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신생아가 태어난지 하루가 지나면서 무기력하고 저체온증(hypothermia)을 보이고 일시적 호흡정지(apnea) 증상까지 나타났다. 혈중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되고 있고 뇌부종이 있는 것을 관찰 되었으며, 혈중 BUN(Blood urea nitrogen) 수치가 매우 낮고, ortate, citrulline, argininge 농도가 낮았다. 이 신생아가 결핍되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효소는?
Carbamoyl phosphate synthase I
2
그림과 같이 아스피린은 시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COX) 1, 2에 acetyl 그룹을 붙여줌으로서 비가역적으로 이 효소를 역제한다. 아스피린이 저농도에서 항응고 효능을 가지는 기전은 (가) 세포에서 분비하는 (나)의 합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가)와 (나)는?
(가) 혈소판, (나) 트롬복산 A2(Thromboxane A2)
3
2세 여아가 좌측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 여아는 사진과 같이 동공이 하얗게 나타났으며, 혈액 채취 후 DNA 검사를 진행한 결과, 안구암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이 유전자가 만들어내는 단밸질이 정상적으로 하는 역할은?
세포 주기에서 G1에서 S기로 진행 조절
4
체세포분열은 간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로 나뉘고, 간기는 G1기, S기, G2기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세포 주기에서는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지를 점검하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갈 때 점검하는 것은?
방추체 어셈블리
5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3개월 간의 처방을 받아 약을 복용하다가 다시 내분비내과로 내원하였다. 혈액검사에서 당화혈색소(HbA1c)는 8%(정상 6.5% 미만)로 측정되었다. 이 환자에 대한 옳은 설명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혈당조절에 실패하여 2~3개월간 혈당의 수치가 높았다.
6
포화지방산 생합성 과정에서 아세틸-CoA가 사립체(mitochondria)에서 세포액(cytosol)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어떤 대사물질로 전환되어야 하는가?
시트르산
7
콜라레 환자에서 콜라라 톡신에 의해 Cl-, Na+, H2O 등이 소장의 상피세포로부터 장 내강으로 급격히 배출되어 설사가 유발된다. 이 과정에서 작용하는 신호전달경로는?
고리형 AMP(cAMP)/단백질키나아제 A(PKA) 신호전달경로
8
염색체 DNA가 감싸고 있는 히스톤(histone)에서 일어나는 히스톤 코드(code)는 무엇인가?
히스톤의 번역 후 수식의 변화
9
중성지방 합성을 위해 3-인산 글리세롤과 지방 아실-CoA가 필요하다. 간과 지방조직에서 3-인산 글리세롤 공급에 직접 기여하는 해당과정의 중간산물은
인산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10
저산소 상태에서도 증식하는 암세포는 정상세포와 달리 사립체(mitochondria) 의존성 지방산 합성을 시도한다. 이 때 시트르산 회로 중간물질인 알파 - 케토글루타르산(alpha-ketoglutarate)이 지방산 합성에 필요한 아세틸-CoA(acethyl-CoA)를 공급할 수 있다. 알파-케토글루타르산으로 전환될 수 있는 주요 아미노산은?
글루타민
11
사람이 갖고 있는 핵 내 유전물질의 존재형태를 세포주기에 따라서 염색질(chromatine)과 염색체 (chromosome) 및 염색분체(chromatid)로 구분할 수 있다. 염색질이 주로 관찰되는 시기는?
간기
12
100미터(m) 단거리 전력 질주에서 초기 5초 이내에는 인산 크레아틴(creatine phosphate)이 근육 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이다. 이후의 근육 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이 되는 것은?
근육 글리코겐
13
생후 2일된 신생아에게 시행한 선천성 대사 이상 선별 검사에서 혈중 페닐알라닌 농도가 40mg/dl(참고치, <2)로 측정되었다. 의심되는 질환에서 결핍된 효소가 정상적으로 작용하였을 때 만들어 내는 산물(product)로 가장 적절한 것은?
티로신
14
시트르산 회로 중간물질의 농도가 낮아지면 이들이 보충 반응을 통해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중간물질 중에서 아스파르트산에서 보충되고 포도당신합성에 이용되는 것은?
