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교육행정
  • Dong-eun Lee

  • 問題数 83 • 11/7/2023

    記憶度

    完璧

    12

    覚えた

    31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초우량 지도성 개념, 특징, 신장방안

    만스, 심즈 -조직 구성원 각자가 스스로를 통제하고 자신의 삶의 진정한 주인이 되는 [자율적 지도성] 특징) -지도자의 독특한 특성보다 구성원 스스로 지도자로서 능력을 가지는것에 초점 -지도자는 지도자들의 지도자로서 모든 구성원을 지도자로 변혁시킴 신장방안) 자기주도적 학습, 학급 자치활동, 동아리 활동, 문제해결 및 프로젝트 학습(자율성에 주목)

  • 2

    초우량 지도성 신장방안(교사/학생)

    -구성원 자기주도적 통제, 내적동기 부여(자율적 지도성) -구성원 스스로 지도자로서 능력개발 할수 있도록(셀프리더) -셀프지도성 실천기회 제공 구체적 교사 -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생 - 시간관리법, 목표설정법

  • 3

    민츠버그의 학교조직의 전문적 특성

    -교사의 자유재량권 -교사로서 직무수행의 표준과 엄격한 감독 없음 -교사=전문가, 의사결정에 많은 참여

  • 4

    호이와 미스켈 일탈풍토에서 개방풍토 조성하는 구체적 방안

    일탈: 교장 개방, 교사 일탈 개방: 교장 개방, 교사 개방 교사 대토론회 참여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동료장학 토론이 있는 교직원 회의

  • 5

    호이와 미스켈 학교풍토 유형

    개방 몰입 일탈 폐쇄 교사: 단체적 친밀적 / 일탈적 교장: 지원적 / 지시적 제한적

  • 6

    목표관리기법MBO 개념, 장단점

    구성원이 목표설정에 참여하여 공동의 목표 수립하고 역할분담하여 성과에 대해 평가하고 보상하는 방식 ➡️ 참여를 통한 의사결정, 원활한 의사소통, 민주적 학교경영 / 목표를 명료화, 효율화 장) -구성원 참여의식 -목표실현을 위한 공동의 노력 -학교운영의 분권화, 참여(관료화 방지) -모든 활동을 교육목표에 집중 ➡️ 교육의 효율성 단) -계량적 목표설정 -구체적, 단기적 목표만 추구

  • 7

    허즈버그 동기-위생 근거, 교사 직무동기 유발 방안

    -행정업무 경감, 업무와 직접적 관련된 업무 시간 확보 -가르치는 일 자체를 통한 발전감, 책임감, 도전감 경험 -직무수행과정에 자율성, 책임감 부여 ex. 수석교사제, 학습연구년제, 자발적 교사 연수회, 전문적학습공동체

  • 8

    멘토링 장학 개념, 효과

    경험과 지식 있는 교사가 경험과 지식이 적은 교사를 도와줌 교수학습 개선, 전문성 신장, 학교 적응 도움

  • 9

    멘토링 장학 활성화 방안

    퇴임 교원 활용한 멘토 지원단 멘토 대상 정기 교육 멘토링 운영 매뉴얼 작성, 공유 멘토링 우수 사례집 발간

  • 10

    조직화된 무질서 개념, 특징, 의사결정 모형

    올슨, 코헨, 마치 조직화 되어 있으나 의도적으로 통제되지 않고 모두가 동의하는 목표나 기술이 있지 않고 유동적인 참여가 이루어짐 특징) -불분명한 목표: 목표는 수시로 변함, 대립적 목표, 구성원마다 다르게 규정 -불확실한 기술: 목표 도달에 필요한 기술이 합의되지 않음 -유동적 참여: 졸업, 전근 의사결정모형: 쓰레기통 모형(문제 해결책 선택기회 참여자➡️ 우연성, 좋은 의사결정=문제, 해결책 조화)

