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회귀선 (북위 □□° , 남위 □□°) 사이 이를 [ ] 또는 [ ] 이라고도 합니다.
남북위 25도, 커피벨트, 커피 존
2
연간 평균기온이 [ ] 정도가 적합하며 [ ] 지역이 좋습니다.
15~ 24도 서리가 없고, 일교차은 크고, 우기와 건기의 구분이 뚜렷한
3
아라비카와 로부스타의 연간 강수량은?
아라비카 1,500~2,000mm 로부스타 2,000~3,000mm
4
커피재배에 적합한 토양은?
화산재가 덮여있고 배수가 잘되는 고지대로 "화산성 토양의 충적토"가 좋습니다.
5
파종은 [ ] 상태로 모판에 심고 발아하면 용기에 옮겨 심고 커피를 심어 [ ]을 키우는곳을 [ ] 이라고 합니다.
파치먼트, 묘목, 묘목장
6
이식은 언제 하는게 좋은가?
우기가 시작될 때 하는것이 좋다.
7
커피 재배지약을 발전시키고 재배농가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수질과 토양,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으로 커피를 생산하는 시스템은?
서스테이너블 커피
8
화학물질의 사용을 금지하고 자연 생태 체계를 유지시켜 주는 경직 방법을 통해 생산된 커피 입니다.
유기농 커피 (Organic coffee)
9
다른 나무를 커피 재배지에 함께 심어 커피나무네 그늘을 만들어주는 방식입니다.
셰이딩 커피
10
커피 재배 농민들의 생활 여건을 개선시켜 주기 위해 일정 가격 이상으로 구입해 주는 커피 입니다.
공정무역 커피
11
품질 높은 커피를 생산하는 나라들은 제대로 된 보상을 받고 소비자는 질 좋은 커피를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1999년 브라질에서 처음 시작 되었습니다.
Cup of Excellence, COE
12
잘 익은 체리만을 하나하나 손으로 수확하고 수확기의 끝에는 모든 체리를 수확하는 방법 입니다.
핸드 픽킹
13
체리가 어느 정도 익었을 때 나무 아래에 천을 깔고 커피나무 줄을 따라 손으로훑어 한 번에 모든 체리를 수확하는 방법입니다.
스티리핑 (Stripping)
14
기계로 한번에 수확하는 방식으로 노동력이 대폭 절감되며 일시에 대량의 체리를 수확할 수 있습니다.
기계수확
15
과육을 제거하는 과정을 [ ]이라고 하며 □□□, ○○○,☆☆☆가 있습니다.
펄핑 디스크, 스크린, 드럼 펄퍼
16
1. 물이 부족하고 햇볕이 좋은 지역에서 주로 이용함 2. 체리를 수확한후 펄프(과육)를 제거하지 않고 체리를 그대로 건조하는 방법이다.
건식법
17
건식법보다 균일한 품질과 양호한 상태의 생두를 얻을 수 있습니다.
습식법
18
건식법과 습식법의 중간 형태를 취한것이며, 펄핑을 한 후에 파치먼트에 달라붙은 점액질을 제거하지 않고...그상태로 건조하는 방식이다.
펄프드 내츄럴
19
펄프드 내추럴과 유사하며 파치먼트에 남겨진 점액질의 비율에 따라 블랙, 레드, 옐로우, 화이트 허니로 나눕니다.
허니 프로세스
20
파치먼트와 열매의 건조는 수분 함유율을 11~12%대로 낮추는 것입니다. 그래야 미생물이 증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은 ○○건조와 □□건조가 있습니다.
천연건조, 기계건조
21
건조를 마친 커피는 드라이 밀로 보내집니다. 파치먼트 제거하는것을 [ ] 말린 열매의 껍질을 제거하는것을 [ ] 실버스킨을 제거하는 것을 [ ]
헐링, 허스킹, 폴리싱
22
국가별로 정해진 기준에 따라 ○○○, □□□□, ◇◇의 세 가지로 분류합니다.
결점두, 생산고도, 크기(스크린 사이즈)
23
결점두란?
벌레먹은 콩, 곰팡이 핀 콩, 발효된 콩, 조각난 콩, 성숙하지 못한 콩, 구멍난 콩등 온전하지 못한 생두를 말합니다.
24
고도가 높은 곳은 일교차가 커서 □□□□□가 높습니다.
생두의 밀도
25
생두의 크기는 □□□ □□□로 분류 되며, 1 ○○○ ○○○는 ◇◇◇입니다.
스크린 사이즈, 1/64인치
26
SCA분류
분류
27
□□□□□□- 아프리카 최대의 커피 생산국, ○○○과 ◇◇◇을 함께 사용 합니다.
에티오피아, 건식법, 습식법
28
□□□□□- 네덜란드에 의해 자바섬에서 시작되었으머 대부분 로부스타를 재배합니다. 수마트라의 □□□이 유명하며 □□□□, ○○, ◇◇에서 생산됨
인도네시아, 만델링, 술라웨시, 자바, 발리
29
전부 외우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