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항공기등을 제작하려는 자가 그 항공기의 설계에 관하여 국토교통부에게 받아야하는 것은?
형식증명
2
항공기등을 제작하려는 자가 그 항공기의 설계에 관하여 국토교통부에게 해야하는 신청은?
형식증명신청
3
형식증명신청은 누구에게 받아야하는가?
국토교통부장관
4
항공기가 비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 물적 준비를 갖추어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비행성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감항성
5
다음은 “감항성”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항공기가 ( )하기 위해 필요한 ( ), ( ) 준비를 갖추어 ( )하게 ( )할 수 있는 ( )이(가) 있다는 것을 말함”
비행, 인적, 물적, 안전, 비행, 비행성능
6
항공기에 대한 감항 증명의 유효기간은?
1년
7
다음은 항공기가 ”소음 기준 적합 증명“ 신청을 해야하는 경우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 받은 ( ) 장착한 항공기“
감항증명, 터빈발동기
8
다음은 항공기가 ”소음 기준 적합 증명“ 신청을 해야하는 경우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 받은 ( ) 운항 항공기“
감항증명, 국제선
9
다음은 항공기가 ”소음 기준 적합 증명“ 신청을 해야하는 경우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 ( ) 등으로 항공기 ( )이(가) 변동된 경우“
수리, 개조, 소음치
10
소음 기준 적합 증명은 누구에게 받아야 하는가?
국토교통부장관
11
다음의 경우를 가진 항공기가 해야하는 것은? 1. 감항증명을 받은 터빈발동기 장착한 항공기 2. 감항증명을 받은 국제선 운항 항공기 3. 수리, 개조 등으로 항공기 소음치가 변동된 경우
소음기준적합증명 신청
12
항공종사자는 누구로부터 항공종사자 자격증을 받는가?
국토교통부장관
13
항공종사자가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받는 것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14
다음은 <자격 증명 제한>의 내용이다. 시험 응시 ”제한“ 나이는? “자가용 조종사 자격”
17세 미만
15
다음은 <자격 증명 제한>의 내용이다. 시험 응시 ”제한“ 나이는? “조종사 자격증명을 활공기에 한정하는 경우”
16세 미만
16
다음은 <자격 증명 제한>의 내용이다. 시험 응시 ”제한“ 나이는? “사업용 조종사, 부조종사, 항공사, 항공기관사, 항공교통관제사 및 항공정비사”
18세 미만
17
다음은 <자격 증명 제한>의 내용이다. 시험 응시 ”제한“ 나이는? “운송용 조종사 및 운항관리사”
21세 미만
18
다음은 <자격 증명 제한>의 내용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항공종사자 자격 증명 취소 처분 받은 날로부터 ( ) 사람인 경우 제한”
2년 안지난
19
다음은 <자격 증명 제한>의 내용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 취소 처분 받은 날로부터 2년 안지난 사람인 경우 제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20
항공기에 탑승하여 그 위치 및 항로의 측정과 항공상의 자료를 결정하는 행위 업무는 누가 하는가?
항공사
21
항공기에 탑승하여 발동기 및 기체를 취급하는 행위(조종장치 조작 제외) 업무를 하는 것은 누구인가?
항공기관사
22
항공기관사의 업무 중 제외되는 업무는?
조종장치 조작 제외
23
항공교통의 안전, 신속 및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항공기 운항을 관제하는 업무는 누가 하는가?
항공교통관제사
24
정비 등을 한 항공기등, 장비품 또는 부품에 대하여 감항성을 확인하는 행위, 정비를 한 경량항공기 또는 그 장비품, 부품에 대하여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업무를 하는 것은 누구인가?
항공정비사
25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 또는 국외운항항공기의 운항에 필요한 비행 계획의 작성 및 변경, 항공기 연료 소비량의 산출, 항공기 운항의 통제 및 감시를 하는 업무를 하는 것은 누구인가!
운항관리사
26
다음은 ”운항관리사“의 업무 중 하나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의 작성 및 변경”
비행 계획
27
다음은 ”운항관리사“의 업무 중 하나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비행계획의 ( ) 및 ( )”
작성, 변경
28
다음은 ”운항관리사“의 업무 중 하나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의 산출”
항공기 연료 소비량
29
다음은 ”운항관리사“의 업무 중 하나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항공이 연료 소비량의 ( )”
산출
30
다음은 ”운항관리사“의 업무 중 하나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의 통제 및 감시”
항공기 운항
31
다음은 ”운항관리사“의 업무 중 하나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항공기 운항의 ( ) 및 ( )”
통제, 감시
32
항공교통관제사 시험 과목은? (5과목)
항공법규, 항행안전시설, 항공기상, 항공교통 통신 정보 업무, 관제일반
33
자격 증명 시험 과목 합격 유효 기간은?
