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치아가 상실되면 함몰부위가 사라지는 것을 뜻하는 용어
치조와
2
치면과 치면의 경계, 치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연
3
전치부 설면결절에서 절단을 향해 형성되는 돌기 모양의 작은 돌출부 상악중절치와 상악견치의 설면에 1~3개
극돌기
4
우각상징이 뚜렷한 치아 우각상징이 미약한 치아
상악측절치, 하악중절치
5
대구치처럼 성장된 악골에 새로 맹출되는 치아를
가생치
6
치근상징이 뚜렷한 치아 치근상징이 가장 미약한 치아
상악측절치 견치 대구치, 하악중절치
7
교두 관찰 시 가장 높은 부위
교두정
8
절치의 절단에 형성된 돌출부위
절단결절
9
전치 순면 설면의 연은
절단연, 근심연, 원심연, 치경연
10
유치의 맹출순서 하악
유중절치, 유측절치, 제1유구치, 유견치, 제2유구치
11
치수강의 용어
수각, 수실, 수실개, 수상저, 치근관구, 치근관, 치근첨공
12
전치는 순면과 설면에서 ( )개의 연과 접촉면에 ( )개의 연으로 구성, 구치는 각 면마다 ( )개의 연이 있다.
4, 3, 4
13
융선의 종류
변연융선, 설면융선, 교두융선, 삼각융선, 횡주융선, 사주융선, 순면융선, 협면융선
14
영구치 맹출순서 하악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제3대구치
15
구치교합면을 근심 원심에서 볼때 교두 사이 형성되는 넓은 함몰 부위
교두간강
16
건강하면 핑크색으로 저작압에 대한 저항 및 치주조직을 치아에 부착시키는 작용 용어와 구분되는 3가지 용어
치은, 변연치은, 부착치은, 치간치은
17
치근관의 종류
단순치근관, 완전분지치근관, 불완전분지치근관, 측지치근관
18
와란?
치면에 불규칙한 원형나 삼각형의 넓은 함몰 부위
19
근심연은 길고 직선적이며 각이 작고 원심연은 근심연보다 곡선적이며 각이 크다
우각상징
20
견치의 절단을 근심 원심으로 나누는 기준, 근심측으로 치우쳐있고 근심절단연이 원심절단연보다 짧게 나타난다.
첨두
21
치아의 연조직 25%유기질 75%수분 신경 혈관 림프관 존재 치아의 영양 공급 상아질 형성 지각 담당
치수
22
구치부 교합면에 산 모양 같이 돌출된 부위
교두
23
소와란?
와에서 가장 깊은 점상의 함몰 부위
24
구치부의 근심면 원심면의 연은
교합연, 협측연, 설측연, 치경연
25
내면은 상아질에 접착 외면은 치주인대에 연결 치아를 악골에 고정 65% 무기질 23유기질 12수분
백악질
26
유치와 영구치의 차이
유전치의 치경융선이 영구치에 비해 돌출, 유구치 치수각의 돌출이 현저하다, 치수강이 차지하는 비율이 영구치보다 크다
27
전치 근심면 원심면의 연은
설측연, 치경연, 순측연
28
치아의 구성조직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70% 무기질 종류로 치근 완성전 일차,후 이차,유해자극 삼차 황백색
상아질
29
전치 설면 치경1/3부위에 근심변연융선과 원심변연융선이 만나 형성된 돌출 부위, 약간 원심에 위치 상악 견치에 가장 뚜렷
설면결절
30
가장 깊은 점상의 함몰 부위 근심 원심 협면
소와, 근심소와, 원심소와, 협면소와
31
구치부의 첨각 종류
근심협측교합면첨각, 근심설측교합면첨각, 원심협측교합면첨각, 원심설측교합면첨각
32
구란?