옥살아세트산
15
보기 참고
포도당신합성
16
영희는 아침식사를 거르고 등교하였다. 점심시간 직전에 영희의 체내의 포도당 대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간의 포스포프럭토키나아제-2 활성이 감소되어 있다.
17
사립체(mitochondria) 기질(matrix)에서 일어나는 과정은?
시트르산 회로
18
제1형 당뇨병 환자인 50세 남자가 의식을 잃고 응급실로 왔다. 혈당은 510mf/dl(참고치, 70~140), 동맥혈 pH는 7.0(참고치, 7.35~7.45)이었으며 환자의 호흡에서 과일 냄새가 났다. 이 환자의 호흡에서 맡을 수 있는 과일 냄새의 원인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대부분 간에서 생성된다.
19
다음 그림과 같이 다양한 조건의 산소포화곡선으르 갖는 헤모글로빈이 있다. 설명으로 맞는 것은?
2,3-BPG(bisphosphoglycerate)의 농도가 높을수록 (가)에서 (다)로 이동한다.
20
임신 32주에 태어난 신생아가 출생 직후에는 가쁜 호흡과 가래 끓는 숨소리 이외에는 정상이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입술Hg(참고치, 90~100), pCO2 52mmHg(참고치, 35~45)였고, 흉부엑스선 검사에서 다음 사진처럼 공기음영이 전반적으로 낮은 상태로 보였다. 어떤 대사물질의 생합성 장애와 관련이 있는가?
인지질(phospholipid)
21
췌장 베타-세포주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때 가장 먼저 형광이 관찰되는 세포 내 소기관은?(단, 이 실험에서 사용된 형광단백질은 세포 내 모든 소기관에서 형광을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한다.)
세포질세망
22
동남아 지역에 여행을 다녀온 후 말라리아에 감염되어 프리마퀸(primaquine)을 복용한 환자가 수 일 후 빈혈증상을 보였다. 아래 그림은 환자의 말초혈액 도말 소견이다. 이 환자에서 관찰되는 주요 소견으로 적절한 것은?
NADPH 농도 감소
23
눈 옆에 사진과 같은 덩어리가 관찰되었다. 이 환자의 증상과 관련성이 높은 것은?
콜레스테롤 대사 이상
24
당뇨병 환자에서 VLDL(very low density lipoprotein)을 증가시키는 직접적인 기전은?
간에서 중성지방 합성 증가
25
글리코실 전달효소(glycosyl transferase)가 N-결합 올리고당을 결합시키는 아미노산은?
아스파라긴
26
다음 그림의 아미노산은 수용액의 pH에 따라 카르복실기, 아민기, R 기가 다른 전하를 띠게 되고 이에 따라 3개의 pKa값(1.82, 6.0, 9.17)을 가진다. 이를 바탕으로 이 아미노산의 등전점(isoelectric point, pl)을 구하시오.
7.59
27
다음 그림은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결과이다. 이 같은 단백질의 분리 방법은 어떤 특성을 이용하는 것인가?
단백질의 분자량
28
생후 20개월의 남자 아이가 병원에 왔다. 아이는 입술과 손에 물어뜯은 상처가 관찰되었으며 기저귀에 모래 같은 알갱이가 묻어 있었고 인지 발달 장애가 동반되어 있었다. 혈중 요산(uric acid)수치는 15.2mg/dl(참고치, 1.7~5.8) 이었다. 이 환장에서 감소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효소는?
Hypoxanthine-gua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29
JAK-STAT 신호경로를 활성화시키는 적혈구형성인자(erythropoietin)가 작용하는 수용체는?
시토카인 수용체
30
보기 참고(21년도 생화학 130번 4세 남자아이가)
용해소체(lysosome)
31
4개 이상의 유비퀴틴(ubquitin)이 표적당백질에 부착된 후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은?
표적단백질의 분해
32
보기참고(21년 생리학 132 특징을 갖는 세포)
다능성 줄기세포
33
체내 지방산(fatty acid) 생합성 과정은 음식 섭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식간 공복상태에서 지방산 생합성을 감소시키는 가장 적절한 기전은?
사립체(mitochondria)내 시트르산(citrate) 감소
34
사람의 DNA 복구 기전이 인식하기 어려운 변형은?
