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민영환 자결
1905
2
대성학교, 오산학교
오산학교 (1907) 대성학교 (1908) 창립자가 신민회이므로 (1907 ~ 1911)으로 시기 생각하기
3
을미사변 충신, 열사의 넋을 기리는 곳
장충단
4
척화주전론
1860 (이항로, 기정진)
5
국문연구소
1907
6
한성사범학교
2차 갑오
7
숭실학교
1897
8
?
1948.12
9
혜상공국 혁파
갑신정변
10
복벽주의
독립의군부 (1912)
11
물산장려운동
1920 (평양, 조만식)
12
조선민족혁명당
1938
13
이승만(주석), 여운형(부주석), 정부 수립을 선포
조선건국준비위원회(1945. 8. 15)
14
러시아와 비밀협약 체결 시도
갑신정변 이후 ’조선 정부‘(반청)
15
3정보를 상한으로 하여, 그 이상 지주가 소유한 농지는 국가가 유상 매입하고 지주에게 ’지가증권‘을 발급
농지개혁법 (1949.6)
16
묘청의 업적을 높이 평가
조선사연구초(신채호)
17
남조선 과도입법위원
1946.12
18
최초 근대식 공립 교육기관
육영공원 (1886)
19
5불가소 (최익현)
1876
20
조선인민당
1945 해방 직후
21
경신학교
1885
22
호포법 : 흥선대원군 호패법 : 태종
내가 이걸 헷갈리다니
23
한미원조협정
1948
24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
25
한청통상조약
1899
26
오산학교
1907
27
배재학당
1885
28
대한광복군 정부 ( ) 대한광복회 ( ) 인물 누군지도 말하기
1914 (이상설, 연해주 망명정부), 1915 (박상진, 대구 + 풍기)
29
입헌 군주제 주장, 의회 정치 추진 주장
독립협회
30
신돌석
을사의병
31
공화주의, 공화정체 국가 건설 (공화정 목표)
신민회 (1907) 대한광복회 (1915)
32
왜양일채론(개항불가론)
1876
33
조선의용대
1938
34
중립론 주장인물 (강대국들의 보장 아래 조선을 중립 지대화 하자)
유길준
35
?
급진개화파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홍영식, 서재필)
36
브나르도 운동
동아일보
37
동양척식주식회사, 식산은행 투탄
나석주
38
통감부 설치, 통감 정치
을사조약
39
유인석, 이소응
을미의병 (1895)
40
일본인들의 조선 공업화정책
1930~
41
교조신원운동
1892
42
헌병경찰
1910
43
대성학교
1908
44
루스벨트, 스탈린, 처칠
모스크바 회의 (1945.12)
45
“나라는 형 역사는 신”
박은식
46
운산 금광채굴권 획득한 국가
미국
47
여자 정신 근로령
1944
48
토지 평균 분작 주장
폐정개혁안
49
연통제, 교통국 발각 후 해제
1921
50
무관학교 설립
1898
51
고문정치
1차한일협약 (메가타 스티븐스)
52
지조법 개혁
갑신정변 (14개조 혁신정강)
53
카이로회담
1943
54
여권통문 (찬양회 조직, 순성여학교 설립)
1898
55
오산학교 (정주) 대성학교 (평양)
1907 1908
56
정신여학교
1887
57
무오(대한)독립선언서(1919) 발표단체
독립의군부 (1919) (1912 독립의군부와 다른데, 이름은 똑같음)
58
최초의 근대적 사립학교
원산학사 (1883)
59
일제의 식민사관에 입각하여 학술 연구를 했던 단체
청구학회
60
러시아가 압록강 유역의 삼림 채벌권 획득 (용암포 불법점령)
1903
61
재정 탁지아문 관할
2차 갑오
62
독립촉성중앙협의회 (200명의 정당 대표들이 모여 결성)
이승만 (1945.10)
63
한성조약 설명해봐
조선 - 일본 간의 계약 일본에 대한 피해보상이 주된 내용
64
민족주의 역사학 기반 확립
신채호
65
베베르 고무라 각서
1896 (청일전쟁 이후 일본과 러시아가 체결)
66
서전서숙
1906
67
독사신론 시기
1908
68
기기창
1883
69
조선어 연구회
1921
70
한성순보
1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