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환경영향평가 기말
  • 이지훈

  • 問題数 38 • 6/9/2024

    記憶度

    完璧

    5

    覚えた

    16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모든 에너지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에너지 단위로 석유 1톤을 연소할 때 발생하는 발열량(10의 7승 kcal)을 기준으로 표준화한 단위로, (에너지원벽 석유환산계수 * 에너지 사용량)으로 계산함.

    toe, ton of oil equivalent, 석유환산톤

  • 2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성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원별, 배출량을 산정해야 하는데, 온실가스별 온난화지수가 다르며, Non-CO2를 발생량이 가장 많은 CO2 1kg을 기준으로 환산량

    CO2eq, carbon dioxide equivalent, 이산화탄소 환산량

  • 3

    발전설비 전 수명주기에 걸친 비용을 집계한 것이며, 발전 단가의 기초가 되는 지표로 전력 kWh당 소모되는 비용을 말함

    LCOE,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균등화발전원가

  • 4

    화석연료 LCOE와 재생에너지 LCOE가 같아지는 시점

    grid parity, 그리드 패리티

  • 5

    화석연료(가스, 석유 등)로 사용되던 에너지를 전기의 형태로 소비하는 것을 말하며, 국내 소비되는 에너지 약 95%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에서,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기, 온수, 냉난방 등을 통한 에너지 자립의 필수 요소임.

    electrification, 전기화

  • 6

    생산(화력, 원자력, 태양광, 풍력 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충전)하여 두었다가, 필요시(Peak Shift, 전압 평준화, 정전 방지 등) 방전하여 전기에너지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ESS,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장치

  • 7

    윤석열 정부에서는 RE100 캠페인에 맞서 24시간 일주일 내내 무탄소 전력만 사용하자는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으나, 기업들은 경제적 파급성, 영향력 등을 고려했을 때 RE100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이것은?

    CF100

  • 8

    전쟁으로 인해 화석연료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 제1차 제2차 오일쇼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예측불가능한 상황으로 인해 경기침체, 인플레이션 등 국제 사회 경제에 큰 영향 주는 현상을 말함.

    warflation, 워플레이션

  • 9

    한국전력거래소가 1일전 다음날 1시간 단위 전력소비예측을 통해 전력을 거래하는 시장이며, 전력거래소가 당일날 전력 수요와 공급 추이를 확인하면서 가장 낮은 발전소부터 전력을 생산하라고 지시(급전지시)하는데, 시간대별 가장 낮은 발전비용.

    SMP, system marginal price, 계통한계가격

  • 10

    일정규모(500MW) 이상의 발전설비(신재생에너지 설비는 제외)를 보유한 25개 발전사업자(공급의무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제도.

    RPS, renewable energy portfolio, 공급의무화

  • 11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활용해 에너지를 공급했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RPS사업자, RE100 및 ESG경영 기업에 필요한 량을 주식과 같이 거래하며, 1REC는 전력 1MWh를 공급했다는 인증서, 가중치는 환경, 정책 등을 고려하여 주는 혜택.

    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 12

    정부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연단위로 배출권을 할당하여 할당범위내에서 배출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할당된 사업장의 실질적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하여 잉여분 또는 부족분의 배출권에 대하여는 사업장 간(間)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 13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시켜 송전한 후, 수전지역에서 다시 교류전력으로 재 변환시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

    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초고압 직류송전

  • 14

    재생에너지의 경우 태양, 바람 등을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기상 변화로 인한 간헐성(변동성)의 한계로 신재생에너지 확산에 걸림돌이 되어 왔으며, 에너지 저장장치, 발전량 예측 시스템 등 기술의 발전으로 점차 간헐성을 극복 중임.

    재생에너지 간헐성

  • 15

    수소는 생산 방식에 따라 수소를 분류하며, 천연가스 개질 또는 화학공정에서 나오는 수소를 그레이 수소, OO수소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CO2를 포집 및 저장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 OO수소, 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한 OO수소로 구분.

    grey, blue, green 수소

  • 16

    한국에너지공단에서는 모든 에너지(휘발유, LNG, 전기 등) 고유단위(kl, 천㎥, kWh 등)를 석유환산톤(toe), 온실가스 배출량(tCO2)로 변환하는 EG-Tip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석유환산톤 및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기

  • 17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과도할 때, 전력계통 안정성 확보를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출력을 직간접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시행하기 위한 방법, 출력 제한 보상, 완화전략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음.

    curtailment, 출력제한

  • 18

    ICT 기술을 이용해 소규모 에너지 발전 자원(배터리저장장치, 발전기, 현장 장비, 수요자원)을 연결, 하나의 발전소처럼 통합·제어하는 시스템.

    VPP, virtual power plant, 가상발전소

  • 19

    전력 회사가 전기 사용자의 전기 소비를 조정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시행하는 프로그램이며, 이는 가격 또는 전기요금 인하와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피크 수요를 줄이거나 피크가 아닌 시간대로 전환하는 방식.