  • 11

    임상장학 개념, 특징

    코건 수업행위 직접 관찰, 교사-장학담당자 친밀한 관계, 협의회, 수업개선

  • 12

    마이크로티칭 개념, 장단점

    소규모 학생 대상, 5-15분 간 한두가지 내용 ➡️ 예비적, 압축적 모의수업 녹화 ➡️ 관찰, 분석 ➡️ 피드백 ➡️ 재수업 ➡️ 수업 전문성 향상 장점) -즉각적 피드백 -자신의 수업 객관적 관찰 -훈련시간 단축(교사의 심리적 부담 덞) -단기간에 효과적 교수법 향상 -우호적 환경 속에서 가치있는 경험 단점) -실제 교실로의 전이 어려움 -대규모 학생의 개인차 설명 어려움

  • 13

    의사결정 참여 필요성

    교육 주체의 만족과 사기 제고 조직의 저항 줄이고 순조로운 수행 유도 과업에 대한 사명감, 책임감 부여

  • 14

    브릿지스 참여적 의사결정 모형, 학생.학부모/교사/교육전문가 의사결정 참여방법

    학생.학부모: 적절성o,전문성x(수용영역 한계) ➡️ 민주적-중앙집권적 의사결정(가끔 제한적 참여, 최종 대안 선택) 교사: 적절성o, 전문성o(수용영역 외부) ➡️ 의회식, 다수결 의사결정(초기단계부터 자주 적극적 참여) 교육전문가: 적절성x, 전문성o(수용영역 한계) ➡️ 민주적-중앙집권적 의사결정(가끔 제한적 참여, 대안제시/결과 평가)

  • 15

    조하리의 창 개념

    자기공개(자기 스스로에 대해 알고 있음), 피드백(타인에게 알려짐) 개방적(민주형): 자기공개o, 피드백o 미지적(폐쇄형): 자기공개x, 피드백x 잠재적(과묵형): 자기공개o, 피드백x 맹목적(독단형): 자기공개x, 피드백o

  • 16

    의사결정 모형 중 합리모형 개념, 단점

    가능한 모든 대안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최선의 대안 선택 단: 비현실적

  • 17

    의사결정 모형 중 만족모형 개념, 단점

    사회심리적으로 만족할만한 대안 단: 만족=주관적

  • 18

    의사결정 모형 중 점증모형 개념, 단점

    이전보다 다소 향상된 대안 단: 보수적, 소극적

  • 19

    의사결정 모형 중 혼합모형 개념, 단점

    합리+점증 단: 점증과 비슷

  • 20

    의사결정 모형 중 최적모형 개념

    합리성+초합리성(창의,직관) 고려 ➡️ 최적치 추구 창의적 의사결정

  • 21

    피들러 상황적 지도성, 상황의 호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지도자 유형

    (상황의 호의성에 영향) 지도자-구성원 관계 과업구조 지도자의 지위권력 (지도자 유형) 과업지향형: 지도자 영향력이 극단적으로 크거나 작음 관계지향형: 지도자 영향력이 중간정도

  • 22

    커와 제르미어의 지도성 대용 상황이론 상황변인, 상황의 유형

    상황변인 @구과조 -구성원: 구성원 능력, 전문성/ 보상에 대한 무관심 -과업: 일상적 과업, 비구조화된 과업 -조직: 구성원 응집력 대용상황: 지도자 영향력 대신 or 감소(구성원의 높은 능력, 일상적 업무에는 지도자 영향력 감소) 억제상황: 지도자 영향력 무력화(구성원이 지도자가 제공하는 인센티브에 무관심)

  • 23

    조직 내 갈등의 순기능, 역기능

    [순기능] -조직의 생존과 성공에 필요한 쇄신의 원동력 -적정한 수준의 자극 제공 -조직의 자원배분 자율적 조정 -자기 반성의 기회 -능동적 행동, 성장 기회 [역기능] -조직의 와해 위험 -구성원 사기 저하 -협력적 태도 상실

