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Endocrine
  • Noa n

  • 問題数 84 • 8/30/2024

    記憶度

    完璧

    12

    覚えた

    31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8시간 공복혈당 기준으로 몇 이상일 때 당뇨로 진단하나?

    126

  • 2

    ( ) is by far the most effective preventive intervention in almost all patients, especially in DM

    smoking cessation

  • 3

    ( )은 장에 있는 담즙산에 결합하여 흡수를 막는다. 그러면 간에서 담즙산을 합성하기 위해 혈중의 LDL을 쓰기 때문에 serum LDL 수치를 낮춘다. 하지만 side effect로 장에서 TG의 생성을 증가시켜 hypertriglycemia가 생길 수 있다.

    bile acid binding resin

  • 4

    환자가 고혈압, proximal muscle weakness, hyperglycemia 보이면 무슨 병을 의심해야 하는가?

    Cushing disease

  • 5

    Cushing disease에서 High dose dexamethasone을 주었을 때 cortisol 수치가 감소하면 이 병의 원인은 무엇인가?

    pituitary adenoma

  • 6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CAH)의 가장 흔한 원인은 무슨 효소의 결핍인가?

    21-hydroxylase

  • 7

    21-hydroxylase는 부신에서 무엇에서 무엇으로 바꾸는 효소인가? (이름/이름)

    progesterone/11-deoxycorticosterone, 17-hydroxyprogesterone/11-deoxycortisol

  • 8

    Cerebral injury후에 발생한 hyponatremia의 원인과 뇌의 어느부분 injury 때문인가?

    SIADH, hypothalamus

  • 9

    Pancreatic islet ( ) deposition은 type2 DM의 특징이다.

    amyloid

  • 10

    episodic headache, sweating, anxiety 증상, adrenal gland에 mass, 질환명은?

    pheochromocytoma

  • 11

    Pheochromocytoma은 adrenal medulla의 chromaffin cell에서 기원한다. 이 chromaffin cell은 ( )에서 기원하는데 이 세포는 chromaffin cell뿐만 아니라 melanocyte나 neural ganglia로 분화될 수 있다.

    neural crest cell

  • 12

    부신의 adrenocortical adenoma에서 aldosterone 과다 분비로 hypokalemia생겨 발생하는 증상은?

    muscle weakness

  • 13

    만성적인 Hypothyroidism과 갑상선의 diffuse goiter가 보일 때 가장 흔한 원인은?

    Hashimoto thyroiditis

  • 14

    Leuprolide는 GnRH analog로써 prostate cancer에서 테스토스테론 level을 억제하는데 쓰인다. Chronic administration of leuprolide의 부작용은?

    pituitary gland의 gonadotropin cell에서 GnRH receptor를 down regulation시켜 pituitary에서 LH의 방출을 감소시켜 테스테스토스의 생성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골다공증이 올 수도 있다)

  • 15

    Tamoxifen은 SERM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로 조직에 따라서 agonist또는 antagonist 역할을 한다. 어느 조직에서 각각 해당하는가?

    uterus의 endometrium에서는 agonist effect로 endometrial hyperplasia를 일으킬 수 있고 Breast에서는 antagonist 역할을 해서 breast cancer를 막는다.

  • 16

    Breast tumor에서 aromatase inhibitor (anastrozole, letrozole, exemestane)의 작용 기전은?

    안드로겐에서 에스트로겐이 만들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 17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의 병리학적 기전은?

    LDL receptor gene mutation으로 hepatocyte에서 LDL receptor가 잘 발현되지 않음

  • 18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에서 hypokalemia, low testosterone and estradiol level 보일 경우 무슨 효소 결핍으로 인한 것인가?

    17 alpha-hydroxylase

  • 19

    Weight loss, tachycardia, tremor있는 환자에서 elevated T4, decreased TSH, low/undetectable thyroglobulin은 무엇을 뜻하는가?

    exogenous hyperthyroidism

  • 20

    Pheochromocytoma, medullary thyroid cancer가 있을 때 MEN2 관련 malignancy를 의심할 수 있다. 조직학적 특징은?

    amyloid deposit

  • 21

    Cystic fibrosis related DM은 인슐린 분비가 감소해서 발생한다. 기전은?

    destruction of pancreatic islet

  • 22

    당뇨에서 DPP4 inhibitor(~gliptin)는 장에서 분비되는 GLP-1의 분해를 막아 당을 조절한다. GLP-1의 역할은?

    glucose dependent insulin release

  • 23

    어떤 환자가 pituitary adenoma가지고 있었는데 갑자기 심한 두통, bitemporal hemianopsia, opthalmoplegia 발생 후 사망ᆢ진단은?

    pituitary apoplexy

  • 24

    Immunohistochemistry에서 synaptophysin, chromogranin, neuron specific enolase에 positive일 경우 무슨 종양을 의심하고 이 종양은 부신의 어느부분에서 발생하나?

    pheochromocytoma/adrenal medulla

  • 25

    Thyroid mass에서 stain positive for calcitonin이라면 무슨 종양인가?

    medullary thyroid cancer

  • 26

    Hypertriglycemia에서 가장 효과적인 약은?

    fibrate

  • 27

    거인증은 GH의 과도한 분비로 인해 생긴다. It's growth-promoting effects are primarily mediated by ( )

    IGF-1

  • 28

    Leuprolide는 prostate cancer에 쓰이는 GnRH analogue로 GnRH receptor를 down regulation시켜서 결과적으로 낮은 LH -> 낮은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하게 한다. 약 투여 후 테스토스테론 분비량 경과는?