Methylated cytosine의 deamination
35
심근경색 진단에 사용되는 효소 중에서 다음 사진과 같은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효소는? (A : 심근경색 환자 혈청, B : 정상인 혈청, C : 간질환 환자 혈청)
젖산 탈수소효소(LDH)
36
낫적혈구 빈혈(sickle cell anemia)은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아미노산 서열이 글루탐산(glutamate)에서 발린(valine)으로 바뀜에 따라 헤모글로빈 분자 사이에 이상결합이 형성되어 발생한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결합은?
소수성 상호작용
37
많은 화합물들이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를 억제한다. 짝풀기제(uncoulpler)의 작용에 해당하는 것은?
사립체(mitocondria) 내막에 걸친 양성자 구배를 없앤다.
38
보기참고(21년 생화학 138번, 혈관내피세포에서 생성된다.)
Nitric oxide(NO)
39
다음과 같은 단백질 2차 구조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낮은 아미노산은?
프롤린(proline)
40
그림의 일차 - 미세 RNA(pri-miRNA)에서 B부분을 절단하는 것은?
Dicer
41
21년 생화학 보기참고
리소좀
42
다음 중 리보솜 RNA(rRNA)가 합성되고 40S와 60S 리보솜 소단위(subunits)가 생성되는 세포 내 장소는?
핵소체
43
50세 남자 환자가 변비와 혈변으로 병원에 왔다. 대장 내시경에서 구불결장(sigmoid colon) 부위에 종양이 발견되었고, 종양조직의 유전자 검사에서 hMSH 유전자의 변이가 있었다. 다음 중 hMSH 유전자 변이가 세포 내에서 일으키는 현상은?
복제과정 중 합성된 틀린짝 염기(mismatched base)의 인지기능 손상
44
DNA 결합 단백질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모티프는?
zinc finger
45
4세의 어린아이가 햇볕을 조금 쪼이면, 물집이 생기는 등 심한 화상 증상을 보였고, 평상시에도 피부가 거칠고 반점이 많이 생긴다고 소아과에 내원했다. 환자는 색소성 건피증(xeroderma pigmentosum)으로 진단되었다. 이 질환에서 활성이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은 DNA 복구 기전은?
Nucleotide-excision repair
46
염색질(chromatin)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뉴클레오좀(nucleosome)이 기본단위체이고 히스톤단백질을 DNA가 감고 있다.
47
핵산에 존재하는 결합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두 가닥의 DNA 사이는 수소 결합
48
돌연변이에 의해 동맥경화 발병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는 단백질은?
LDL 수용체
49
21년 생화학 149 보기참고
4
50
미세RNA(microRNA)는 20~22 염기쌍의 짧은 RNA 단편으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미세 RNA의 가공과정에서 세포질에서 미세 RNA 이중가닥 형성에 관여하는 효소는?
dicer
51
9세 여자의 혈중 콜레스테롤은 310mg/dL로 높았으나 중성지방과 나머지 지질 수치는 정상 범위였다. 아버지는 42세에 심근경색으로 사망하였다. 최종 검사 결과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으로 진단되었다. 추정되는 발병 기전은?
기능성 LDL 수용체 결함
52
30세 남자가 복통 때문에 병원에 왔다. 수년 전부터 수시로 과식을 하고난 후에 복통과 오심 구토가 심하게 나타났다고 한다. 혈액 검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이 환자의 지질단백질(lipoprotein)에 대한 전기영동 결과 카일로마이크론(chylomicron)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VLDL의 아포지질단백질(apolipoprotein)에 대한 2차우 전기영동 결과는 그림과 같이 나타났다. 카일로마이크론이 증가한 이유는?
모세혈관에서 지질단백지질분해효소의 활성 저하
53
알츠하이머 병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신경독성 아밀로이드 펩타이드 응집체가 축적되어 있다.
54
다음 중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는 아래의 repair유전자 중 어느 것의 변이가 있으면 주로 유발되는가?
Mismatch repair
55
염색체의 특정부분에서 염기서열 TTAGGG가 일렬로 500~5,000번 반복되어 있다. 이것이 긴 세포는 오래 살고 짧으면 빨리 죽는다. 암세포는 이 반복서열을 첨가하는 효소를 발현하여 불멸화될 수 있다. 이것은 무엇인가?