  • 24

    토마스-제미슨 갈등관리 전략이론 고려요소, 전략/상황

    [고려요소] -협조성(타인 욕구 충족) -독단성(자신 욕구 충족) [전략] -협력: 타인욕구o, 자신욕구o ➡️ 목표=학습하는 것, 합의와 헌신이 중요할 때 -경쟁: 타인욕구x, 자신욕구o ➡️ 신속한 결정이 요구될 때, 조직의 성장에 중요한 문제, 인기 없는 조치, 타인을 부당하게 이용하는 사람에게 대항할 때 -회피: 타인욕구x, 자신욕구x ➡️ 다른 사람 관심 이해할 시간 없을때, 다른 문제가 해결되면 자연스레 해결될 때, 갈등 해소의 부작용 클 때 -수용: 타인욕구o, 자신욕구x ➡️ 자기가 잘못한 것을 알았을 때, 보다 중요한 문제 위해 좋은 관계 유지, 다른 사람에게 더 중요한 사항일때 -타협: 상호희생, 양쪽 다 손해, 앙금, 다른 갈등의 원인 ➡️ 복잡한 문제에 대한 일시적 해결책, 서로 주장이 대치, 시간부족으로 신속한 행동 필요

  • 25

    이완조직 개념, 특징, 장점

    와익, 서로 연결되어 있으나 독립성을 유지하며 느슨하게 결합 특징) -한부분의 성패가 다른 부분과 연결되지x -교사에 대한 감독과 평가가 제한적 -구성원의 자유재량권/자기결정권 부여 장점) -교사의 안정성, 자율성, 전문성 존중 -구성원 간 상호신뢰 -위험부담 축소

  • 26

    분산적 지도성 개념, 특징, 구성요소, 신장방안, 한계

    엘모어, 스필레인 리더십이 다수의 구성원 전부에게 분산 ➡️ 공동책임, 시너지 특징) -집단 지도성 -비위계적 네트워크 -네트워크를 통한 공동 실행 -조직 내 전문성 활용 구성요소) 지도자, 구성원, 상황 신장방안) 팀티칭, 프로젝트 학습, 전학공, 협동학습, 교과협의회, MBO, PERT 한계) 조직경영의 효과성 저해, 실질적 하향식 접근, 학교장의 법적 의무/책무성과 상충

  • 27

    할핀과 크로프트 학교풍토론

    개방적 풍토: 교사 사기 높고, 사회적 욕구 만족 자율적 풍토: 교사 사기 높고, 사회적 욕구는 스스로 모색하도록 통제적 풍토: 교사 사기 높고, 사회적 욕구 충족x 친교적 풍토: 사회적 욕구 만족, 사기 낮음 간섭적 풍토: 사회적 욕구 충족x, 사기 높음(성과 강조) 폐쇄적 풍토: 사회적 욕구 충족x, 사기 낮음

  • 28

    앨더퍼 ERG 이론과 구체적 지원방안

    생존: 보수, 복지 관계: 타인과의 인간관계 ➡️ 비공식 조직, 전학공, 구성원간 소통 기회 마련 성장: 발전, 성장, 잠재력 발휘, 자아실현 ➡️ 장학, 연수, 전학공, 직무풍요화

  • 29

    자율적 지도성 개념

    셀프리더십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고 자신의 삶에 진정한 주인이 되도록 하는 지도성 >초우량 지도성과 연결(지도자가 지도자들의 지도자)

  • 30

    칼슨 조직유형

    기준: 조직의 고객선택권, 고객의 참여결정권 야생조직 -조직의 고객선택권+, 고객의 참여결정권+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대학 -장) 교육의 질 높음, 다양한 학교교육 (신자유주의: 경쟁, 선택권, 자율성) -단) 경쟁심화, 입시위주 교육, 계층간 교육기회 불평등, 공교육비 부담 온상(사육조직) -조직의 고객선택권-, 고객의 참여결정권- -공립학교 -법적으로 존립을 보장받음

  • 31

    교육기획의 개념, 접근방법, 장단점

    미래의 교육활동에 대한 사전 준비 과정 접근방법) -사회수요: 인구, 가계소득, 미래 교육수요 예측 ➡️ 단기적 안정 but, 사회적 필요와 동떨어질 가능성, 재정적 제약 고려하지 않으면 교육의 질 저하 -인력수요: 경제성장을 뒷받침하는 인력 수요 예측 ➡️ 교육운영 효율성 but, 미래 변화 예측 어려움, 교육과 취업의 시차 장: 교육정책.교육행정 안정화, 재원의 합리적 배분 단: 미래 변화 예상 어려움, 한정적 재원

  • 32

    교육재정의 원리 중 학생 개인의 환경,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적 분배를 말하는 것은

    공정성의 원리 (교육사회 결과적 평등관)

  • 33

    교육재정의 원리 중 공정성의 원리란?

