
초자아
69
부모나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달하는 도덕적인 표준이나 사회적 이상은?
초자아
70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판단하는 것은?
초자아
71
1세 전후에 생겨나고 5-6세에 최고로 발달하는 것은?
초자아
72
9-11세에 기틀이 잡혀 도덕관이 내제화 되는 것은?
초자아
73
칭찬과 벌을 주는 부모와 윗사람과의 동일시 과정을 통해 발달하는 것은?
초자아
74
()은/는 양심과 자아이상의 2부분으로 나뉜다.
초자아
75
완벽을 추구하는 것은?
초자아
76
초자아는 너무 강하면 반사회적 인격이 된다.
아니오
77
너무 강하면 금욕주의자, 수심이나 초조감에 쫓기는 사람이 되는 것은?
초자아
78
이드 만족을 위하여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은?
카덱시스
79
이드 충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자아와 초자아가 정신적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은?
안티 카덱시스
80
방어기제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억압을 제외한 모든 방어기제는 무의식적으로 사용된다.
81
나이에 맞지 않게 이전 발달단계로 돌아가는 것은?
퇴행
82
의식적 과정이며, 성숙한 방어는?
억제
83
욕망이 통제되지 않고 분출되는 것에 주목하는 방어기제는?
행동화
84
불편한 욕구나 기억을 지우거나 중화, 걱정될 때 기도문 외우는 것은?
취소
85
미운사람 떡하나 더 주기 속담을 가진 방어기제는?
반동형성
86
주로 자율신경계, 두통, 복통 문제가 있는 방어기제는?
신체화
87
감각기관과 수의근계, 마비, 경련이 있는 방어기제는?
전환
88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눈물 흘린다 속담을 가진 방어기제는?
전치
89
꿈, 공상, 신화, 농담에서 이를 볼 수 있다.
상징화
90
자기변명, 핑계를 대는 방어기제는?
합리화
91
이성적 사고로 정신적 불편 제거하는 방어기제는?
주지화
92
자신과 외부의 구별이 없는 시기에 발생하고, 가장 원시적인 동일시를 하는 방어기제는?
합일화
93
사고 및 기억에서 감정을 분리하는 방어기제는?
격리
94
경계성 성격장애로 입원한 환자는 의사는 나쁘고 간호사는 좋은 사람이라고 말한다.
분리
95
만나는 모든 남자들이 어떻든지 그들은 오로지 성적인 것만 원한다고 말하는 그녀는 사실 그들에게 성적인 관심이 있다는 것을 인지 못하고 있다.
투사
96
자기인식, 인간 전체에 대한 철학적 신념 및 가치관이 중요한 것은?
치료적 자기이용
97
가장 효과적인 정신과 치료는 약물과 치료적 인간 관계를 병행하는 것은?
치료적 자기이용
98
정신건강의 주요 개념으로 타인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기 위해 자기 인식 및 자기 이해에 대한 훈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응?
자기인식
99
타인에게 자신의 노출정도, 타인과 정보와 감정을 공유할 만큼 신뢰가 깊을 때 가능한 것은?
자기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