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 중 이어짓기의 해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생력재배
2
식물의 주요 화기구조를 4부분으로 나눌 때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꽃자루
3
일반적인 자연 환경에서 수박의 인공교배에 가장 적당한 시간은?
오전 8시
4
다음 중 우량종자의 구비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우수한 변이를 가지고 있다.
5
다음 보기의 ( ) 안에 적합한 용어들은? 피자식물에서 보통 1개의 꽃가루(화분)에는 ( ㄱ )개 의 정핵과 ( ㄴ )개의 영양핵을 가지고 있다.
ㄱ : 2개 ㄴ : 1개
6
작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인간이 개량한 작물은 불량환경에 더 강하다.
7
배의 미숙 때문에 발아가 늦어지는 경우, 이 종자는 모식물에서 떨어진 후 어떤 과정을 거쳐야 발아하게 되는가?
후 숙
8
재래종을 수집하여 육종을 하려고 할 때 제일 먼저 실시해야 할 것은?
선발을 실시한다.
9
다음 중 양적 형질과 관련 없는 것은?
불연속변이
10
각과류에 속하는 과수로만 나열한 것은?
밤, 호두
11
종자의 퇴화 원인이 아닌 것은?
유해물질의 방출
12
다음 중 명아주과에 속하는 작물은?
근 대
13
종자를 형성하려면 우선 꽃눈분화를 유도하여 개화를 시켜야 하는데, 저온에 의해서 꽃눈분화를 유도시키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춘화처리
14
종자전염병 방제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이병성 품종 선택
15
발아를 가장 촉진시키는 광 파장은?
660~700nm
16
작물의 채종체계 중 마지막 채종단계는?
보급종
17
벼 등숙 시 쌀알이 여무는 발달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
길이 → 너비 → 두께
18
종자가 수분을 흡수하는 과정 중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저장양분인 전분⋅지방⋅단백질 등은 형태의 변화 없이 조직 내에서 이용된다.
19
종자발아시 지질대사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는?
Lipase
20
염색체 교차로 염색분체들이 꼬여있는 모양을 나타낸 것은 무엇인가?
키아즈마
21
다음 중 종자용 벼의 수확방법으로 틀린 것은?
콤바인의 회전속도를 500rpm 이상 고속으로 탈곡한다.
22
돌연변이 육종에서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
가시광선
23
4~6km/h 이하의 바람이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풍매화의 가루받이와 결실작용을 좋게 한다.
24
중복수정에서 웅핵과 극핵이 결합하여 배유핵을 합성할 때의 핵형은?
3n
25
일반적인 육종과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육종목표 설정 → 변이작성 → 우량계통 육성 → 지역적응성 검정 → 신품종 등록
26
다음 중 감자의 인공종자의 생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열매가 생기지 않는 품종은 종자를 만들 수 없다.
27
다음 중 종자의 퇴화증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종자침출물 감소
28
일반적으로 벼 수확은 어느 때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출수 후 40~50일경
29
다음 중 양적 형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환경의 변화에도 표현 정도가 일정하다.
30
채소를 이용부위에 따라 분류할 때 열매 채소가 아닌 것은?
동 부
31
씨감자를 고랭지에서 재배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진딧물의 발생이 적기 때문에
32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벼의 병명은? <보기> · 전 생육기간에 걸쳐 모든 부위에 발생함 · 질소의 과다 및 일조가 적고 저온일 때 주로 발생함 · 고동색이나 검푸른색의 작은 반점이 점차 커짐
도열병
33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1개 대립유전자의 유전자 돌연변이의 빈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0 -6 ~10 -5
34
종자의 수명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광 선
35
벼 수확 시 벼 베기와 탈곡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기계는?
콤바인
36
다음 중 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대잡종은 품종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37
토양이 너무 산성화되면 이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양분은?
인 산
38
벼의 특성 중 특히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은?
이삭의 길이
39
육종에서 이용될 수 없는 변이는?
환경변이
40
일반 메벼 무망종 품종을 염수선으로 씨가림하고자 할 때 가장 알맞은 비중액의 비중은?
1.13
41
멀칭재료를 용도에 맞게 가장 잘 선택한 것은?
여름철 지온상승의 억제 - 볏짚
42
산간지역의 벼 재배에 알맞은 품종은?
기본 영양생장성이 짧고 감광성이 낮은 것
43
다음 중 비료의 3요소가 아닌 것은?
칼 슘
44
다음 중 1대잡종(F 1) 채종시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무, 배추
45
일반적으로 볍씨는 종자 무게의 몇 %의 수분을 흡수하면 발아를 시작하는가?
25~30%
46
CA저장의 원리로 옳은 것은?
O 2의 농도를 줄이고, CO 2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47
장미과에 속하는 것은?
딸 기
48
일반 채소종자의 보관 조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온도 : 0~10℃, 종자수분 : 5~10%
49
사과에 발생하는 생리장해로 망간(Mn)의 과다와 밀접하게 관련 있는 것은?
적진병
50
토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경작지의 토성은 대체로 모래흙과 질흙이 적당하다.
51
개화기가 서로 다른 콩 품종을 상호 인공교배하고자 할 때 시도할 수 있는 인위적인 일장처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
개화기가 늦은 품종에 단일처리를 한다.
52
복교잡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A × B) × (C × D)
53
밤과 낮의 일교차가 심할 때 및 질소와 붕소 성분이 부족할 때 나타나는 카네이션의 생리장해는?
언청이
54
다음 중 작물의 씨뿌림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종자 색깔
55
다음 중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한 질소 공급으로 별도의 질소질 비료를 적게 주어도 되는 작물은?
콩
56
파종 후 복토를 해야 발아가 잘되는 종자는?
파
57
무씨 200립으로 발아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정상묘는 150개였다. 이때의 발아율은?
75%
58
다음 중 Mendel의 유전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유전자는 계속해서 변화하며 또한 다른 유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59
작물의 수량을 결정하는 3요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자 본
60
다음 중 생력화 재배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농약 사용 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