    학생 개인의 환경, 교육비 수준에 따라 차등 분배 하는 것(교육사회, 결과적 평등관)

  • 34

    동료장학 운영방안, 효과, 실시 시 유의사항

    동교과, 동학년, 관심분야 같은 교사 모여 수업연구, 수업공개, 스터디 그룹, 공동과제 추진(자율성, 협동성) ➡️ 전문성 개발, 교사간 관계 증진, 장학 거부감 해결 유의사항: 형식적 운영, 경력낮은 교사 중심 수업공개, 참여에 소극적, 정보 공유 노력 부족

  • 35

    세시아, 글리노우 문화유형론

    분류기준: 인간에 대한 관심, 성과에 대한 관심 조직문화 유형 -보호문화: 인간에 대한 관심o, 성과에 대한 관심x -냉담문화: 인간에 대한 관심x, 성과에 대한 관심x -실적문화: 인간에 대한 관심x, 성과에 대한 관심o -통합문화: 인간에 대한 관심o, 성과에 대한 관심o (주요가치: 자율, 협동, 창의, 자유, 모험, 인간의 존엄성)

  • 36

    TOUCH 연수단 활용방안

    시도별 터치 교사단을 연수강사로 활용, 전문 인력풀 단위학교 전학공 강사로 활동 멘토링 교육 연구회 조직

  • 37

    비공식 조직 개념, 순기능 역기능

    개념: 공식조직내 자연발생적, 내면적, 비가시적(지연, 학연, 취미, 이해관계..) 순기능: 자유로운 의사소통, 조직의 응집성, 자존감 역기능: 따돌림, 파벌, 공식조직 목표 달성 방해, 공식조직 의사소통 왜곡, 조직 혼란

  • 38

    허즈버그 동기-위생 이론 개념, 시사점, 증진방안

    동기: 만족요인, 직무 그자체(성취, 인정, 책임) 위생: 불만족요인, 상황적/외적(급여, 고용안정, 대인관계) 시사점: 교사의 동기요인 충족할수 있도록 노력, 가르치는 일 자체에 대한 동기부여(발전, 자유성, 성취감, 전문성, 책임감) ➡️ 직무재설계(수석교사제, 학습연구년제, 전학공)

  • 39

    허쉬 블랜차드 상황적 지도성

    상황=구성원의 성숙도 -직무성숙도(능력) -심리적 성숙도(동기) 지도자 행동유형 -과업중심 행동: 일방적 의사소통 -관계중심 행동: 쌍방 의사소통

  • 40

    센게, 학습조직 개념, 기본원리와 증진방안

    교사들이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적 학습활동을 전개하여 지속적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여 학교 환경에 적응해 나감 기본원리) -개인적 숙련 ➡️ 자기장학, 연수 참여 -정신모델: 주변 현상을 이해하는 인식체계 (성찰, 탐구) -팀학습 ➡️ 동료장학, 전학공 -시스템적 사고: 여러가지 사건들을 전체적으로 인지, 역동적 관계를 이해 -공유된 비전 ➡️ 목표관리기법, 과업평가검토기법 증진방안) 전학공

  • 41

    과업평가 검토기법 PERT 개념, 효과

    과업의 수행과정, 활동, 단계, 소요시간 도표화(플로우차트) -세부 활동의 순서 및 상호 관계 유기적 파악 가능 -신중하고 체계적인 계획 수립 -작업 과정 작성에 구성원 참여: 참여의식 증진