    수요반응서비스

  • 20

    농구공이 링을 맞고 떨어졌다가 다시 튀어 올라가는 형태를 영어로 Rebound라고 하며,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에너지사용량 감소를 기대하였지만, 또 다른 활동으로 에너지사용량이 증가하여 실제 감소한 에너지량이 크지 않은 효과를 말함.

    rebound effect

  • 21

    사용지역 인근에서 생산·소비되는 에너지를 통해 대규모 송전망 건설 및 유지 비용 감소, 경제성 비용(사회적 갈등, 보상 등)을 감소시키고, 지연단위 에너지 생산·소비 일치를 위한 지역 주도형 에너지 시스템 필요에 의해 추진.

    분산에너지

  • 22

    전기를 열·가스·전기로 변환하여 사용·저장하는 기술로, 잉여 전기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저장 및 활용 가능하고, 전기 생산을 위해 해당하는 양 만큼 화석 발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 효율향상 기술로 기대.

    sector coupling, 섹터 커플링

  • 23

    1차 에너지 공급량(toe)를 국내 총생산(GDP)로 나눈 값으로, 해당 국가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에너지 원단위

  • 24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증가를 막기 위해 인간 활동에 의한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흡수량을 증대하여 순배출량이 ‘0’이 되는 것.

    net zero, 탄소 중립

  • 25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로서, 의무화 로드맵을 통해 2050년 전건물 1등급(에너지 자립률100%) 수준으로 추진하는 정책.

    제로에너지 빌딩

  • 26

    정보통신 기술(ICT)를 이용해 에너지 사용 상황을 최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해 비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줄임으로써 능동적으로 에너지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IT 소프트 웨어).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에너지관리시스템

  • 27

    소비자는 스마트 미터를 통해 수집된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Big-data를 유틸리티(전력, 가스 등) 기업에 제공하고, 유틸리티는 소비자에게 에너지 절약 노하우를 제공하여 에너지 소비 감소 및 효율 향상에 기여하는 서비스.

    green button, 그린버튼

  • 28

    기후변화로 위협받는 지구와 인류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준비한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나라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이행하는 조치.

    NDC, nationally determinde contributions,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 29

    산업부 보고서에 따르면, 24/7 CFE 활성화를 위한 기술(Tracing, Veritying, Matching) 및 전문 인력, 인프라(원전, 송배전 설비 등), 사회적 갈등 및 비용, 국내 기업 및 국제적 협력, 제도적 기반 마련 등 다양한 노력 필요.

    CF100 vs RE100

  • 30

    전기자동차를 전력망과 연결해 배터리의 남은 전력을 이용하는 기술로, 전기차를 에너지 저장 장치로 활용해 주행 중 남은 전력을 건물에 공급하거나 판매하는 기술.

    V2G, vehicle to grid

  • 31

    하나의 시스템이 동일 또는 이기종의 다른 시스템과 아무런 제약이 없이 서로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하며,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 새로운 기술(ESS, 전기차 충전기 등)이 적용됨에 따라 상호 운용성 확보 중요성 증대.

    상호 운용성

  • 32

    전기 에너지 소비량, 전압 수준, 전류, 역률 등의 정보를 기록하고 해당 정보를 소비자 및 전력 공급자에게 전달하는 전자 장치.

    smart meter, 스마트미터

  • 33

    전체 생산의 흐름에서 산업의 앞뒤에 위치한 업종을 말하며, 생산품의 소재나 소비재를 만드는 업종을 후방산업, 최종 소비자가 주로 접하게 되는 업종을 전방산업 이라 칭함.

    전후방산업

  • 34

    Smart Meter, DCU,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그리드 핵심 인프라이며, 양방향 통신망을 이용해 전력 사용량, 시간대별 요금정보 등 정보를 활용 수요 반응(절감), 자발적인 전기절약 등을 유도.

    AMI, advanced metering infra, 지능형 검침 인프라

  • 35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가 생성, 유통, 저장되는 것처럼, 정보통신기술과 에너지를 접목하여 에너지 생산·유통·소비·저장·거래 등 최적화할 수 있으며, 에너지의 중앙·단방향 공급에서 분산·양방향 공유로의 패러다임 변화 핵심 개념.

    IoE, internet of energy, 에너지 인터넷

  • 36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의 저서 ‘제3의 물결’ 에서 ‘소비자(consumer)’가 ‘생산자(Producer)’ 역할도 하는 ‘OOOO’ 개념을 제시하였고, 생산된 에너지를 소비 후 잉여에너지를 인근 수요자에게 판매하여 전기요금 절감, 수익 창출, 온실가스 감축 효과.

    prosumer, 프로슈머

  • 37

    기존 수요반응서비스는 수요 감축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목적이었지만, 기존에 더하여 잉여 재생에너지 전력 소비 유도를 목적으로 하며 해당 시간에 전기를 사용하면 전기요금 할인 또는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

    +demand response, 플러스 DR

  • 38

    분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기술로 해킹, 변경이 불가능한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이며, 스마트그리드, 분산에너지, 프로슈머 등에 적용되어 에너지 거래 활성화, 보안 강화 등 필수.

    block chain, 에너지 블록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