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고도가 동일한 지점들을 연결한 가상선이다
등고선
2
지구의 자전축 위쪽 방향 또는 북극성 방향이다
진북
3
나침반의 자침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항상 자북 방향을 가리킨다
야광화살표
4
지도의 상단 난외주기 중 하나로 지도관리에 편리하도록 지도마다 부여한 고유 참조 번호
도엽번호
5
지도의 상하단에 표시된 지도사용 설명서로 축척 범례 편각도표 등을 의미 한다
난외주기
6
방향 측정을 위해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며 종류로는 자북 도북 진북이 있다
기본방향
7
능선에서 측면으로 뻗어 나온 산줄기 선이다
지맥
8
수직기준면으로부터 어떤 지점까지의 위 또는 아래로의 수직거리를 말하며 측정 단위는 미터법을 적용한다
고도
9
횡축메르카토르
UTM좌표체계
10
전투원이 이동하고자 하는 지점의 정확한 방향과 위치를 찾는 것이다
방향탐지
11
알고있는 2개 이상의 지점을 이용하여 알고자 하는 자신의 위치나 목표의 위치를 지도 상에서 알아내는 방법이다
위치결정법
12
지도의 하단 난외주기중 하나로 지도에 표시된 기호를 설명한더
범례
13
전투원이 이동하고자하는 지점을 찾아서 이동하는 것이다
방향유지
14
말의 안장과 같이 2개 봉우리 사이의 낮은 듬성이
안부
15
군사좌표중 52s CF 8350 7355와 같이 영문자와 숫자를 조합하여 특정 위치를 표현하는 좌표체계이다
군사좌표 참조체계
16
등고선의 종류 중 가는 갈색 실선으로 표시되며, 1:25,000 지도에서 10m 간격이다
주곡선
17
지상 수평거리에 대한 도상 수평거리의 축소 비율이다
축척
18
도북방위각과 진북방위각 간의 차이각이다
도편각
19
도북방위각과 자북방위각 간의 차이각이다
도자각
20
통상 지도의 횡좌표선을 기준으로 각도기를 이용해 측정한 방위각을 의미한다
도북방위각
21
통상 나침반을 기준으로 측정한 방위각을 의미한다
자북방위각
22
지도의 하단 난외주기중 하나로 자북 도북 진북 방향의 관곙하 세 방향의 차이각인 편차각을 표시해주는 도표이며 나침반을 이용하여 지도정치의 편의를 도모한다
편각도표
23
2개 이상의 산 사이에서 물이 흐르는 골짜기로 능선과 능선 지맥과 지맥 사이에 형성된 골짜기이다
계곡
24
지도의 상단 난외주기중 하나로 통상적으로 국가명칭을 부여하며 우리나라는 국호인 korea를 사용한다
계열명
25
주간에 나침반으로 방위각을 측정할때의 기준선을 말한다
검정지표선
26
자북방위각과 진북방위각 간의 차이각이다
자편각
27
고도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고개 산의 정상등 높고 뚜렷한 지형에 대한 정확한 위치와 고도를 나타낸다
표고점
28
사방으로 경사진 주변보다 높은 지형이다
고지
29
자신의 위치을 아는 상태에서 다른 임의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지도상에서 확인하는 방법이다
목표위치 결정법
30
군 작전에 필요한 지형 자료를 산출할 수 있도록 제작 된 지도이다
군사지도
31
지도상의 남과북 방향을 실제 지형의 남과북 방향으로 일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지도정치
32
등고선의 종류중 굵은 갈색 실선우로 표시되며 1:25,000 지도에서 50m 간격이다
계곡선
33
관측자가 바라본 방위각의 180도 반대되는 방위각이다
후퇴방위각
34
지리좌표를 군사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안된 좌표체계로 군용좌표 또는 격자좌표라고도 한다.
군사좌표
35
지도상의 북쪽으로 지도 횡좌표선과 수평인 방향이다
도북
36
나침반 자침이 N극을 가리키는 북쪽 방향이다
자북
37
자신의 위치를 알고자 할 때 실제 지형에서 2개 이상의 식별 가능한 지점을 지도상에서 찾을 수 있을 경우에 사용한다
자기위치 결정법
38
지형의 모양 고도 지표면의 특징을 표시한 것이다
기복
39
산줄기를 따라 계속 이어진 봉우리 선이다
능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