  • 42

    겟젤스와 구바 사회과정 모형

    사회체제 속에서 인간행동은 역할과 인성, 규범적 차원(역할기대), 개인적 차원(욕구성향) 상호작용 결과로 나타남

  • 43

    겟젤스와 텔렌 사회체제 모형, 사회적 행동의 조건

    규범적차원, 개인적 차원 + 인류학적 차원: 사회의식 조직풍토적 차원: 집단의식 생물학적 차원 개인의 행위가 사회적 행동으로 나타나기 위한 조건 -합리성: 역할기대가 논리적으로 부합(동의) -소속감: 공동체 의식 -일체감: 제도적 목표=자신의 욕구성향 일치

  • 44

    조직개발기법OD 개념, 적용방안

    조직의 목적=개인의 욕구 결부 ➡️ 집단적 상호작용 ➡️ 구성원의 태도, 가치, 신념, 구조 변화 ➡️ 조직 전체의 변화, 발전 적용방안: 감수성훈련(상호작용, 인간관계 개선), 팀빌딩(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문제해결 능력)

  • 45

    문화적 지도성 특징, 신장방안

    가치와 의미추구 욕구 만족, 독특한 학교문화, 공유된 가치 신념 의미체계 신장방안: 버티컬 슬라이스(조직 각 계층 대표자들이 직위에 관계없이 허심탄회하게 의사소통)

  • 46

    무엇이 중요하고 가치있는 지를 알려주는 지도성, 학교비전과 목표 제시 및 선별적 관심 강조

    상징적 지도성

  • 47

    계획, 조직, 조정, 시간관리를 강조하는 지도성

    기술적 지도성

  • 48

    민츠버그, 전문적 관료제 특징

    -기술의 표준화를 조정기제로 -현업핵심층의 기술과 지식에 의존 -전문가 스스로 통제하고 전문성 발휘하여 스스로 작업기준 개발 -분권화, 이원화

  • 49

    자기장학 실행방법

    ❗️자신의 수업녹화 후 분석 ❗️학생의 수업평가 분석 -대학원 진학 -수업관련 연수, 워크숍 참여 -전문가의 자문과 조언 -전학공 참여

  • 50

    아담스 공정성 이론 개념, 공정성 회복 위한 행동, 시사점, 한계

    자신의 성과/투입 비율을 타인의 비율과 비교 공정성 회복 위한 행동 -투입, 성과 변경 -투입, 성과에 대한 인지적 왜곡 -비교대상의 투입, 성과 변경 -비교대상의 변경 -조직 이탈 시사점 -구성원을 공정하게 대해야 함 -공정한 조직문화 풍토 한계 -공정성=주관적 -더 적게 받는 것에 민감

  • 51

    브룸의 기대이론 요소, 동기부여 방안

    유인가: 목표 매력성 보상기대 성과기대 @유보성 동기 부여 방안 -높은 유인가: 구성원이 원하는 것을 목표로 -높은 보상기대: 보상에 대해 구체적 설명 -높은 성과기대: 노력하면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믿음

  • 52

    아지리스 조직풍토 특징, 시사점, 증진방안

    미성숙 조직 성숙 조직: Y이론,긍정적, 성숙적, 협동, 신뢰 시사점 -개인의 성숙 ➡️ 조직의 성장 -조직 관리자는 구성원을 성숙한 인간으로 대하고 성숙한 조직 풍토 조성 증진방안: 자율성, 전문성, 자아실현 기회 제공

  • 53

    도덕적 지도성 개념, 지향하는 조직, 신장방안

    변혁적+초우량 지도자의 도덕적 품성과 능력으로 추종자의 존경, 신뢰 획득 ➡️ 추종자의 자율적 직무수행 자극하여 셀프리더가 되도록 ➡️ 지도자는 지도자들의 지도자가 되어 ➡️ 효과적이고 도덕적인 조직 지향 지향하는 조직: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학교(선의o, 성공o) 신장방안: 도덕적 지도자의 모습 모델링➡️학생 동기화➡️자율적 학습조장➡️셀프리더 되도록

  • 54

    이중조직 개념, 시사점

    오웬스, 이완+관료제 학교장-교사 관계, 수업 내 자율성 ➡️ 느슨한 결합(이완) 학교행정, 경영 ➡️ 관료적 시사점) -지나친 독립성 ➡️ 조직 생산성, 효율성 저해 -지나친 경직성 ➡️ 사기 저하

