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컴퓨터가 데이터 통신을 할 때 통신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
포트 번호
2
포트 번호의 역할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구분하는 역할
3
포트 번호 범위
0~65535
4
'잘 알려진 포트'의 범위
0~1023
5
웹 서버나 메일 서버 등의 일반적인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포트 번호의 이름
잘 알려진 포트
6
포트 번호 1024~49151
Registered Port
7
포트 번호 49152~65535
동적 포트
8
Registered Port
1024~49151
9
동적 포트
49152~65535
10
FTP: 대량의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을 때
21
11
SSH: Secure Shell, 암호화된 원격 로그인
22
12
TELNET: 대화방식의 원격 명령 라인 세션
23
13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이메일 전송
25
14
DNS: Domain Name System,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
53
15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
80
16
POP3: 이메일 수신
110
17
IMAP4: 이메일 수신
143
18
HTTPS: Hyper Text Tranfer Protocol Secure Socket Layer,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
443
19
네트워크 분류 - OOO<OOO<OOO<OOO
PAN, LAN, MAN, WAN
20
PAN의 종류
Bluetooth, UWB, ZigBee
21
MAN이란?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22
Wan의 범위 1) OOO 네트워크를 벗어나 OOO간의 통신이 되면 모두 WAN의 영역으로 본다. 2) OOO은 OOO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이고, OOO은 OOO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이다.
근거리, 라우터, MAN, LAN, WAN, MAN
23
외부에 서버를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
DMZ
24
외부에 공개하는 서버 종류
웹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
25
회사의 서버는 OOOOO나 OOOO로 운영되고 있다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26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
온프레미스
27
대량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데이터 센터 서버나 네트워크 기기를 설치한 전용 시설
데이터 센터
28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수 있다.
클라우드
29
회사의 서버 운영 빙식 3가지 [1] OO에 OO 설치 [2] OOOOO에 두기 [3] OOOO에 두기
사내, 서버,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30
네트워크 구성 중에서 일반적으로 인터넷인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중간 지대(서브넷)을 말함. 네트워크의 보안 영역으로 외부 공격자가 네트워크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함.
DMZ
31
인터넷에 사용하는 회선 및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한 사설 네트워크
인트라넷
32
인트라넷은 OOOO이 걸려있는 인터넷
접속제한
33
기업에서 OOO, OOO을 따로 관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OOO이 바로 인트라넷임.
내부망, 외부망, 내부망
34
OSI 7계층 (7->1 순서)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
35
이메일&파일 전송, 웹 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제공하는 계층
응용 계층
36
문자 코드, 압축, 암호화 등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계층
표현 계층
37
세션 체결,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계층
세션 계층
38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구현하는 계층
전송 계층
39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를 결정하는 계층
네트워크 계층
40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를 결정하는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41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하는 계층
물리 계층
42
TCP/IP 모델의 다른 이름
인터넷 모델
43
TCP/IP 4계층 (4->1 순서)
응용 계층, 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접속 계층
44
TCP/IP 응용 계층에 해당하는 OSI 계층은?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
45
TCP/IP 전송 계층에 해당하는 OSI 계층은?
전송 계층
46
TCP/IP 인터넷 계층에 해당하는 OSI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
47
TCP/IP 네트워크 접속 계층에 해당하는 OSI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
48
일종의 메아리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클라이언트에서 호스트 쪽으로 일정한 패킷 데이터를 보내면 호스트는 응답 메시지를 보냄.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호스트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됨.
PING
49
접속하려는 호스트까지 경로를 추적. 목적지의 경로에 있는 라우터를 지날 때마다 특정 메시지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을 확인함으로써 라우터의 존재 및 지연시간을 검사함. 특정 사이트의 연락이 느리거나 어떤 구간에 문제가 있다고 의심되는 경우는 각각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음.
TRACERT
50
프로토콜 통계와 현재의 TCP/IP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나타내는 명령어
NETSTAT
51
콘솔상에서 실행되며 시스템의 IP 설정 정보를 확인하거나 재설정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
IPCONFIG
52
호스트 이름을 입력해서 IP 주소를 알아내거나, IP 주소를 사용해서 호스트 이름을 찾을 때 쓰는 명령어
NSLOOK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