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태형령
1912
2
조선 총독부 설치
1910
3
헌병 경찰제
1910년대 초
4
토지 조사 사업
1912
5
임시 토지 조사국 설치
1910
6
허가제 회사령
1910
7
어업령
1910년대
8
광업령
1910년대
9
인삼전매사업
1910년대
10
사회주의 붐
1920년대
11
사이토 마코토 총독 임명
1920년대
12
보통경찰제
1920년대
13
치안유지법 시행
1920년대
14
조선일보, 동아일보 창간
1920년대
15
제 2차 조선 교육령
1922
16
도평의회/부면협의회/선거권 부여
1920
17
산미증식계획(시작과 끝)
1920-1935
18
신은행령
1928
19
관세 폐지
1923
20
채응언 활동 끝
1915
21
독립 의군부 조직
1912
22
대한 광복회 결성
1915
23
송죽회
1910년대
24
기성단 조직
1910
25
대한 광복군 정부 수립
1914
26
한인 사회당 조직
1920년대
27
대조선 국민 군단
1914
28
임시정부 조직
1919
29
군무부 직할 광복군 사령부
1920
30
광복군 총영
1920
31
육군 주만 참의부
1923
32
국민 대표 회의
1923
33
임시정부 국무령 중심의 집단 지도 체제 전환
1925
34
천마산대 조직
3.1운동 이후
35
황해도 구월산대 조직
3.1운동 잏ㄷㆍ
36
동암산 보합단 조직
3.1운동 이후
37
서로군정서 조직
1919
38
국민회군
3.1운동 이후
39
대한 독립단 조직
3.1운동 이후
40
광한단 조직
3.1운동 이후
41
북로군정서 조직
3.1운동 이후
42
봉오동전투
1920
43
청산리대첩
1920
44
간도참변
1920
45
자유시참변
1921
46
의열단 결성
1919
47
황푸군관학교 의열단 입학
1920년대 후반
48
조선 혁명 간부 학교 설립
1930년대
49
만주사변
1931
50
만보산사건
1931
51
한인애국단 조직
1931
52
이봉창 의거
1932
53
상하이사변
1932
54
강우규 의거
1919
55
박재혁 의거
1920
56
김익상
1921
57
김상옥
1923
58
김지섭
1924
59
남자현
1924
60
나석주 의거
1926
61
조명하 의거
1928
62
이봉창
1932
63
윤봉길
1932
64
조선 물산 장려회 발족
1920
65
민립대학 기성회 조직
1922
66
조선 교육회 조직
1920
67
조선일보 문자 보급 운동
1929
68
브나로드 운동
1930년대
69
조선어학회 강습회
1930년대
70
한글 보급 중단
1935
71
러시아혁명
1917
72
조선 공산당 결성
1925
73
조선 민흥회 결성
1926
74
정우회 선언
1926
75
신간회 결성
1927
76
광주학생항일운돗
1929
77
코민테른 12월테제
1928
78
신간회 지도부 우경화
1930년대
79
신간회 해소안 채택
1931
80
6.10 만세운동
1926
81
기미독립선언서
1919
82
대동단결선언
1917
83
조선 청년 총동맹 결성
1924
84
진주 소년회 조직
1920
85
천도교 소년회 조직
1921
86
조선 소년 연합회 결성
1927
87
형평사 조직
1923
88
형평사 전조선대회
1925
89
형평사 발전
1927
90
형평사 변질
1930 중반 이후
91
조선 여자 청년회, etc 조직
20년대 초
92
근우회 창립
1927
93
조선어 연구회
1921
94
조선어 학회
1931
95
암태도 소작쟁의
1923
96
조선 농민 총동맹
1927
97
혁명적 농민조합
1930년대
98
혁명적 노동조합
1930년대
99
부산부두노동자파업
1921
100
경성양화직공동맹휴업, 경성고무여공파업, 경성인력거꾼 파업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