    증가 -> 감소

  • 29

    Acromegaly 환자에서 joint에 생기는 증상은?

    GH증가는 articular chondrocyte hyperplasia와 synovial hypertrophy를 일으킨다.

  • 30

    SGLT2 inhibitor는 왜 혈압을 낮추나?

    glucose와 sodium의 renal reabsorption을 막기 때문에 삼투성 이뇨작용으로 혈압을 낮춘다.

  • 31

    클라인펠터증후군에서 보이는 LH/FSH/testosterone 수치는?

    증가/증가/감소

  • 32

    Sulfonylurea는 이자세포막의 ( )채널을 막아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 약제 예시로는 ( )가 있으며 흔한 부작용은 ( )이다.

    칼륨/glipizide/저혈당

  • 33

    당뇨약에서 Glyburide는 ( )계열 약재로 만들어진 proinsulin이 insulin과 ( )로 쪼개져서 혈중 농도가 높아진다.

    sulfonylurea/C-peptide

  • 34

    symptomatic hypogonadism에서 testosterone replacement therapy는 erythrocytosis를 일으킬 수 있어 ( )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Hematocrit

  • 35

    임신 후 12개월 내에 postpartum thyroiditis 발생할 수 있다. 갑상선의 조직학적 특징은?

    lymphocytes infiltration

  • 36

    부신에서 Zona fasciculata, reticularis의 호르몬은 주로 ( )에 의해 조절되고 zona glomerulosa 호르몬은 주로 ( )에 의해 조절된다.

    ACTH/angiotensin II

  • 37

    당뇨 약재에서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를 활성화시켜서 당,지질의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전사를 변형시키는 약재는?

    TZD

  • 38

    IGF-1은 뼈의 ( )의 증식을 촉진한다.

    epiphyseal plate

  • 39

    갑자기 hyperglycemia, necrotic migratory erythema면 무슨 종양 의심?

    glucagonoma

  • 40

    Estrogen이 증가하면 ( )가 증가하여 free T3, T4가 감소하게 되어 일시적으로 TSH가 증가한다. (결국 total T3,T4증가)

    TBG

  • 41

    Primary hyperaldosteronism일 때 distal tubule에서 sodium ( ), H와 potassium ( )한다.

    재흡수 증가/분비 증가

  • 42

    Ectopic ACTH secretion으로 가장 흔한 종양은?

    SCLC

  • 43

    당뇨약제 중에서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 2가지?

    GLP-1/SGLT-2

  • 44

    PTH 일시적으로 주입시 ( ) 촉진, 지속적 주입시 뼈에서 ( ) 촉진.

    osteoblast분화/Ca분비(골다공증 생김)

  • 45

    ACTH 주입했을 때 no effect 보일 경우?

    primary adrenal insufficiency

  • 46

    MEN1에서 잘 생기는 3가지?

    pituitary tumor/pancreatic tumor/primary hyperparathyroidism

  • 47

    LDL(lipoprotein lipase) dificiency로 familial chylomicronemia syndrome이 생긴다. 이로 인해 생기는 증상은?

    hyper TG/acute pancreatitis/lipildemia retinal (milky appearing retinal vasculature)

  • 48

    높은 당뇨가 유지되었음에도 HbA1c가 낮게 나온 사람은?

    hemolytic anemia의 경우 적혈구가 120일을 살지 못해 Hb의 glycosylation이 더 적게 확인됨

  • 49

    Intranuclear inclusion body, groove. Finely dispersed chromatin (ground glass appearance), orphan Anni eye 이 종양의 이름은?

    papillary carcinoma

  • 50

    약 복용 후 sore throat, fever, pharyngeal ulcer 보임. 진단은?

    drug induced neutropenia

  • 51

    21-hydroxylase def의 치료는?

    low dose erogenous steroid

  • 52

    Prolactinoma에서 생길 수 있는 증상은?

    osteoporosis

  • 53

    Statin부작용 있을 때 대체약?

    ezetimibe

  • 54

    Phentermine은 무슨약인가?

    NE releasing agent

  • 55

    Methimazole과 PTU의 공통 기전은 iodine ( )과 ( ) of iodine tyrosine이고 PTU는 추가적으로 말초에서 ( ) 한다.

    organification/coupling/T4->T3

  • 56

    DiGeorge syndrome은 ( ) pharyngeal pouch의 maldevelopment로 생기며 parathyroid, thymus hypoplasia로 ( , )가 생긴다.

