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흉격 윗부분(두통.안질.인후) - 한약 어떻게 복용해야 하는가?
식후
2
흉격 아랫부분(위.간.신장) - 한약 어떻게 복용해야 하는가?
식전
3
진정제. 윤장통변약은 언제 복용해야 하는가?
취침전
4
표준체중이란?
(신장-100)×0.9
5
간호사업 3대 요소 중 과학적 간호와 관련 있는 것
지식
6
다음 중 혈관수축제로 옳은 것은
소듐바이카보네이트
7
영아 고막체온 측정 방법
후하방
8
농어촌등보건의료를위한특별조치법에 의해 일차보건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보건 기관은?
보건진료소
9
지역보건법 상 보건소의 업무가 아닌 것은?
장애인 재활사업 등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회복지사업
10
건강증진사업과 관련하여 옳지 않은 것은?
질병의 치료 및 재활 사업
11
멸균할 기재를 뜨거운 공기에 노출시켜 미생물의 원형질을 산화하며, 예리한 바늘이나 주사기를 멸균할 때 사용하는 것은?
건열멸균법
12
모든 국민이 수준 높은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국민 의료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 국민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데 목적이 있는 법은?
의료법
13
자간전증의 증상 세 가지는?
혈압, 부종, 단백뇨
14
자간전증의 증상은?
혈압, 부종, 단백뇨
15
뼈의 성장 및 대사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닌 것은?
글루카곤
16
투약 약어의 의미가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pc - 식전
17
약물 흡수와 관련하여 옳지 않은 것은?
산성약물은 알칼리환경에서 흡수가 더 빠르다.
18
약물의 종류와 표기가 옳게 연결된 것은?
보통약 - 흰 바탕, 검은 테두리, 청색이나 검은색으로 기록.
19
E.O 가스멸균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멸균 시간이 짧다
20
침상 목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비누를 사용하여 청결히 씻는다
21
측와위 욕창 호발 부위로 옳은 것은?
대전자 부위, 견봉부, 복사뼈, 팔꿈치
22
실내공기오염지표는?
이산화탄소
23
실외공기오염지표는?
일산화탄소
24
공중조건학 유시 학문으로 옳지 않은 것은?
치료의학
25
독소형 식중독 원인균 세 가지를 서술하시오.
보툴리누스, 포도상구균, 웰치균
26
냉찜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8시간까지 지속해도 무방하다
27
혈액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골격 발달
28
약물에 대한 과민 반응은 환자가 과거에 그 약물을 투여 받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X
29
측정시간이 가장 짧고 심부체온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은?
고막체온
30
생후 3~4개월부터는 반고형식의 이유식을 준다.
X
31
눈, 귀, 목 부분 검사 시 필요로 하거나, 위세척을 할 때 적절한 억제법?
전신 억제법
32
불쾌지수가 75이상일 경우 옳은 설명은?
50%의 사람이 불편 호소.
33
숙주에 침입해 증식하는 능력
감염력
34
출생 후 가장 먼저 실시되는 예방 접종은?
b형 간염
35
요양병원 입원대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감염성 질환자
36
열경련의 응급처치로 옳은 것은?
경련이 일어난 근육 마사지•지압
37
심폐소생술 중 갑자기 공기 저항이 느껴질 경우?
두부후굴-하악거상법을 다시 시도해본다
38
흉부압박시 압박과 이완의 비율은 몇:몇?
50:50
39
성인 남성의 일일 에너지 필요추정량(kcal/일)이 가장 많은 연령은?
15~18
40
성인 여성의 일일 에너지 필요추정량(kcal/일)이 가장 높은 시기는?
19~29
41
교감신경이 흥분하였을 때 반응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소화기관 연동 운동 촉진
42
의식 없는 환자의 토물 흡인을 예방하고 구강으로부터 분비물 배액을 돕는 체위는?
복위
43
매일 불소용액으로 양치할 경우 불소의 농도는 몇 퍼센트?
0.05%
44
2도 화상 응급처치로 옳은 것은?
건조한 멸균된 천으로 덮는다
45
경구 피임약의 성분은 테스토스테론이다.
X
46
개봉한 의약품 사용 기간으로 가장 짧은 것은?
항생제 시럽
47
흉부손상 중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은?
단순 늑골 골절
48
흉부 외상 중 늑골 골절에서 골절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제 5~9 늑골
49
복강을 구성하는 중요한 두 부분은?
복부, 골반
50
음식물의 섭취 중추는?
간뇌
51
응급처치 우선순위에 맞게 순서대로 클릭하시오
기도유지(A), 가슴압박(C), 호흡확인 및 인공호흡(B)
52
무색 무취 무자극성이면서 맹독성의 물질은?
일산화탄소
53
감염병 전파과정의 차단에 관련하여, 환자•보균자를 조기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은 어떤 단계에 해당하는가?
감염원 처리
54
요실금 간호로 옳은 것은?
회음부 자주 공기에 노출
55
내시경 환자가 검사실에 안가고 집에 가겠다고 할 때
침상 난간 올리고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56
저혈당의 증상이 아닌 것은?
갈증
57
발열과 함께 몸통에서 발진이 시작되어 점차 사지로 번지는 특성의 감염병은?
수두
58
수치료의 효과로 옳은 것은?
해독과 중화작용
59
화학물질에 의해 고혈압. 뇌염. 유산. 무월경. 빈혈. 신경장애를 초래하는 물질은?
납
60
보건복지부 장관은 정신의료기관이 몇 병상 이상일 경우 그 규모를 제한하는가?
300개
61
식품 변질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발효. 변패. 부패는 차례로 일어난다.
62
사지마비. 정신이상. 언어장애. 시청각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수질오염 물질은?
메틸수은
63
체온조절중추가 있는 곳은?
시상하부
64
구강보건법 상 구강보건사업 기본 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구강보건에 관한 조사•연구•교육사업
65
편마비 대상자 지팡이로 계단오를 때 순서로 옳은 것은?
지팡이-건강측-마비측
66
편마비환자 부축 시 간호조무사의 위치로 옳은 것은?
불편한 쪽(마비측)
67
원인 불명 진단을 받고 39°C 이상의 고열환자 간호로 옳은 것은?
수분 섭취 권장
68
지역보건법에 제시된 보건소의 기능 및 업무에는 보건 요원 훈련이 포함된다.
X
69
혈액관리법 상 혈액원이 헌혈자에게 채혈 실시 전 시행하는 건강진단으로 옳지 않은 것은?
A형 간염
70
2차 대기오염의 지표로 옳은 것은?
오존
71
의료기관의 개설자가 될 수 없는 자에게 고용되어 의료행위를 한 경우 벌칙은?
500만원 이하의 벌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