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유효인산과 결합하여 식물에 대한 인산의 유효도를 떨어뜨리는 원소는?
Fe
2
농약을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용기색으로 농약의 종류를 구분한다. 농약 종류에 따른 지정색의 연결이 틀린 것은?
비선택성 제초제 – 노란색
3
다음 중 유기물의 탄소와 질소 함량을 비교해 볼 때 가장 빨리 분해가 될 수 있는 것은?
탄소 : 50.0%, 질소 : 5.00%
4
조경수목 유지관리 작업 계획 시 정기적인 작업으로 분류하기 가장 어려운 것은?
관 수
5
천공성 해충인 소나무좀의 월동 충태는?
성 충
6
생태연못의 유지관리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니터링은 최소 조성 10년 후부터 3개년 주기로 실시한다.
7
수목의 병해충 구제 방법이 아닌 것은?
식생적 방법
8
요소의 성질을 나타낸 설명이 옳은 것은?
타 질소질 비료에 비해 고온에서 흡습성이 높다.
9
수목병과 매개충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대추나무 빗자루병 – 담배장님노린재
10
식물관리비의 산정식으로 옳은 것은?
식물의 수량× 작업률× 작업횟수× 작업 단가
11
목재에 사용되는 방부제의 성능 기준의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휘산성
12
토양수를 흡습수, 모세관수, 중력수로 구분 하는 기준은?
토양입자와 수분의 장력
13
콘크리트 포장의 부분 보수를 위한 콘크리트 포설작업이 불가능한 기온은 몇 ℃ 이하 인가?(단, 감독자가 승인한 경우 이외에는 공사를 진행하여서는 안 된다)
4℃
14
다음 중 공원이용관리 시의 주민참가를 위한 조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행정당국의 지침에 수동적으로 참여할 것
15
조경관리계획 수립 시 작업별 1일당 소요인 원을 산출할 경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내용으로만 구성된 것은?
연간작업량, 단위작업률, 과거의 실적
16
녹지(綠地) 표면에 물이 고여 정체하고 있어 식물생육에 피해를 주고 있을 경우 대처 해야 할 관리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지하수위를 높여 준다.
17
수목 병의 주요한 표징 중 영양기관에 의한 것은?
균핵(菌核)
18
병원체의 월동방법 중 기주(寄主)의 체내에 잠재하여 월동하는 것은?
잣나무 털녹병균
19
다음 중 암발아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광대나물
20
교차보호(Cross Protection)란 무엇인가?
약독 계통의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강독 계통의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