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한자성어 (2)
  • 담이

  • 問題数 62 • 4/20/2024

    記憶度

    完璧

    9

    覚えた

    23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먼저 생각함

    견리사의

  • 2

    임금이나 나라에 바치는 충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 개나 말의 정성이라는 뜻으로, 자신의 정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견마지성

  • 3

    견문발검

    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크게 성내어 덤빔을 이르는 말

  • 4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견물생심

  • 5

    견원지간

    개와 원숭이의 사이라는 뜻으로, 사이가 매우 나쁜 두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6

    나라가 위태로울 때 자기의 몸을 나라에 바침

    견위치명

  • 7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진나라의 위과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서모를 개가시켜 순사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

    결초보은

  • 8

    겸손한 태도로 남에게 양보학나 사양하는 말

    겸양지사

  • 9

    시기에 늦어 기회를 놓쳤음을 안타까워하는 탄식

    만시지탄

  • 10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

    망년지교

  • 11

    멍하니 정신을 잃음

    망연자실

  • 12

    고국의 멸망을 한탄함을 이르는 말, 기자가 은나라가 망한 뒤에도 보리만은 잘 자라는 것을 보고 한탄하였다는 데서 유래

    맥수지탄

  • 13

    맹인이 정문을 바로 찾아 들어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맹자정문

  • 14

    면종복배

    곁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내심으로는 배반함

  • 15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

    명경지수

  • 16

    명론탁설

    훌륭하고 이름난 이론이나 학설

  • 17

    이름과 실상이 서로 꼭 맞음

    명실상부

  • 18

    불을 보듯 분명하고 뻔함

    명약관화

  • 19

    자기가 자기를 추천함. 중국 천추 전국 시대에 조나라 평원군이 초나라에 구원을 청하기 위하여 사신을 물색할 때에 모수가 스스로를 추천하였다는 데서 유래

    모수자천

  • 20

    아주 간단 글자인 ‘정’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목불식정

  • 21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없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을 이르는 말

    동병상련

  • 22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동분서주

  • 23

    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동상이몽

  • 24

    동심협력

    마음을 같이하여 서로 도움

  • 25

    동쪽을 정복하고 서쪽을 친다는 뜻으로, 이리저리로 여러 나라를 정벌함을 이르는 말

    동정서벌

  • 26

    언 발에 오줌누기라는 뜻으로, 잠시 동안만 효력이 있을 뿐 효력이 바로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족방뇨

  • 27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 기쁜 표정이 얼굴에 가득함

    득의만면

  • 28

    등하불명

    등잔 밑이 어둡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는 물건이나 사람을 잘 찾지 못함을 이르는 말

  • 29

    등불을 가까이할 만하다는 뜻으로, 서늘함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음을 이르는 말

    등화가친

  • 30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마부위침

  • 31

    막무가내

    달리 어찌할 수 없음

  • 32

    달리 어찌할 수 없음

    막무가내

  • 33

    막상막하

    더 낫고 더 못함의 차이가 거의 없음

  • 34

    혼자서 칼 한 자루를 들고 적진으로 곧장 쳐들어 간다는 뜻으로, 여러 말을 늘어놓지 않고 바로 요점이나 본문제를 중심적으로 말함을 이르는 말

    단도직입

  • 35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단사표음

  • 36

    단순호치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 37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단표누항

  • 38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 장공이 사냥을 나가는데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를 멈추려 했다는 데서 유래

    당랑거철

  • 39

    대기만성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 40

    큰 차이 없이 거의 같음

    대동소이

  • 41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한다는 뜻으로, 길거리에 퍼져 돌아다니는 뜬소문을 이르는 말

    도청도설

  • 42

    돈오점수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

  • 43

    괴로움도 즐거움도 함께함

    동고동락

  • 44

    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동문서답

  • 45

    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구름의 아름다운 모양을 이르는 말

    금지옥엽

  • 46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호지세

  • 47

    누구를 형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난형난제

  • 48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남부여대

  • 49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에게 알려짐을 이르는 말

    낭중지추

  • 50

    내우외환

    나라 안팎의 여러 가지 어려움

  • 51

    노기등천

    성이 하늘을 찌를 듯이 머리끝까지 치받쳐 있음

  • 52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

    노심초사

  • 53

    연두저고리와 다홍치마/ 곱게 차려입은 젊은 여자의 옷차림을 이르는 말

    녹의홍상

  • 54

    공적의 크고 작음 따위를 논의하여 그에 알맞은 상을 줌

    논공행상

  • 55

    농와지경

    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

  • 56

    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

    농장지경

  • 57

    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태로운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누란지세

  • 58

    모든 일에 두루 능함

    능소능대

  • 59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 중국 한나라의 장수 한신이 고조와 장수의 역량에 대하여 얘기할 때, 고조는 10만 정도의 병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그릇이지만, 자시는 병사의 수가 많을수록 잘 지휘할 수 있다고 한 말에서 유래

    다다익선

  • 60

    쇠라도 자를 만큼 강한 교분이라는 뜻으로, 매우 두터운 우정을 이르는 말, 예전에 중국의 백아가 자기의 거문고 소리를 듣고 그 음을 이해한 종자기를 유일한 친구로 삼았는데, 종자기가 죽자 거문고의 줄을 끊어 평생 손을 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

    단금지교

  • 61

    붕우유신

    오륜의 하나.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름

  • 62

    완전히 잠이 들지도 잠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

    비몽사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