  • 55

    컨설팅 장학 특징

    교사 전문성 향상, 자발적 의뢰, 교육 다양한 영역 -독립성 -한시성 -학습성 -자발성 -자문성 -전문성

  • 56

    영기준 예산제도 특징, 장단점

    전년도 예산 구애받지 않고 새롭게 검토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자원 배분 장) -급변하는 경기변동에 신축적 대응 -재정의 경직성 극복 -전 교직원의 참여 단) -시간과 노력 부담 -불리한 것은 은폐하고 유리한 것만 제시 -시행착오

  • 57

    호이와 타터 참여적 의사결정 모형

    관련성, 전문성, 헌신 상황: 민주적, 갈등적, 이해관계자, 전문가, 비협력적 의사결정: 집단합의, 다수결, 집단자문, 집단자문, 개별자문, 일방적 교장의 역할: 통합자, 의회자, 교육자, 교육자, 간청자, 지시자 헌신적 교사: 항상 광범위 비헌신적 교사: 항상 그러나 제한적으로 이해관계자, 전문가: 가끔씩, 제한된 참여

  • 58

    리커트 관리체제 유형

    신뢰, 의사결정 이기적-권위주의적: 상호신뢰 없음, 하향적 의사결정 자선적-권위주의적: 조금 신뢰, 의사결정 참여x 협의적: 다소 신뢰, 의사결정 일부 위임 참여적: 완전히 신뢰, 의사결정 분담 @i’m 신뢰 i’m 리커트 이자협참

  • 59

    인간자원론적 장학, 인간관계론적 장학 개념

    인간자원론적 장학: 교사를 학교 의사결정에 참여 ➡️ 교사 직무만족 인간관계론적 장학: 교사를 학교 의사결정에 참여 ➡️ 학교교육 효과성 증대

  • 60

    교육재정 운영절차

    확보 -충족성: 필요한 재원을 충분히 확보 -안정성: 교육활동 일관성 유지위한 안정적 재원 확보 배분 -효율성: 최소 재정 투자 ➡️ 최대 교육성과 -공정성: 학생 개인차, 교육환경 차이 ➡️ 차등분배❗️ 지출 -투명성: 대중에게 공개, 개방 -자율성: 교육행정기관 스스로 통제 평가 -책무성: 지출에 대한 납득할만한 이유 제시, 책임 -효과성: 목표 도달여부 측정 가능

  • 61

    국가공권설(국가 통치설) 특징

    교육에 관한 행정 행정의 관료성, 획일성 교육행정의 특수성, 전문성 무시 중앙집권적, 권위주의적

  • 62

    조건정비설 특징

    교육을 위한 행정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인적, 물적 조건 정비 (수단적, 봉사적 활동) 교육의 특수성, 전문성 강조

  • 63

    협동행위론(행정행위론) 특징, 관련정책

    ‘의사결정 과정’에 초점, 합리성 추구, 집단적 행동행위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 64

    성장지원론 개념

    학습자의 교육적 성장 달성할 수 있도록 제반조건과 환경 정비

  • 65

    교육에 관한 행정, 행정의 관료성, 획일성/ 교육행정의 특수성, 전문성 무시하는 교육행정의 개념

    국가 공권설(국가 통치설)

  • 66

    교육을 위한 행정/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인적, 물적 조건 정비 (수단적, 봉사적 활동)/ 교육의 특수성, 전문성 강조하는 교육행정의 개념

    조건 정비설

  • 67

    ‘의사결정 과정’에 초점, 합리성 추구, 집단적 행동행위, 단위학교 경영제와 관련된 교육행정의 개념

    협동행위론(행정행위론)

