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자연재해란
어떤 자연사건이 재산이나 인명에 위협이 될 때
2
자연재난이란
자연 재해는 인명이나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켰을 때
3
산의 경치가 좋아서 큰 절벽의 위아래에 집을 지을 경우 발생하는 위험은
산사태, 낙석
4
비옥한 땅, 값싼 땅, 교통요지 등을 이유로 큰 범람원에 마을이 들어섰을 때 발생하는 위험은
홍수
5
큰 화산지대 인근에 모여 살 때 발생하는 위험은
화산 폭발
6
활성단층 주변은
공원과 자연 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
7
범람원, 해안가는
주택이나 산업시설을 제한시켜야 한다.
8
예측 가능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자연 사건을
주기적인 사건이라고 한다.
9
한 사건의 규모 M은
발생빈도 f에 반비례한다.
10
프랙털 이론이란
사건의 스케일과 상관없이 그 구조가 비슷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11
태풍의 해일과 '이것'이 겹치면 매우 높은 폭풍파도를 만들어낸다.
만조시간
12
위험은
(발생 확률 * 예상 손해비용)에 비례한다.
13
선진국에서는 자연재해에 의한
자연재해 비용이 급격히 증가한다.
14
후진국에서는 자연재해로 인한
자연재해 사망자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15
대륙지각은
규소가 많아 밀도가 낮다.
16
해양지각은
철과 마그네슘이 많고 규소가 적어 밀도가 높다.
17
지각과 맨틀의 경계를
모호면이라고 한다.
18
암석권과 연약권의 경계를
지진파의 저속도층이라고 한다.
19
발산형 경계는
판이 갈라져 분리되는 것이다
20
수렴형 경계는
두 판이 충돌 시 발생한다.
21
변환단층 경계는
두 개의 판이 측면으로 비껴나가는 것으로, 주로 중앙해령 축의 수직 절단면에 생성된다.
22
해구, 섭입대가 형성되는 수렴형 경계는
해양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경계에서 생긴다.
23
히말라야 산맥 같은 두꺼운 대륙암석권을 형성하는 수렴형 경계는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경계에서 생긴다.
24
해양판-대륙판의 수렴형 경계(섭입대)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을 고르시오.
성층화산이 해양판 위에 생긴다.
25
열점형 화산에 대해 옳지 않은 설명을 고르시오.
외핵과 내핵 사이 깊은 곳에서 만들어지는 높은 온도의 고체인 플룸이 상승하면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26
다음 중 경사가 크고, 압축되는 힘에 의해 생성되는 단층을 고르시오.
역단층
27
다음 중 경사가 작고, 압축되는 힘에 의해 생성되는 단층을 고르시오.
충상단층
28
상하운동 없이 횡적으로만 움직이는 단층을 고르시오
주향이동단층
29
확장되는 힘에 의해 형성되는 단층을 고르시오
정단층
30
탄성변형 단계의 암석은
원래대로 복원이 된다.
31
소성변형 상태의 암석은
원래대로 복원이 불가능하다.
32
취성파괴 상태의 암석은
깨져버린다.
33
탄성한계를 넘어가면
소성변형 단계에 들어간다.
34
포행을 보이는 단층에는
응력이 쌓이지 않고 자주 해소되어 큰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다.
35
진원이란
지진이 발생할 때 단층이 처음 움직인 위치이다.
36
진앙이란
지진이 발생할 때 단층이 처음 움직인 위치의 지표지점이다.
37
실체파를 고르시오.
P파, S파
38
표면파를 고르시오.
러브파, 레일리파
39
P파에 대해 옳은 설명을 고르시오.
압축파로서 고체, 액체를 통과한다.
40
S파에 대해 옳은 설명을 고르시오.
전단파로서 고체만 통과한다.
41
러브파에 대해 옳은 설명을 고르시오.
입자가 수평운동을 한다.
42
레일리파에 대해 옳은 설명을 고르시오.
입자가 수직원운동을 한다.
43
규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규모 1의 차이는 진폭 10배, 방출 에너지 100배이다.
44
액상화에 대해 옳지 않은 설명을 고르시오.
토양에 진동이 가해지면 액체 상태가 되고, 액체 상태가 된 토양은 진동이 멈춰도 다시 고화되지 않는다.
45
단층의 운동이 불규칙적인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지표로부터 숨은 단층을 측정할 수 있다.
46
지진 가능성을 예측에 도움을 주는 정보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