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에스프레소 추출 시 커피 성분이 지나치게 많이 추출된 경우를 과다추출이라고 한다. 다음 중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기준보다 낮은 온도에서 추출한 경우
2
다음 중 커피 보관에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 맞는 것은?
원두가 수분을 흡수하면 휘발성 향기 성분의 산화가 촉진된다.
3
다음 중 커피를 로스팅할 때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밀도의 증가
4
커피 열매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생두가 마주보는 상태로 자마려 구조상 평평한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생두를 무엇이라 하는가?
플랫 빈
5
수확 방법의 하나인 핸드피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내추럴 커피나 로부스타 커피를 생산하는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수확 방법이다
6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펌프모터의 적정한 압력 범위는?
8-10bar
7
다음 커피 중 수출항의 이름에서 명칭이 유래한 것은?
산토스
8
다음 중 에스프레소 추출에 있어 일반적인 추출 시간은?
20-30초
9
다음 중 커피 재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화산 지역의 토양은 미네랄이 풍부하여 커피나무 성장에 도움을 준다
10
다음 중 습식법 가공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건식법에 비해 생산 단가가 싸고 친환경적이다.
11
다음 커피 포장 방법 중 가장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것은?
질소가압 포장
12
생두의 표면을 감싸고 있는 얇은 껍질을 ()라 하며 생두의 가운데 파인 부분을 ()이라 부른다.
실버스킨 / 센터컷
13
다음 중 커피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심방 박동 수를 감소시켜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14
커피의 로스팅 과정이 순서대로 맞게 나열된 것은?
건조->열분해->냉각
15
다음 중 로스팅 방식에 따른 로스팅 머신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자연 건조식
16
열대와 아열대 지역으로 커피를 재배하기에 적합한 기후와 토양을 가지고 있는 커피 벨트의 가장 정확한 범위는?
남위25°-북위25
17
필터 바스켓에 담긴 커피를 손이나 도저 뚜껑 등을 사용해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은 무엇인가?
레벨링
18
브라질에서 발견된 티피카의 돌연변이종으로 다른 아라비카 계통의 품종에 비해 잎, 체리, 생두가 모두 크다. 생산성이 낮지만 크기가 커서 상업적 가치가 있기에 브라질, 멕시코, 니카라과 등 일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마라고지페
19
다음 중 커피의 종과 관계없는 것은?
코페아
20
다음 중 간격식 칼날의 분쇄 원리의 형태이면서 원심력의 힘으로 배출되며 입자분포가 비교적 균일한 그라인더 칼날의 형태는?
플랫형
21
다음 중 갈변 반응의 의해 생성된 커피 향기가 아닌 것은?
스파이시(Spicy)
22
다음 커피의 대한 식물학적 설명 중 맞는 것은?
아라비카의 염색체 개수는 44개이고, 로부스타는 22개이다.
23
다음 중 일반적인 에스프레소 커피의 과소 추출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추출 원인과 추출수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24
다음은 커피 추출 시 분쇄 입자에 관한 내용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
입자가 굵을수록 물과 접속시간을 짧게 하면 맛 성분이 더 많이 추출된다.
25
다음의 로스팅 8단계 중 가장 강한 로스팅 단계는?
이탈리안 로스트
26
다음 중 수확년도를 기준으로 2년이상 경과한 생두에 해당하는 명칭은?
올드 크롭
27
다음 중 한잔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추출하는 물의 온도 : 70±5°C
28
다음 중 커피 맛을 감별하기 위한 미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떫은 맛
29
다음 아라비카와 로부스타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맞는 것은?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모두 꽃잎은 흰색이다.
30
에스프레소 추출 시 추출액 위에 덮이는 거품으로, 이산화탄소, 지방성분, 향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크레마
31
다음 생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좋은 생두일수록 향이 풍부하며 갈색빛을 띤다.
32
커피의 수확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핸드피킹은 스트리핑보다 나무에 손상을 덜 입힌다.
33
커피 로스팅 시 생두에 열을 가하는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반사
34
다음 중 에스프레소 추출 시 머신에서 추출 전 물 흘리기를 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과열된 물을 흘려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35
다음 중 건식법에는 없고 습식법에만 있는 커피 과공 과정은?
발효
36
다음 중 아라비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카브리해, 중남미, 서부 아프리카 등지에서 주로 생산된다.
37
•두 개의 칼날이 한 쌍의 형태로 되어 있다. •코니컬형, 플랫형, 롤형이 있다. •날과 날 사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입자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간격식
38
커피 로스팅 과정에서 가징 많이 발생하는 가스 성분은?
이산화탄소
39
이교도의 음료로 알려진 커피에 세례를 주어 커피가 유럽에 널리 전파될 수 있도록 한 인물은 다음 중 누구인가?
클레멘트 8세
40
커피체리를 수확한 후 껍질을 제거하여 곧바로 건조시켜 커피의 점액질이 그대로 생두에 흡수되어 풍부한 단맛을 형성하게 하는 가공방법을 ()이라 하며, 주로 ()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펄프드 내추럴/브라질
41
다음 중 재배 조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햇빛이 강한 지역이 좋다.
42
커피열매의 명칭을 바깥쪽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을 고르시오.
외과피>과육>점액질>파치먼트>실버스킨>생두
43
다음 중 블렌딩을 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
단종 커피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44
커피는 ()최초로, 발견되었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전설에 따르면()는 목동에 의해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에티오피아 / 칼디
45
다음 중 커피나무를 잘 재배하고 풍부한 수확을 위해서 해야 할 일 중 틀린 것은?
햇볕이 강한 시간에 물 주기
46
커피 생산 국가에 따라 생두 분류 기준이 다르다. 다음 중 그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생두 중량
47
다음 로스팅에 따른 맛의 변화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다크로스트일수록 쓴맛이 강하다.
48
다음 중 커피나무의 재배에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파종 방법은?
파치먼트 파종
49
다음 중 커피 열매의 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파치먼트는 생두를 감싸고 있는 껍질로 내과피에 해당한다.
50
다음 커피 생산국 중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은 어디인가?
브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