시험결과 통보가 있는 날부터 2년 이내
34
항공신체검사 대상자는?
운항승무원, 항공교통관제사
35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자격증명 또는 항공신체검사증명 받은 경우 받는 처분?
항공종사자 자격증명등 취소
36
다음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등을 취소해야하는 경우”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 ) 또는 ( ) 받은 경우”
자격증명, 항공신체검사증명
37
다음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등을 취소해야하는 경우”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자격증명 또는 항공신체검사증명의 ( )을(를) 위반하여 ( ) 기간에 항공업무에 종사한 경우”
정지 명령, 정지
38
다음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등을 취소해야하는 경우”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 또는 ( )의 정지 명령을 위반하여 정지 기간에 항공업무에 종사한 경우”
자격증명, 항공신체검사증명
39
항공신체검사증명 위반 행위의 정도 또는 위반 사유에 따라 얼마의 기간을 정하여 효력정지를 명할 수 있는가?
1년 이내
40
다음의 경우에 받는 처분은? 1.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자격증명 또는 항공신체검사증명을 받은 경우 2. 자격증명 또는 항공신체검사증명의 정지 명령을 위반하여 정지 기간에 항공업무에 종사한 경우
항공종사자 자격증명등 취소
41
다음의 경우에 받게 되는 처분은? 1. “주류” 등의 영향으로 항공 업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상태에서 항공업무에 종사한 경우 2. 자격증명의 종류별 “항공신체검사증명”의 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되어 항공업무수행이 부적합 하다 인정되는 경우(종전 항공신체검사 유효기간 남은 경우 포함) 3. 항공신체검사 명령에 따르지 않은 경우, 항공 신체 검사 증명서 소지 없이 항공 업무에 종사한 경우
항공신체검사증명 효력정지
42
시험이나 심사 또는 검사에서 “부정한 행위 한 경우”에 얼마 동안 법에 따른 자격증명등의 시험에 응시하거나 심사 및 항공신체검사를 받을 수 없는가?
그 부정한 행위를 한 날부터 각각 2년간
43
항공기를 운항하려는 자, 소유자 등이 항공기에 설치, 운용해야 하는 무선설비는?
VHF, UHF, 계기착륙시설, 거리측정시설
44
“항공기 사고 예방 및 사고 조사”를 위해 탑재하거나 설치해야 할 장치에는 무엇이 있는가?
공중충돌경고 장치, 지상접근경고 장치, 비행기록 장치
45
공중충돌경고 장치의 약어와 원어는 무엇인가?
ACAS II,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46
지상접근경고 장치의 약어와 원어는 무엇인가?
GPWS,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47
다음의 경우에 해야하는 행동은? “야간에 공중, 지상 또는 수상을 항행하는 경우”
등불 켜기
48
다음의 경우에 해야하는 행동은? “야간에 사용되는 비행장에 정류 또는 정박시키는 경우”
등불 켜기
49
비행장에 항공기를 조명하는 시설 있는 경우에는 등불을 안켜도 되는가?
O (안켜도 됨)
50
다음은 항공기에 등불을 켜야 하는 경우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에 ( ), ( ) 또는 ( )을(를) 항행하는 경우”
야간, 공중, 지상, 수상
51
다음은 비행장에 등불을 켜야 하는 경우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에 사용되는 비행장에 ( ) 또는 ( )시키는 경우“
야간, 정류, 정박
52
다음은 비행장에 등불을 켜지 않아도 되는 경우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비행장에 ( )을(를) ( )하는 시설이 있는 경우“
항공기, 조명
53
국토교통부장관이 공역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구분하는 비행정보구역에는 무엇이 있는가?