텔로미어
56
55세 남자가 버섯을 먹은 후 토하고 몸이 떨리며 정신이 혼미해져 응급실로 왔다. 혈액 검사에서 암모니아와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되어 있었고 소변에서 a-amanitin이 검출되었다. 간기능 부전의 원인은?
mRNA 합성 억제
57
DNA의 시토신(cytosine) 잔기가 우라실(uracil) 잔기로 바뀌는 탈아미노(deamination) 반응이 일어났을 때, 유전자 돌연변이를 막기 위하여 우라실 잔기를 제거하는 효소는?
글라이코실라아제(glycosylase)
58
mRNA는 세포 내에서 쉽게 분해가 된다. 진핵세포에서 mRNA의 세포 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변화과정(processing)으로는 이루어진 조합은?
5'-capping, 3'-poly A tail
59
뉴클레오시드(Nucleoside)의 구성성분이 아닌 것은?
인산(phosphate)
60
알코올중독자인 A시는 쉽게 멍이 들고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의사가 처방한 비타민 C는 어떤 과정에 도움이 될까?
콜라겐 합성
61
혈액의 인슐린 농도가 감소되어 있는 당뇨병 환자의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mRNA와 프리프로인슐린(preproinsulin) 단백질 및 프로인슐린(proinsulin)단백질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인슐린 mRNA의 발현양은 노던블롯으로 측정하였고 두 단백질의 발현양은 프로인슐린에 대한 항제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을 시행하여 두 단백질은 분자량의 차이로 구분하였다. 인슐린 농도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는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면 어느 부위의 돌연변이일 것으로 예상되는가?(단, 노던 블롯에 사용된 정상인과 환자의 RNA 양은 동일하며 웨스턴 블롯에 사용된 정상인과 환자의 단백질도 동일함)
신호 펩티데이스(signal peptidase) 인식 부위
62
사람의 섬유모세포(fibroblast)에 방사선 조사(gamma-irradiation)를 했을 때 유전자 A의 RNA와 단백질은 아래와 같이 발현되며 단백질의 변화는 프로테아좀 억제제(proteasome inhibitor,PI)처리에 의해 차단된다. 방사선 조사를 했을 때 단백질 A에서 일어난 변화로 가장 가능성이 큰 것은?(C : 대조군, IR : 방사선조사, PI : 프로테아좀 억제제 처리. 도던 블롯을 위해 전기영동된 C와 IR의 RNA양은 동일하며, 웨스턴 블롯을 위해 전기영동된 C, IR 및 PI + IR의 단백질 양도 동일함)
유비퀴틴화
63
lac오페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lac 억제인자가 allolactose와 결합하면 작동자 결합력을 증가한다.
64
과일과 채소에 풍부한 비타민C의 섭취가 부족한 경우 모세혈관이 손상되어 출혈성 장애를 일으키기 쉽다. 이는 비타민 C가 부족하여 A라는 효소의 활성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효소 A가 수산화 시키는 아미노산은?
프롤린(proline)
65
24세 남자가 갑작스럽게 온 몸이 심하게 아프다고 왔다. 평소 이유 없이 피곤하였고 3일전 심한 운동을 한 후 통증이 시작되었다. 구토, 설사, 미열도 있었다. 유전체를 분석하였더니 헤모글로빈 베타사슬의 6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탐산(glutamate)이 발린(valine)으로 치환되었다. 진단은?
낫적혈구빈혈
66
아래 표에 유전형들의 A, B, C는 대장균이 존재하는 락토스 오페론의 lacl, lacO, lacZ 중에 하나의 유전자를 표시한다. 배지에 글루코스가 없는 상태에서 IPTG를 첨가하고 베타-갈락 토시데이스의 발현을 측정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A, B, C가 각각 어떤 유전자를 나타내는가?(단, '-'는 돌연변이를 나타냄)
2
67
선천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 유전공학기법을 이용해 환자에게 결핍된 특정 인자를 인공적으로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사람의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대장균이나 포유류 세포에 삽입하여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사용하였더라도, 대장균에서 생산된 사람의 성장호르몬은 포유류세포에서 생산된 사람의 성장호르몬과 성능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름 중 이러한 성능 차이의 이유로 타당한 것은?