상대적으로 오목한 선상의 함몰 부위
33
소구치는 ( )개 상악제1대구치는 ( )개 하악제2소구치( )개 하악 대구치 ( )개의 교두가 있다
2, 4, 2,3, 5
34
전치와 소구치처럼 유치가 탈락된 자리에 맹출되는 영구치를
계승치
35
근심과 원심에서 치경선이 상방으로 만곡이 나타난다
치경선 만곡상징
36
1전치 설면에 오목한 함몰 부위 2구치 교합면 근심에 있는 3중심에 있는 4원심에 있는
설면와, 근심와, 중심와, 원심와
37
영구치 맹출순서 상악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견치, 제2대구치, 제3대구치
38
치조골과 백악질 사이 존재하는 섬유성 결합조직 치근막이라고 함 치아를 외부에서 오는 압력 장력을 완충 백악질 치조골에 영양 공급 골조직 백악질을 유지 및 재생시키는 기능
치주인대
39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 96~97% 무기질 무색 반투명 절단이나 교합면에서 제일 두껍고 치경부측으로 갈수뢰 얇아짐
법랑질
40
상악제1대구치 상악제2유구치의 근심설측교두의 설측에 형성된 이상결절 제5교두
카라벨리씨결절
41
우각상징 만곡상징이 반대의 형태인 치아는
상악제1소구치
42
치근이 1개인 치아
단근치
43
상악제3대구치의 원심측에 형성된 이상결절
후구치결절
44
상악제2대구치 근심협측교두의 협측이나 근심협측교두와 원심협측교두 사이에 형성된 이상결절
가성 구치결절
45
구를 크게 3종류로 나누면
발육구, 부구, 삼각구
46
영구치열의 명칭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제3대구치
47
생후 6개월이 되면 유치가 맹출되기 시작하여 상하악에 각각 ( )개 총 ( )개 6세에 유치가 탈락하는 치아를 ( ) 약 12세까지 교환 탈락되는 치아에 맹출되는 치아를 ( ) ( )개이며 새로 맹출되는 치아를 ( ) ( )개 총 ( )개
10, 20, 탈락치, 계승치, 20, 가생치, 12, 32
48
치수로 채워진 공간을 ( )이라 하고 ( )과 ( )으로 구분된다
치수강, 수실, 치근관
49
치관 형태를 형성하는 기본단위
발육엽
50
2개의 치면이 만나서 형성하는 선상의 각을 말하고 전치부에 ( )개 구치부에 ( )개의 ( )이 존재
4, 8, 능각
51
만곡상징이 뚜렷한 치아 만곡상징이 미약한 치아
견치 상악대구치, 하악중절치
52
치근이 3개 이상 치아 해당 치아
다근치, 상악대구치 상악유구치
53
구치부 능각의 종류
근심협면능각, 근심설면능각, 원심설면능각, 원심협면능각, 근심교합면능각, 원심교합면능각, 협측교합면능각, 설측교합면능각
54
구치부 교합면의 연은
협측연, 원심연, 설측연, 근심연
55
전치부 능각의 종류
근심설면능각, 근심순면능각, 원심설면능각, 원심순면능각
56
치아의 구성조직을 그림으로 그리고 명칭을 쓰시오
법랑질, 상아질, 치수각, 치수실, 치은선, 치경선, 치근관, 백악질, 치조골, 치주인대, 치근첨공, 해부학적 임상적 치관, 해부학적 임상적 치근
57
치아 종류 2가지
유치, 영구치
58
전치부의 첨각 종류
근심순측설면첨각, 원심순측설면첨각
59
치근이 2개인 치아 해당 치아
복근치, 상악제1소구치 하악대구치 하악유구치
60
구심반부는 풍융하고 원심반부는 완만하다
만곡상징
61
치근이 원심으로 경사져 나타난다
치근상징
62
유치열의 명칭
유중절치, 유측절치, 유견치, 제1유구치, 제2유구치
63
( )개의 치면이 만나서 형성하는 점상의 각. 전치는 ( )개 구치부는 ( )개의 ( )이 존재
3, 2, 4, 첨각
64
구치부 협면 설면의 연은
근심연, 원심연, 교합연, 치경연
65
치아가 식립되어 있는 뼈 부분 치아를 보호 지지
치조골
66
상악 우측 제3대구치와 하악 좌측 중절치와 상악 우측 유중절치와 상악 우측 제2유구치의 사분구획법과 두 자리 숫자 표기법과 만국표기법은?
8 18 1, 1 31 24, A 51 E, E 55 A
67
상악제1소구치 교합면의 근심변연융선상에 형성된 이상결절
개재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