    3,4/hypocalcemia/T cell deficiency

  • 57

    Calcitriol이 뭐야?

    vit.D의 active form

  • 58

    Prolactinoma의 치료는 pituitary dopamine agonist로 ( )와 ( )가 있다. 이들을 투여하면 발기가 좀더 잘되고 tumor size도 감소한다.

    cabergoline

  • 59

    Primary adrenal insufficiency에서 NE가 증가하는 이유는?

    cortisol은 평소 교감신경 억제. cortisol이 적어지면서 교감이 항진되어 NE분비가 증가한다.

  • 60

    빈칸을 채우시오

    :)

  • 61

    2살 아이에서 large anterior fontanelle, large tongue, umbilical hernia, puffy face 보일 경우, 원인은?

    hypothyroidism

  • 62

    Weight loss, abdominal pain, fatigue, hyperpigmentation을 보일 경우 ( )을 의심한다. ( ) is the m/c cause of this.

    Primary adrenal insufficiency(PAI)/autoimmune adrenalitis

  • 63

    Phentermine is ( ) weight loss drug

    NE releasing agent

  • 64

    이 lesion의 이름은 ( ), they are dermal accumulation of ( ) containing cholesterol and TG.

    xanthelasmas/MQ

  • 65

    다음은 페닐알라닌의 대사과정이다. 1,2,3의 이름을 쓰고 1번이 결핍일 때는 무슨병이 걸리는지? 그리고 homogentisate가 증가하면 무슨 병이 걸리는지?

    phenylalanine hydroxylase/tyrosine/fumarate/페닐케톤뇨증/alkaptonuria

  • 66

    Polyurethane, polydipsia, altered mental status, fruity odor breath 보일 경우 진단은? ( ) 그리고 이것은 ( )의 결핍 때문에 발생한다.

    diabetic ketoacidosis/insulin

  • 67

    5살 아이가 칠판을 잘 못봐서 왔다. 키가 크고 길고 얇은 팔다리를 가짐. 4년 후 갑자기 심혈관문제로 사망. 진단과 치료는?

    homocystinuria/pyridoxine

  • 68

    GH는 cell surface receptor에 붙어서 ( )의 세포내 활성을 일으킨다.

    JAK-STAT pathway

  • 69

    SLE로 오랫동안 스테로이드 투여받은 사람, 쿠싱증후군 발생. Adrenal gland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

    bilateral cortical atrophy

  • 70

    여성에서 다모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 )이다. 이때 쓰는 치료는 ( )이고 이는 ( )의 분비를 막아 난소에서 안드로겐의 생성을 감소시킨다.

    PCOS/경구피임제/LH

  • 71

    Somatostatinoma 환자에서 ( )분비가 감소되면 GB 수축력이 감소하여 담낭돌이 잘 생긴다.

    cholecystokinin

  • 72

    콜레스테롤 수치는 낮추지만 간에서 TG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은?

    bile acid binding resin

  • 73

    Central fat accumulation in the trunk and viscera는 무슨 약의 부작용으로 생길 수 있나?

    HAART

  • 74

    Functional hypothalamic amenorrhea일 경우 GnRH/FSH/LH/Estradiol 수치는?

    감소/감소/감소/감소

  • 75

    Adrenal medulla의 chromaffin cell은 ( ) 에 의해 촉진되어 catecholamine을 분비한다.

    acetylcholine

  • 76

    쿠싱증후군은 ACTH-dependent와 independent로 나뉜다. ACTH dependent 쿠싱증후군은 ( )가 보이는데 이는 ACTH가 코티솔뿐만 아니라 ( ) 분비까지 촉진하기 때문이다.

    hyperpigmentatiom/androgen

  • 77

    ( ) 환자에서는 활성화된 MQ가 1-alpha hydroxylase를 발현해서 과도한 1,25-dihydroxyvitamin D와 hypercalcemia를 일으킨다.

    sarcoidosis and other granulomatous disease

  • 78

    Macrolide (ex.erythromycin)은 ( )로 작용하여 upper motility를 증가시킨다. 그래서 이는 당뇨환자에서 장마비에 사용할 수 있다.

    motility receptor agonist

  • 79

    Medullary thyroid cancer, pheochromocytoma, paranoid habits, oral and intestinal mucosa neuroma를 보일 때 의심해야 할 것은?

    MEN2B

  • 80

    왜 PAI(primary adrenal insufficiency)에서 eosinophilia가 나타날까?

    코티솔은 면역계를 억제하여 염증이 일어나지않도록 하는데 이 수치가 낮아지면 염증세포인 호산구가 증가한다

  • 81

    NPC는 어떤 인종에서 흔하며 특징은?

    Ashkenazi Jewish/hepatosplenomegaly, Macular cherry red spot

  • 82

    TSH와 Thyroxine(T4)의 정상수치는?

    0.4~4/4.5~12

  • 83

    급성기 저혈당일 때 IV 글루카곤 투여한다. 작용기전은?

    간에서 glycogenolysis 증가

  • 84

    Medullary thyroid cancer의 조직학적 특징은?

    polygonal cell with extracellular amyloid deposit (콩고레드염색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