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임의로 선택된 표본에 모집단의 어느 원소가 포함되느냐에 따라 표본통계량의 값을 달라지기 마련이다 이를
표본변동
2
표본의 크기가 더 커지면 표본평균은 아마 모평균에 더 가까워질 것이다 이것이 ㅇㅇㅇ의 근본 개념이다
통계적 추정
3
ㅇㅇㅇ은 모집단의 ㅇㅇㅇ을 추론하기 위해 표본으로 부터얻은 통계량이다 이에 반해 ㅇㅇㅇ은 특정 표본에서 얻어진 추정량의 구체적인 값이다
추정량 , 모수값 , 추정치
4
ㅇㅇㅇ이란 추정치와 그에 대응하는 모수와의 차이를 말한다
표본오차
5
추정량의 기댓값과 참모수와의 차이
편의
6
ㅇㅇㅇ은 특정표본에서 표본오차는 존재하지만 평균적으로는 실제 모수를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하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불편추정량
7
추정량 표본분포의 분산에 관한 것 분산이 작을수록 더 효율적 인 추정량
효율성
8
불편추정량이면저 분산이 가장작은ㅇㅇㅇ이라면 더 좋다
최소분산추정량
9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모수값과 가까워지는 추정량
일치추정량
10
추정량의 ㅇㅇㅇ는 추정량이 취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값에 대한 확률분포이다
표본분포
11
표본평균의 표본오차를 일반회하여 표현하기 위해 표본평균의 표준편차를 구해야한다 이값은 특별히 ㅇㅇㅇ라고 부른다
평균의 표준편차
12
ㅇㅇㅇ를 이용하면 모집단의 분포를 모르더라도 x̌표본분포의 모양을 근사해 볼 수 있다
중심극한정리
13
표본평균x̌는 임의 포본인 x1.2.3.으로 부터 계산하며 이는 모평균 ų에 대한 ㅇㅇㅇ가 된다
점 추정치
14
X̌의 포본분포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ų에 대한 ㅇㅇㅇ 을 할ㅈ수있다
구간추정
15
미지의 모평균ų에 대한 ㅇㅇㅇ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표본평균 x̌로 부터 ㅇㅇㅇ를 가감하는 방식을 써보자 이러한 구간 설정을 위한 ㅇㅇㅇ은 보통 %로 표시하는데 90,95,99%등을 많이 사용핫다
신뢰구간 , 오차한계 , 신뢰수준
16
표본정규분포를 이용해ㅇㅇㅇ를 구할 수 있다
오차한계
17
모집단이 정규분포이지만 표준편차를 모른다면 정규분포대신 ㅇㅇㅇ를 사용한다
스튜던트 t분포
18
표본크기를 알고 있다면 ㅇㅇㅇ라고 불리는 모수를 계산할 수 있다
자유도
19
수학적 의미에서 n이 커지면 표본비율의 범위는 점차 좁아진다 그 이유는 ㅇㅇㅇ 공식에서 n이 분모에 있기때문이다
비율의 표준오차
20
ㅇㅇㅇ을 이용하면 오차한계도 줄일 수 있고 더 정확한 신뢰구간도 추정할 수 있다
유한모집단 수정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