성장호르몬 펩티드의 번역 후 변형과정의 차이
68
어떤 단백질의 N-말단 부위 가까이에 있느 티로신(tyrosine)을 코딩하는 UAU코돈이 다음과 같이 변이(mutation)될 경우, 단백질의 기능에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UAU -> UAA(stop codon)
69
러시아 태생의 6세 어린이가 한국에 온지 3일 만에 오한, 두통, 오심, 구토, 인후통으로 병원에 왔다. 구강진찰에서 인후두개부터 편도 주위까지 회색막 같은 것이 보였고 의사는 디프테리아로 진단하였다. 다음 중 이 질병의 원인인 세균 독소가 세포 내에서 일으키는 변화는?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elongation factor의 불활성화
70
우리 몸에서 발생한 활성산소는 DNA 이중나선구조를 절단하는 유전적 손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활성산소에 의하여 세포 내에서 흔히 생기는 돌연변이는?
8-oxo-deoxyguanosine
71
중합효소연쇄반응(PCR)으로 특정 DNA 조각을 증폭한 다음,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비교해 보았더니 원래의 주형(template) DNA와 다른 서열이 다수 발견되었다. 이는 DNA 중합효소(DNA polymerase)에서 어떤 효소 활성이 결핍되어 있기 때문인가?
3' -> 5' 엑소 뉴클레아제(exonuclease) 활성
72
정상 대장 상피세포와 대장암 조직에서 전체적인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대장암에서 특이하게 발현이 증가하였거나 감소된 유전자들을 최대한 많이 찾아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가장 적절한 실험 방법은?
미세배열(microarray)
73
백인 1세 여아가 잦은 기관지염과 설사로 병원에 왔다.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낭포성 섬유증으로(cystic fibrosis) 진단되었다. 혈액시료에서 낭포성 섬유증유발세포막단백질(CFTR)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3 염기(bases)의 결손형 돌연변이(deletion mutation)가 검출되었다.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했을 분석 방법은?
염기서열분석 DNA(DNA sequencing)
74
다음 그림의 A에 해당하는 단백질로 뉴클레오솜의 구성 단백질은 아니다. 히스톤 팔합체(histoneoctamer)의 주변을 감고 있는 DNA에 결합하여 상위구조의 염색질응축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히스톤 H1
75
임신 당뇨병을 앓고 있는 여자의 태아에서 인슐린(insulin) 합성이 증가하고 태아 성장이 촉진되어 큰몸증(macrosomia)이 유발된다. 태아성장촉진 기전은?
initiation inhibitors 인산화
76
히스톤단백질의 아세틸화의 결과는?
표적유전자가 위치한 염식질의 구조를 느슨하게 풀어준다.
77
52세 여자환자가 피로감과 체중감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말초 혈액도막 검사 및 골수검사상 만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었다. 이 질환의 병인과 관련 있는 염색체 이상은?
전위(translocation)
78
진핵세포의 전사(transcription) 활성화에 관여하는 증강자(enthncer)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촉진자 부위의 밖에 존재하지만, 활성인자와 결합하는 DNA 서열이다.
79
병적 비만은 중추적인 원인과 말초적인 원인으로 구분된다. 중추적인 원인으로 구분된다. 중추적인 원인을 가진 비만환자에서는 지방세포에서 합성되는 물질 A 물질의 분비장애 혹은 A 물질의 적용부위인 시상하부의 반응저하가 발견되곤 한다. A 물질은 정상인에서 식욕을 억제하는 인자이기도 하다. A 물질은 무엇인가?
Leptin
80
아래 그림은 헤모글로빈의 산소포화곡선이다. 태아 헤모글로빈(HbF)의 산소포화곡선은 어느 것이겠는가?(점선은 정상 성인의 산소포화곡선이다.)
B
81
고산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적혈구 내에 2,3-이인산글리세린(2,3-DPG or BPG??)이 증가해 있으며 산소 해리곡선은 다음과 같다. 이들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조직내 산소의 해리 증가
82
스테로이드로부터 합성된 물질이 아닌 것은?
thromboxane
83
미오글로빈의 산소 포화도는 쌍곡선(hyperbolic curve) 모양인 반면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는 S자(sigmoid curve) 모양을 갖는다. 헤모글로빈이 S자 모양의 산소포화도를 나타내는 기전은?
네 개의 소단위(subunit) 간에 협동작용이 있다.
