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고려는 북방 민족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개경에 ( )을/를 쌓았다.
나성
2
고려는 문화적 경제적 실리를 추구하며 ( )와/과 가장 활발하게 교류하였다.
송
3
발해를 멸망시켜 고려의 견제를 받은 민족은?
거란
4
5대10국의 혼란기를 거쳐 중국을 통일하고 고려와 우호 관계를 형성한 나라는?
송
5
고려는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고 ( )을/를 얻었다.
강동6주
6
( )은/는 귀주 대첩에서 거란군을 상대로 크게 승리하였다.
강감찬
7
( )은/는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으로 구성된 특수 부대이다.
별무반
8
금이 고려에 사대 관계를 요구하자 집권하고 있던 ( )이/가 이를 받아들였다.
이자겸
9
아라비아 상인이 고려에 드나들면서 고려가 ( )(이)라는 이름으로 서방 세계에 알려졌다.
코리아
10
10세기 동아시아 정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보기 ㄱ.고려가 북진정책을 추진하였다. ㄴ.거란이 세력을 키워 요를 세웠다. ㄷ.송과 거란이 우호 관계를 형성하였다. ㄹ.여진의 부족들이 완옌부를 중심으로 통합하였다
1.ㄱ,ㄴ
11
고려의 대외 교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일본 상인이 고려에 은,모피 등을 팔았다.
12
( )은/는 강화도에서 진도, 제주도로 이동하면 대몽항쟁을 벌였다.
삼별초
13
신진 사대부는 원에서 수용한 ( )을/를 학문적 배경으로 삶았다.
성리학
14
무신 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었던 ( )은/는 고려정부의 개경 환도에 반대하였다.
삼별초
15
고려와 몽골의 강화 이후 고려에서는 몽골식 복장과 음식, 용어 등 ( )이/가 유행하였다.
몽골풍
16
친원적 성향을 가진 ( )은/는 높은 관직을 독점하고, 음서를 이용하여 권력을 세습하였다.
권문세족
17
명과 친할 것을 주장한 세력은 (. )
신진 사대부
18
최영과 이성계가 대표 인물인 정치 세력은 (. )
신흥 무인 세력
19
기철을 비롯한 친원 세력을 제거하고 원의 풍습을 금지한 왕은?
공민왕
20
요동 정벌에 반대한 이성계는 (. )에서 군대를 돌려 개경을 장악하였다.
위화도
21
고려 말에 (. ) 등의 급진파 사대부는 새 왕조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정도전
22
고려가 몽골과 국교를 맺게 된 계기로 옳은 것은?
5,고려에 들어온 거란인을 몽골과 연합하여 물리쳤다.
23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것은? 몽골은 고려를 복속국으로 취급하며 많은 공물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 ), 몽골은 국교를 끊고 고려를 침략하였다.
5,고려에 온 몽골 사신이 귀국하는 길에 살해되자
24
*몽골의 침략과 고려의 항전을 주제로 보고서를 작성할 때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특수부대인 별무반의 편성
25
몽골의 침입으로 불에 탄 문화유산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보기) ㄱ,경주 불국사 다보탑 ㄴ,“무구정광대다라니경” ㄷ,경주의 황룡사 9층 목탑 ㄹ,대구 부인사의 대장경 판목
5,ㄷ,ㄹ
26
자료를 활용항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복식은 고려의ㅠ풍속에 따라 모두 고치지 않는다. 2,고려에 가는 행인은 몽골 조정에서만 보내고 그 밖의 왕래는 모두 금한다. 3,강화도에서 개경으로 수도를 옮기는 것은 힘이 되는 대로 시행한다. 4,고려에 설치한 다루가치 일행은 귀환시킨다.
1,고려와 몽골의 강화
27
다음과 같이 이동하면 대몽행정을 전개한 군사 조직으로 옳은 것은?
4,삼별초
28
중요해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4,ㄴ,ㄷ
29
다음 다큐멘터리에서 볼 수 있는 장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원 간섭기 고려인의 생활 기획의도:몽골의 영향 속에서 바뀌는 고려인의 생활 모습을 살펴본다.
5,승려들이 초조대장경을 조판하는 모습
30
중요해 다음 활동을 펼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는 햄심기구인 정동행성이문소를 폐지하였다. 원의 간섭을 물리친 뒤 승려 신돈을 등용하여 내정 개혁을 추진하였다.
5,성균관을 정비하고 유학 교육을 강화하였다.
31
ㄱ에 들어갈 기구로 옳은 것은? 토지와 노비를 권세 있는 집에서 거의 다 빼앗아 가졌다. 돌려주라고 판결을 했는데도 그대로 가지고 있고, 백성을 노비로 만들기도 하였다. 이제 (ㄱ)을/를 설치하여 바로잡겠다. 기한을 넘겨 일이 발각되면 죄를 조사하여 다스릴 것이다. -<고려사>
5,전민병정도감
32
(가),(나)의 경로로 침입한 각 세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나)의 공격에 최무선이 진포에서 맞서 싸웠다.
33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물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정치, 군사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급진파 사대부와 연계하여 문란해진 조세 제도와 토지 제도를 바로잡았다.
1,조선을 건국하였다.
34
(가),(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급진파 사대부 (나) 온건파 사대부
(나)- 정도전, 조준 등이 대표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