  • 68

    학습자의 교육적 성장 달성할 수 있도록 제반조건과 환경 정비하는 교육행정의 개념

    성장지원론

  • 69

    홀의 관료적 조직구조 이론

    기준: 관료성, 전문성 정도 혼돈형: 관료성 ⬇️ 전문성 ⬇️(혼란, 갈등, 비효과성) 전문형: 관료성 ⬇️ 전문성 ⬆️(실질적 의사결정이 구성원에게 위임) 권위주의적: 관료성 ⬆️ 전문성 ⬇️(상급자 최종결정, 권력 집중) 베버형: 관료성 ⬆️ 전문성 ⬆️(가장 이상적)

  • 70

    스티어스, 좋은 과업목표의 특징

    구체성 곤란성 목표 설정에 구성원 참여 노력에 대한 피드백 목표 달성에 대한 동료들 간 경쟁 목표의 수용성

  • 71

    기획예산제도(PPBS) 개념, 장단점

    장기적 기획+단기적 예산편성 결합 장: 사업기획과 예산편성의 유기적 결합➡️ 한정된 재원 합리적 분배 단: 최고 의사결정자 정보 집중 ➡️ 중앙집권적 성향

  • 72

    지구별 장학 개념, 방안

    지구 내 인접한 학교나 교원간의 상호협력 통해 간사학교가 중심이 되어 지구 내 학교 간 협의를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자율적 장학 방안: 상호참관(공개보고회, 공개수업), 우수사례 발굴, 교육연구활동, 지구별 교육 현안과제 협의 조정

  • 73

    성과주의 예산제도(PBS) 개념, 장단점

    사업을 중심으로 예산을 편성하여 사업 또는 정책의 성과에 관심을 기울인 예산제도 장: 사업별 예산 편성 및 파악 용이 단: 예산 통제 어려움, 회계책임 소재 불분명, 업무측정단위, 단위원가 계량화 어려움

  • 74

    품목별 예산제도 개념, 장단점

    지출대상을 인건비, 시설비, 운영비 등 품목별로 세분화하여 지출대상과 한계를 명확히 규정, 예산 실행의 유용이나 부정방지하는 통제 지향 예산제도 장: 예산담당자 재량x, 예산 남용 방지 단: 사업 전체적 개요 파악 어려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의 신축적 대응 어려움

  • 75

    교육행정의 인간관계론적 접근

    학교행정의 민주화(민주적 지도성, 모든 사람들의 적극적인 참여) 교육행정에 인간관계의 중요성 강조 ‘비공식 조직’의 역할 강조

  • 76

    호이와 미스켈 학교체계 모형

    구조체제: 공식적, 관료적 기대 개방체제: 학교구성원의 인지적 이해 관점 문화체제: 교직원이 일에 대해 공유하고 있는 지향점 정치체제: 교장-교감-교사, 교사-교사 간 권력관계

  • 77

    정보관리 체제MIS 개념

    의사결정자가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

  • 78

    총체적 질관리 TQM 개념

    제품이나 서비스 품질뿐만 아니라 경영과 업무, 직장환경, 조직 구성원의 자질까지도 품질개념에 넣어 관리해야 함 고객지향적 서비스 품질 관리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와 관련됨: 구성원 자율성, 책무성 / 구성원의 헌신, 참여

  • 79

    교육 조직 관리기법 종류

    과업평가검토 기법 PERT 목표관리 기법 MBO 정보관리체제 기법 MIS 총체적 질관리 TQM 조직개발 기법 OD

  • 80

    거래적 지도성 개념

    구성원의 개인적 이익에 호소 지도자-구성원, 수행과 보상을 교환하는 상호 교환적 관계

  • 81

    변혁적 지도성 개념, 핵심요소

    구성원 도덕적 가치 호소 구성원 성장욕구 자극 ➡️ 동기화 ➡️ 태도, 신념 변화 ➡️ 헌신 ➡️ 기대이상의 성과 (@성동변헌) 핵심요소) -이상적이고 완전한 영향력 -감화(동기부여) -지적자극: 의문제기, 혁신, 창의 유도 -개별적 배려: 개개인 학습기회 제공

  • 82

    교사 전문성 증진과 관련된 학교 내 조직

    학습조직, 전학공, 교사연구회

  • 83

    참여적 의사결정 관련된 학교 내 조직

    교사협의회, 교과협의회, 동교과/동학년협의회, 교육공동체 대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