84
젖산탈화수소(Lactate dehydrogenase, LDH)는 피루브산염(pyruvate)을 젖산(lactate)으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5개의 동종효소(isoenzyme)가 존재한다. 이들 동종효소의 존재량의 변화는 여러 질환의 진단에 도움을 준다. 다음 LDH 동종효소 중 급성심근경색증에서 증가하는 것은?
LDH1
85
사람의 젖산 탈화수소(lactate dehydrogenase, LDH)는 H 아단위와 M 아단위가 합쳐져 사합체의 완전효소를 만든다. H 아단위와 M 아단위의 개수에 따라 5종류가 만들어지며 실제로 사람 간세포에서 LDH를 분리하여 아가로스 젤 전기영동으로 검출하면 다섯 개의 밴드가 나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밴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H 아단위와 M 아단위의 등전점의 차이
86
45세 남자가 3일 전부터 시작된 심한 복통으로 응급실에 내원했다. 남자는 평소 술을 많이 마시는 편이었다. 통증은 등으로 퍼져나가는 양상이며, 앉거나 수구리면 좋아지지만 눞거나 음식을 먹으면 심해진다고 했다. 혈액검사에서 아밀라제(amylase)는 정상범위의 3배 이상 증가되어 있었다. 이 병에서 아밀라아제와 같은 혈액에서 증가되어 있어서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효소는?
리파아제
87
2019년 생화학 117 보기참고
4
88
메탄올을 잘못 섭취하였을 때 중독현상이 나타난다. 이때 에탄올을 투여하여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에 의한 메탄올의 대사를 방해하여 메탄올이 그대로 배설되도록 하는 원리로 치료를 한다. 점선은 메탄올을 기질로 하여 알코올탈수소효소 반응의 기질농도(S)와 반응 속도(Vi)와의 관계를 double reciprocal 또는 Lineweaver-Burk plot으로 그린 것이다. 반응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였을 때 아리의 그림 중에서 점선이 어떻게 변하겠는가?
B
89
2019 생화학 119번 보기 참고
C
90
5일 동안 동남아시아 여행을 다녔던 남자가 귀국 직후 물같은 설사를 여러 번 하고 탈수 증세를 보여 입원하였다. 이 환자의 설사는 장 점막 세포에 존재하는 어떤 단백질이 ADP-ribosylation되어 발생한다. 이 단백질은 무엇인가?
G 단백질
91
알코올램프용 알코올을 섭취한 36세 남자환자가 오심, 구토, 정신 착란을 주소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알코올램프용 알코올의 주성분은 메탄올이라고 할 때, 다음 중 치료제는 무엇인가?
Ethanol
92
고리형에이엠피(cyclic AMP)는 G단백질(G protein)이 관여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 내 고리형에이엠피(cyclic AMP)가 증가하는 상황은?
GAP(GTPase activating protein) 활성 감소
93
2019 생화학 123번 보기참고
전자전달계와 ATP 생성의 연계 차단(uncoupling)
94
신생아의 경우 체온저하를 막기 위하여 갈색지방(brown fat)이 존재하는데 여기서 일어나는 열발생의 기전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은?
미토콘드리아내 수소농도경사 소실
95
붕괴사고 후 5일 만에 갱도 안에서 광원이 구조되었다. 장기간 기아상태였던 광원의 몸세포는 케톤체를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음 중 구조된 직후에도 포도당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을 세포는?
적혈구
96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 과정으로 ATP를 합성할 때, 미토콘드리아 내부와 외부의 농도차를 형성하는 물질이며, ATP 합성과정에서 사립체 내부로 들어가면서 ATP를 합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물질은?
수소이온(Hydrogen ion)
97
2019 생화학 127 보기참고
프럭토스 1,6-비스포스파테이즈
98
포도당이 풍부한 음식물을 섭취하면 포도당의 대사산물 중에서 일부는 지방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포도당 분해 대사와 지방산 생합성 대사를 연결하는 물질은?
아세틸 CoA
99
마라톤을 완주할 때 근육에서 생성된 젖산(lactate)의 이동장소와 대사산물은?
간, 포도당
100
격렬하게 운동하는 근육세포에서 해당작용을 통하여 만들어진 피루브산은 젖산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 과정은 세포 내에서 어떤 물질의 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가?
NAD+