관제공역, 비관제공역, 주의공역, 통제공역
54
하늘공간의 영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공역
55
비행정보구역의 구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관제공역, 비관제공역, 통제공역, 주의공역
56
항공교통업무를 제공을 할 수 있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항공교통업무증명 받은 자
57
다음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항공교통업무증명을 받은자가 제공하는 항공교통업무“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말은? “( )에서 항공기등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위해 ( ), ( ) 및 ( )의 운용 상태 등 항공기등의 운항과 관련된 조언 및 정보를 조종사 또는 관련 기관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비행정보구역, 비행장, 공항, 항행안전시설
58
다음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항공교통업무증명을 받은자가 제공하는 항공교통업무“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말은? “비행정보구역에서 항공기등의 ( )하고 ( )적인 ( )을 위해 비행장, 공항 및 항행안전시설의 ( ) 상태 등 항공기등의 운항과 관련된 ( ) 및 ( )를 조종사 또는 관련 기관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안전, 효율, 운항, 운용, 조언, 정보
59
다음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항공교통업무증명을 받은자가 제공하는 항공교통업무“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말은? “비행정보구역에서 항공기등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위해 비행장, 공항 및 힝행안전시설의 운용 상태 등 항공기등의 운항과 관련된 조언 및 정보를 ( ) 또는 ( )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조종사, 관련 기관
60
“비행정보구역에서 항공기등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위해 비행장, 공항 및 힝행안전시설의 운용 상태 등 항공기등의 운항과 관련된 조언 및 정보를 조종사 또는 관련 기관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업무를 할 수 있는 사람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항공교통업무증명을 받은 자
61
공항, 비행장 및 항행안전시설의 설치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발전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공항시설법
62
”공항, 비행장 및 항행안전시설의 설치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발전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한다“는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공항시설법
63
항공기, 경량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의 이륙 또는 이수와 착륙 또는 착수를 위해 사용되는 육지 또는 수면의 일정한 구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비행장
64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위해 공항 또는 비행장 주변에 장애물의 설치 등이 제한되는 표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장애물 제한표면
65
유선통신, 무선통신, 인공위성, 불빛, 색채 또는 전파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로써 항공등화, 항행안전무선시설, 항공정보통신시설 및 부대시설과 지원 시설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행안전시설
66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모든 시설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행안전시설
67
“불빛, 색채, 또는 형상”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항행안전시설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공등화
68
”전파“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항행안전시설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행안전무선시설
69
항행안전시설 중 “불빛, 색채 또는 형상“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는 시설은?
항공등화
70
항행안전시설 중 “전파“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는 시설은?
항행안전무선시설
71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부대시설과 지원시설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행안전시설
72
국토교통부장관, 사업시행자 등 또는 항행안전시성 설치자 등의 허가 없이 출입 불가능 한 곳은? (5가지)
착륙대, 유도로, 계류장, 격납고, 항행안전시설 설치된 지역
73
”‘항공사업’의 질서유지 및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향상시켜 국민 경제의 발전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 한다“는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항공사업법
74
항공운송사업 3가지는?
국내항공운송사업, 국제항공운송사업, 소형항공운송사업
75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에 대한 “급유”, 항공화물 또는 수하물의 “하역”과 그 밖의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상 조업”을 하는 사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공기 취급업
76
항공기취급업 3가지는?
항공기급유업, 항공기하역업, 지상조업사업
77
항공기급유업, 항공기하역업, 지상조업사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공기취급업
78
항공기에 연료 및 윤활유를 주유하는 사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공기급유업
79
화물이나 수하물을 항공기에 싣거나 항공기로부터 내려서 정리하는 사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공기하역업
80
항공기 입항, 출항에 필요한 유도, 항공기 탑재 관리 및 동력 지원, 항공기운항정보 지원, 승객 및 승무원의 탑슨 또는 출입국 관련 업무, 장비 대여, 항공기의 청소 등을 하는 사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지상조업사업
81
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 활공기, 경량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 등의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기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항공기
82
군용, 경찰용, 세관용 항공기는 어디에서 제외되는가?
국가기관등 항공기
83
운송용조종사, 사업용조종사, 자가용조종사, 부조종사, 항공사, 항공기관사를 통틀어 무엇이라고 하는가?
운항승무원
84
항공업무 중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이 필요 없는 것은?
무인항공기 운항
85
자격증명에서 17세 미만으로 나이 제한을 두는 자격증명은?
자가용조종사
86
자격증명에서 18세 미만으로 나이 제한을 두는 자격증명은?
사업용조종사, 부조종사, 항공사, 항공기관사, 항공교통관제사
87
자격증명에서 21세 미만으로 나이 제한을 두는 자격증명은?
운송용조종사, 운항관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